중국 회사법 전개 (과거, 현재, 미래)
오일환 | 준커뮤니케이션즈
25,200원 | 20220926 | 9791162960356
중국은 2020년 5월, 민법전을 제정한 이후 회사법의 전면적 개정작업에 착수하였다.
2021년 12월, 입법기관인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에서 “회사법개정초안”(의견청취고)을 공포하고 학계, 기업계, 법조계, 정부관계기관, 관련 사회단체를 중심으로 광범위한 의견 청취 작업을 진행하였으며 이를 기초로 제2차 회사법 개정안을 준비하고 있다.
이번 개정은 2005년 중국 회사법의 전면 개정이래 준비하는 가장 큰 폭의개정이라고 하겠다.
중국 회사법은 1993년 12월, 중국 사회주의 시장경제체제의 수립을 위한 현대적 기업제도 도입의 배경 속에서 국유기업의 회사화를 주요 목적으로 출범하였고 그 후 중국 시장경제체제의 발전과 중국 경제의 급성장에 따른 여러 차례 개정을 진행하였다.
1999년과 2004년에 “수정(修正)”이라고 불리우는 소폭의 개정을 거쳐 2005년에는 “신회사법”이라고 불리울 만큼 대폭의 개정(修訂)을 거치면서 회사제도가 크게 업그레이드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이에 더하여 2013년 소폭 개정(修正)에서는 회사자본제도의 적지 않은 변화가 있었고 2018년 소폭 개정(修正)에서는 자기주식취득에 관한 규제를 완화하였다. 하지만 회사실천의 발전으로 현행 회사법이 기업현실의 규범적 수요을 만족시키지 못하는 현상이 발생하여 장기간 “회사법사범해석”을 5개 만들어 적용함으로써 실무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왔다. 아울러 최고인민법원의 지도성 사례(指導性案例) 형식으로 전형적인 판례를 공표하고 최고인민법원이 "전국법원 민상사재판업무회의 기록요지(全國法院民商事審判工作會議紀要)라는 형식으로 회사소송사건을 포함한 민상사사건의 재판에 있어서의 쟁점문제에 대한 법원의 태도를 제시함으로써 회사법의 통일적인 적용을 기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회사실무상 규칙들이 회사법상 기존논리와 적지 않은 괴리를 나타내고 있다. 특히 대륙법계 회사법의 단체법논리를 무시한 규칙들이 만들어는 것이다. 그리고 민법전의 제정(2021년), 증권법의 개정(2019년)및 “시장주체등기관리조례”(2021년), “기업신용정보공시잠정조례”(2014년) 등의 제정 및 시행에 따라 회사법의 규정도 이에 상응하게 개정할 필요성도발생하였다. 이와 같은 배경하에서 회사법의 현대화를 통한 기업경영환경의 진일보개선을 위하여 중국은 새로운 단계 회사법의 전면적인 개정을 시도하게 되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중국 회사법의 독특한 성립 및 발전과정을 살펴보아야 중국 기업입법의 체계에서의 회사법의 위상, 회사법의 태생적인 한계, 회사법의 독특한 법원구조 등으로 나타나는 중국 회사법의 특질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특질들은회사법의 개정에서 경로의존성으로 나타난다. 어느 나라에서나 입법의 경로의존성은입법 비용의 절감, 법 적용의 편의를 위하여 꼭 필요한 것이므로 2021년 12월, 공포된 중국 “회사법개정초안”(의견청취고)에서도 회사법의 진일보 현대화를 위하여 국제적인 입법 경험을 대담하게 도입함으로써 회사법상 제도의 혁신을 추진하면서도 중국 회사법의 많은 구조적 특징과 내용적 특색들이 진일보로 변화·유지되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특히 국유기업의 특례, 구삼회(당위원회, 노동조합, 종업원대표회)의 회사지배구조에서의 역할, 회사법과 민법전, 증권법 및 기타 하위법규의 조화관계, 사법해석 및 지도성사례와 “전국법원민상사재판업무회의기록요지”에 따른 실무규칙들의 대담한 도입 등을 주목할 수 있을 것이다. 주목해야 할 것은 이러한 실무규칙들에는 대륙법계 전통적 단체법적 회사법 논리에 반하여 영미법계 회사계약설에 기반한 개인법적 논리들을 담고 있어 중국 회사법의 또 하나의 독특한 내용으로 되고 있다는점이다.
이러한 중국 회사법의 태생적이고 구조적이며 현실적인 특색들을 이해하기 위하여 이 책은 “중국 회사법의 전개”라는 큰 틀 속에서 중국 회사법의 과거, 현재, 미래라는 맥락을 중심으로 관련 논문들을 하나의 체계로 묶어 단행본으로 하였다. 제1장 “중국기업법의 구조와 회사법의 특징”에서는 우선, 중국법 자체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중국법의 특질과 접근방법을 소개하였고 중국 기업법의 구조와 함께 중국 회사법의 특징을 개괄하였다. 제2장 “중국 회사법의 성립과 특수성”에서는 위의 총론적인 소개를 기초로 중국 회사법의 역사와 함께 성립과정을 소개하였으며 중국 회사법의 특수성이라고 할 수 있는 국유기업의 특례와 회사지배구조의 특수성, 감사기관의 특징, 그리고 민상통일의 입법체계속에서의 회사주식(지분)의 입질제도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제3장 “중국 회사법의 발전”에서는 2005년 중국 회사법 대폭 개정의 주요 내용을 소개하였고 2013년 회사등록자본(자본금)인수등기제도의 개혁에 대하여 검토하였으며 중국 회사소송제도의 발전, 그리고 회사법 및 외국투자기업법에 관한 사법해석의 초기내용과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제4장 “중국 회사법 미래”에서는 회사법 개정과 사법해석의 발전에 따른 중국 회사법제의 새로운 경향과 회사소송규칙의 새로운 변화를 제시함과 아울러 미래의 해결과제를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