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 네이버책
  • 알라딘
  • 교보문고
"지역사회 프로그램"(으)로 5개의 도서가 검색 되었습니다.
9788946045552

도서관을 통한 지역사회 프로그램 (가난한 사람들을 위한 12가지 도서관 활동 이야기)

카렌 M. 벤추렐라  | 한울
17,100원  | 20120220  | 9788946045552
이 책은 경제적 약자인 빈민을 대상으로 하는 도서관 프로그램 사례를 묶어놓은 책이다. 빈민 서비스의 배경이 되는 정보빈곤이론의 역사와 정의를 정리하고, 미국 공공도서관이 실제로 실시했던 프로그램들을 소개한다. 빈민아동, 청소년, 각종 보호시설에서 실시할 수 있는 도서관 프로그램과 거리도서관, 이주 농장근로자들을 위한 공공도서관 프로그램 등을 소개하고, 각각의 사례에 대한 실시배경과 운영 시 겪게 되는 여러 가지 상황, 성과 등을 기술한 책이다.
9788963304687

원예치료 방법 (의료서비스, 휴먼서비스 지역사회 프로그램과 연계)

REBECCA L HALLER, CHRISTINE L. KRAMER  | 학지사
12,600원  | 20100816  | 9788963304687
30여 년의 원예치료 실천을 바탕으로 원예치료사가 갖추어야 할 전문성에 관해 쉽고 간략하게 설명하고 있다. 제1장은 이후의 장에서 다를 기술의 토론을 위해 구조를 세우며 제2장에서는 원예치료 프로그램에서 사용되는 실행 과정을 약술한다. 제3장은 원예치료 회기 개발과 활동 계획하기에 대해서 어떻게 해나갈 것인가를 설명해주고 제4장은 프로그램 참여자와 기법을 말해준다. 마지막 제5장은 치료결과에 대한 문서 작성의 이유와 지시사항을 제공한다.
9788958100652

지역사회복지실천프로그램

이인재  | 나눔의집
12,600원  | 20050915  | 9788958100652
본문은 프로그램의 목표에 따라 총 4부로 구성되었다. 제1부는 이번 지역복지실천프로그램 프로젝트 전체에 대한 조망과 평가의 장으로써 본 프로그램 사례집의 의의가 정리되어 있다. 제2부는 사회복지서비스 수요자의 자조집단 구성을 목표로 한 사례들을 묶었다. 제3부에 망라된 프로그램들의 목표는 서비스 수요자들의 치료 및 변화로 정리할 수 있다. 끝으로 제4부는 서비스 수요자가 아닌 프로그램 담당자의 조직화 혹은 일반 지역주민 조직화를 목표로 했다는 공통점이 있다. 그리고, 더욱 폭넓은 관점으로 본다면 이번 프로젝트의...
9788926823620

지역사회 여성노인을 위한 통합적 건강증진 프로그램 (지역사회 여성노인을 위한)

한현숙  | 한국학술정보
12,600원  | 20110624  | 9788926823620
'내일을 여는 지식 사회' 55번째 책. 고령화와 저출산이라는 우리사회의 핵심적 키워드 속에서 노인들의 건강문제는 주요한 국가 과제 가운데 하나가 되었다. 그 중에서도 후기고령 여성노인들의 증가와 그들의 건강문제는 단순한 의료비 증가나 그에 대한 부담이라는 문제를 넘어 우리나라 국민들의 삶의 질과 직결되는 주요 문제이다. 이에 본서는 사회복지사에 의해 주도된 통합적 노인건강 증진 프로그램의 실행 및 그 효과성을 입증하였다는 점과, 사회복지적 관점에서 노인의 건강증진을 이해함으로써 지역사회 내 다양한 노인관련 의료정보나 서비스들을 연계하는 방법등을 통해 의료적 접근 방법을 넘어서고자 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9788926823705

이제 하고 싶은 일이 생겼어요 (가정-학교-지역사회가 함께하는 청소년 진로탐색 프로그램)

조성심  | 한국학술정보
12,600원  | 20110630  | 9788926823705
청소년을 위한 생태체계관점의 진로탐색 프로그램 메뉴얼이다. 즉 청소년 자신에 대한 이해와 타인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보다 합리적으로 진로목표를 설정하고 계획하며 구체적으로 실행 해 나갈 수 있도록 가정· 또래 및 학교· 지역사회가 연계된 내용으로 구성되어져 있다. 이 책은 중·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진로를 지도하는 교사와 부모에게 유용한 활용자료가 되도록 구성하였다. 진로진학상담교사, 학교사회복지사, 교육복지전문가, 부모교육, 교사교육, 진로상담과 교육관련 전공과목 등으로 높은 활용도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1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