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 네이버책
  • 알라딘
  • 교보문고
"프랑스어권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으)로 23개의 도서가 검색 되었습니다.
9788927732068

프랑스어권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 중급 (본책 + 워크북 + 오디오 CD 2장) (Cours de coréen - Niveau intermédiaire)

권용해, 최정윤  | 다락원
24,300원  | 20180412  | 9788927732068
프랑스어권 학습자들의 눈높이에 맞춘 한국어 교재! 다양한 예문과 친절한 프랑스어 설명으로 중급 한국어를 마스터한다! “Cours de cor?en ? Niveaur interm?diaire(프랑스어권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 중급)”는 프랑스어권 학습자를 위한 맞춤 한국어 교재인 Cours de cor?en 시리즈의 중급 편이다. 초급과 마찬가지로 프랑스 현지에서 한국어를 가르치고 있는 저자들의 교육 경험과 설문 조사를 통해 프랑스어권 학습자들에게 가장 필요한 내용을 선별하였다. 학교생활, 직장 상황과 같은 일상생활 속에서 한국이들이 실제로 사용하는 표현 중 중급 수준의 한국어 표현을 대화문을 통해 소개하고 문법과 실용 문형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프랑스어 해설을 수록했다. 더불어 프랑스어권 학습자들이 한국을 이해하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한국 특유의 문화를 소개하여 한국어 학습을 위한 배경지식을 습득할 수 있게 하였다. 워크북을 별책 부록으로 제공하여 본교재와 더불어 학습한 문법과 어휘를 응용하고, 다양한 쓰기 과제를 통해 중급 수준에 필요한 한국어 활용 연습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9788927730347

프랑스어권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초급(Cours de Coreen) (Cours de core’en - niveau debutant)

권용해, 김혜경, 조혜영, 최정윤  | 다락원
24,300원  | 20110519  | 9788927730347
처음 한국어를 배우고자 하는 프랑스어권 외국인 학습자들을 위한 한국어 교재이다. 주교재에서는 다양한 대화상황과 친절한 문법설명을 통해 쉽게 한국어를 이해할 수 있으며, 듣기와 말하기, 읽기와 쓰기 문제를 연계한 연습문제를 통해 통합학습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또한, 각 과 과마다 프랑스어권 학습자들의 눈높이에 맞춘 한국문화를 소개하여 쉽고 재미있게 한국어를 배울 수 있다. 워크북에서는 공간상 주교재에서 충분히 다루지 못한 연습을 하게 하여 초급 수준의 한국어를 충분히 마스터 할 수 있게 하였다.
9788983965530

J’aime le coreen! 나는 한국어가 좋아요! (프랑스어권 학습자를 위한 일상한국어 교재)

Soyoung Yun-Roger  | 신아사
22,500원  | 20120501  | 9788983965530
외국인들을 위한 한국어 학습 교재. 한국어를 처음 배우는 사람들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였다.
9791199301832

고급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장르별 쓰기

최인숙  | 희전재
22,000원  | 20250808  | 9791199301832
인공지능 시대에도 글쓰기 능력은 변함 없이 문제 해결력과 창의성을 기르는 핵심 수단이다. 글쓰기 능력을 향상시키려면 좋은 글을 많이 읽고, 글 쓰는 연습을 많이 하고, 많이 토론하는 등, 삼다(三多)를 실천해야 한다. 이는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에게도 변함없이 적용된다. 본 교재는 한국어 능력이 고급 수준에 이른 한국어 학습자들이 다양한 장르의 ‘좋은 글(예시문)’을 읽어 보고 직접 써 보고 공유하는 활동을 통해 글쓰기 능력과 창의적 사고력을 향상시키도록 돕는 데 목표를 두고 있다. 지적 능력이 있음에도 다양한 장르의 한국어 글쓰기의 구조와 원리에 대한 이해, 한국어 문장 표현에 대한 숙달도가 부족하면 글의 흐름이 매끄럽지 못하고 완성도가 떨어진다. 이러한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먼저 다양한 장르의 글쓰기에 적용되는 일반적인 원리를 개괄하여 이해하도록 했고 특정 장르의 글에서 자주 나타나는 표현을 별도로 제공하기도 했다. 이 책을 구입하여 공부한 후, 출판사의 전자 우편으로 글을 보내면 저자의 피드백과 온라인 튜터링을 받을 수 있다.
9791141066543

외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어문규정 (개정2판)

김인정  | 부크크(bookk)
0원  | 20240120  | 9791141066543
본 교재 “외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어문규정(개정판)”에서는 국립국어원의 한국어 어문규정 중 ‘한글 맞춤법’,‘문장부호’로 한국어가 유창한 한국인 학습자뿐만 아니라 외국인 학습자들이 한국어로 발화(發話)할 때 그 의미를 이해하고 상황에 맞게 적절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외국인 학습자들이 한국어의 의미와 상황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시, 동시, 동화, 신문사설 등을 통하여 ‘문제풀이’,‘문장으로 익히기’,‘문장 만들기’에서 학습자의 눈높이에 맞게 설명이 되었고 한국어능력을 평가 받을 수 있는 TOPIK(한국어능력시험) 응시에 도움이 되도록 구성하였다.
9791169192170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억양 교육 연구

가맹맹  | 한국문화사
24,300원  | 20240531  | 9791169192170
본 연구는 한국어 억양의 기능 단서들에 대한 한국인 모어 화자와 초·중·고급 중국인 학습자의 지각 양상 및 산출 양상, 그리고 지각과 산출의 관계를 밝혀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억양 교육의 내용과 방법에 시사점을 제공하여 교수·학습 모형을 마련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장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억양 지각을 하나의 연구 분야로 삼아 보다 과학적으로 연구 참여자의 지각 범주화 양상을 밝혔다. 둘째, 억양에 대한 지각과 산출의 다양한 관계를 밝혀 보다 효과적인 교육 방법을 마련하였다.
9791169193054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연어 구성 대조 연구

유문명  | 한국문화사
22,500원  | 20250325  | 9791169193054
한국어를 배우는 중국인 학습자들이 겪는 어려움 중 하나는 연어 사용에서 발생하는 오류입니다. 이는 두 언어 간의 구조적 차이와 모국어 간섭에서 비롯된 것으로, 학습자들이 자주 범하는 실수 중 하나입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한국어 연어와 중국어의 대응 양상을 비교하고, 학습자들이 실제로 범하는 오류를 분석함으로써 연어 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했습니다. 연구 결과, 주술관계 연어를 비롯한 여러 유형에서 특히 모국어의 간섭으로 인한 오류가 두드러지게 나타났습니다. 이러한 오류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연어 교육에서 구체적인 대응 유형별 학습이 필요하다는 점을 확인했습니다. 또한, 조사와 용언의 결합에서 나타나는 오류의 비중이 높다는 점에서, 단순히 어휘 교육을 넘어 통사적 접근이 중요하다는 시사점을 얻었습니다. 이 책이 한국어를 배우는 중국인 학습자들과 이를 지도하는 교육자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아울러, 본 연구에서 제시한 분석과 교육 방안이 연어 교육의 개선과 교재 개발에 유용한 기초 자료가 되기를 기대합니다.
9791167426727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상호문화교육 연구

황나영  | 역락
15,300원  | 20240129  | 9791167426727
이 책은 한국어 문화교육에서 상호문화적 접근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문학작품이 상호문화교육의 좋은 제재라는 관점에서 문학작품을 통한 상호문화 교수–학습 방안을 제시하며, 궁극적으로는 학습자의 상호문화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삼는다. 외국어 교육에서 ‘의사소통능력’ 개념의 도입은 목표 언어에 대한 형태적인 지식의 습득뿐만 아니라, 그 언어로 실제 사회적 상황에서 적절히 의사소통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는 데 관심을 갖는 계기를 마련해 주었다. 다시 말해 타자와의 만남은 타자의 언어와의 만남일 뿐만 아니라, 타자가 속한 세계와의 만남이므로 언어활동 장에서 문화에 맞게 언어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표현할 수 있는 능력과 문화의 차이를 인식하고 이를 바탕으로 언어생활을 영위할 수 있는 언어・문화교육과 문화 능력의 함양이 필요하다. 문학을 통한 문화 수업에서 학습자들의 상호문화이해 양상에 주목하여 학습자들의 상호문화적 접근과정을 설문지, 수업대화전사, 심층면담, 감상일지, 감상문 등 자료 분석을 통해 살펴보고, 이를 근거로 구체적인 문학작품을 활용한 상호문화교육 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문학을 통한 문화교육에서 상호문화적 접근은 교실에서 문화를 경험으로 체득되어 실천으로 구현되는 과정이고, 학습자의 문화와 한국 문화가 상호작용하는 과정이며 내면화를 통해 타문화를 습득하는 과정이다. 상호문화적 접근에서는 학습자가 자국 문화의 관점에서 목표문화를 어떻게 인지하고 이해하고 받아들이는지, 그리고 목표문화의 관점에서 자국 문화를 어떻게 인지하고 이해하고 받아들이는지, 두 문화가 만나서 어떻게 서로 상호작용하는지 등에 대해 탐구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게 된다. 따라서 이 책에서는 상호문화접근의 과정을 살펴보기 위하여 수업을 통하여 연구자와 학습자가 상호작용하면서 학습자들의 생각을 자유롭게 표현하도록 요구하는 동시에 연구자는 절차화된 실험 방식을 통하여 과정 양상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9791196418960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 시사 읽기

나찬연  | 오미
16,200원  | 20190228  | 9791196418960
‘한국 시사 읽기’ 교재는 주제별로 전체 15개의 단원으로 짜여 있다. 곧, ① 인간과 환경, ② 수도와 도시, ③ 인물, ④ 대중문화, ⑤ 음식 문화, ⑥ 스포츠, ⑦ 과학 기술, ⑧ 국제 관계, ⑨ 질병과 건강, ⑩ 직업, ⑪ 사회, ⑫ 사건과 사고, ⑬ 언론과 매체, ⑭ 정치, ⑮ 종교와 믿음의 15개 단원을 주제별로 구성했다. 이처럼 이 책의 체제를 15개 단원으로 구성한 것은 대부분의 대학교에서 15주나 16주를 단위로 수업을 진행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한 것이다. 그리고 각각의 소단원에 실린 교육 내용은 다음과 같은 체제로 구성하였다. 첫째, ‘단원 도입 활동’ 부분에서는 ① 소단원의 제목, ② 학습 목표, ③ 동기 유발을 위한 그림을 제시하였다. 둘째, 학습용 텍스트를 제시하되 동일 주제를 둘로 구분하여 ‘본문 1’과 ‘본문 2’의 텍스트를 제시하고, 이에 따르는 ‘생각해 보기’를 설정하였다. 여기서 ‘본문 1’은 기본 학습용 텍스트이고 ‘본문 2’는 심화 학습용 텍스트의 성격을 띤다. 둘째, ‘단원 이해 활동’ 부분에서는 본문 텍스트의 내용과 관련된 학습 문제를 제시하여, 교수-학습의 과정에서 학습자가 직접 해결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학습 문제는 ① 어휘력의 측정 문제, ② 텍스트에 대한 이해력의 측정 문제, ③ 쓰기 능력의 측정 문제, ④ 말하기 능력의 측정 문제 등의 네 가지 유형으로 제시하였다. 학습자는 수업 중에 교사의 도움을 받아서 이러한 학습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시사적인 내용이 실린 텍스트를 이해하고 위의 네 가지 유형의 학습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기를 수 있다. 셋째, ‘단원 마무리 활동’ 부분에서는 본문의 주제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는 한국어의 속담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서 먼저 학생들은 본문 텍스트의 내용을 이해하고 이를 내면화할 수 있다. 나아가서 한국어 속담의 뜻을 이해하고 실제 언어 생활에서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하였다. 넷째, 책의 끝에 ‘부록’의 형식으로 단원 종합 문제를 제시하여서, 학습자들이 고급 수준의 ‘한국어 능력 시험(TOPIK)'을 준비하는 데에 도움이 되게 하였다. 그리고 어휘와 쓰기 활동을 위한 학습장을 제시하여서, 본시 수업 활동 후에 학습자들이 과제를 수행할 수 있게 하였다.
9791196418953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 문화 읽기

나찬연, 김문기  | 오미
13,500원  | 20190228  | 9791196418953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 문화 읽기』 교재는 주제별로 전체 12개의 단원으로 짜여 있다. 곧, ① 언어 문화, ② 여가 문화, ③ 음식 문화, ④ 공동체 문화, ⑤ 지역 문화, ⑥ 최근 세대의 문화, ⑦ 가옥 문화, ⑧ 놀이 문화, ⑨ 기원 문화, ⑩ 민간 의료 문화, ⑪ 전통 음악 문화, ⑫ 인쇄 문화의 12개 단원을 주제별로 구성했다. 이는 대부분의 대학교에서 15주를 단위로 수업을 진행하고 있지만, 실제 수업은 12주 정도로 진행된다는 점을 고려한 것이다.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 문화 읽기』는 각 소단원의 내용 체제를 다음과 같이 구성하였다. 첫째, ‘단원 도입 활동’ 부분에서는 ① 소단원의 제목, ② 학습 목표, ③ 동기 유발을 위한 그림이 제시되었다. 둘째, 학습용 텍스트를 제시하고 이에 따르는 ‘생각해 보기’를 설정하였다. 셋째, ‘단원 이해 활동’ 부분에서는 본문 텍스트의 내용과 관련된 학습 문제를 제시하여, 교수-학습의 과정에서 학습자가 직접 해결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학습 문제는 ① 어휘력의 측정 문제, ② 텍스트에 대한 이해력의 측정 문제, ③ 쓰기 능력의 측정 문제, ④ 말하기 능력의 측정 문제 등의 네 가지 유형으로 제시하였다. 학습자는 수업 중에 교사의 도움을 받아서 이러한 학습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문화적인 내용이 실린 텍스트를 이해하고 위의 네 가지 유형의 학습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기를 수 있다.
9791158485368

외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학 기초 강의

백로  | 박이정
23,000원  | 20191115  | 9791158485368
국내외의 한국어에 대한 연구 성과를 모아서 체계적으로 정리를 한 교재로, 한국어학의 기초적인 이론을 총괄한 입문서이다. 한국어학의 연구방법, 한국어의 특징, 음운론, 형태론, 통사론, 의미론, 어휘론, 문자론 등에 대해서 체계적으로 소개했다. 총 6개의 단원 28과로 나뉘어 한국어학 기초이론에 대해 간단명료하게 소개하고 있다.
9791188568413

외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구어 문법

김현지  | 하우출판사
10,800원  | 20181221  | 9791188568413
총 13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1장에서는 한국어 구어 문법이 무엇인지에 대해서 논의하고 2장에서는 구어 문법을 교육함에 있어서 구체적인 교육 내용에 대해서 제시한다. 3장에서는 구어에 나타나는 철자변이형, 4장에서는 구어 어휘, 5장에서는 구어에서 사용되는 간투사, 6장에서는 담화표지에 대해서 고찰한다. 7장에서는 맞장구 표현, 8장에서는 덩어리 표현, 9장에서는 조각문, 10장에서는 의문형에 대해서 논의한다. 11장에서는 구어에서 나타나는 특징적인 유형인 어순전위에 대해서 고찰하고 12장에서는 생략과 반복에 대해서 살핀다. 마지막으로 13장에서는 구어 문법 교육의 발전 방향에 대해서 논의하면서 이 책을 마무리한다. 독자들은 이 책을 통해서 조금이나마 한국어 구어 문법에 다가가 한국어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힐 수 있을 것이다. 이 책을 통해서 독자들은 한국인이 일상 대화에서 어떠한 표현을 사용해서 어떠한 형태로 말하는지 알게 되고, 말하기를 문법의 관점에서 바라보게 될 것이다.
9791162444795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읽기·쓰기 연구

박현진  | 역락
22,500원  | 20200224  | 9791162444795
증가하고 있는 외국인 학부생들이 독해 시 느끼는 불안이라는 정의적 요인에 대한 관심에서부터 시작된 연구다. 1부는 정의적 요인, 그중 불안을 주제로 한 논문을 모은 것이다. 2부는 학문적 글쓰기, 그중 요약하기, 바꿔 쓰기 기술을 주제로 한 논문을 모았다.
9788994024974

한국어학습자를 위한 문법교육 연구

박덕유  | 박문사
12,600원  | 20120830  | 9788994024974
『한국어학습자를 위한 문법교육 연구』는 크게 한국어 음운론, 한국어 형태론, 한국어 어휘ㆍ의미론, 한국어 문장론 등 4개 장으로 나누어 구성하였다. 한국어 문법은 단순히 지식을 획득하는 것만이 아니라, 그것을 실제 생활에 적용함으로써 한국어를 올바르게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이 책은 한국어 문법교육의 이론적인 면에서 문제가 되는 것과, 이론을 실생활에 적용할 수 있는 부분들을 통해 지식 전달뿐만 아니라 문제해결 능력을 진단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언어생활을 할 수 있도록 도왔다.
9788994024653

한국어학습자를 위한 음운교육 연구

박덕유  | 박문사
15,300원  | 20111223  | 9788994024653
『한국어학습자를 위한 음운교육 연구』는 한국어를 배우는데 기초적이며 중요한 음운교육을 위한 기본서이다. 한국어 음운교육의 내용과 방법,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발음교육 연구, 한국어 억양교육 연구, 맞춤법 및 불규칙 활용 교육 방안 연구 등의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