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 네이버책
  • 알라딘
  • 교보문고
"한국병,"(으)로 7개의 도서가 검색 되었습니다.
한국병 韓國病

한국병 韓國病

편집부  | 신화출판사
0원  | 20080601  | 9787501183616
『한국병』은 중국어 원문 책이다.
한국 병합사 연구

한국 병합사 연구

운노 후쿠쥬  | 논형
22,500원  | 20080125  | 9788990618696
『한국 병합사 연구』는 일본제국과 대한제국 사이에 체결된 일련의 조약이 어떤 목적 아래 어떤 과정을 거쳐 맺어지고, 그것이 각 단계마다 두 나라 관계에 어떤 결과를 초래했는가 각 조약에 관련된 한국과 일본의 사료를 섭렵하여 굉장히 치밀하게 분석한 책이다.
21세기 만언봉사 (현대 한국병 진단과 처방)

21세기 만언봉사 (현대 한국병 진단과 처방)

소이원  | 북랩
10,800원  | 20151003  | 9791155857687
누군가는 해야 할, 그러나 지금껏 아무도 말하지 않은 위기의 대한민국! 국민과 지도자들에게 권하는 만언봉사! 거함 대한민국호는 과연 순조로운 항해를 하고 있는 것일까? 혹시 겉보기에는 멀쩡하지만 속은 썩을 대로 썩어 언제 세월호처럼 대형 참사에 직면하게 될지 모르는 처지에 있는 것은 아닐까? 이 책의 저자는 그렇다고 말한다. 불신 풍조 만연, 정치인 인기영합주의, 공직자 무사안일 행태 만연, 부정부패 및 비리 확산, 사회적 불균형, 이치보다 이익 중시 등등 저자가 꼽는 대한민국 위기를 나타내는 지표는 수도 없이 많다. 그럼 어떻게 해야 할까? 지금으로부터 441년 전, 국가의 어두운 미래를 내다본 율곡 이이 선생은 일곱 가지의 폐단을 열거하고, 그 폐단을 고치지 않으면 조선은 큰 위기를 맞을 것이라고 경고하며, 그 해결책을 선조대왕에게 건의한다. 이름하여 「만언봉사」이다.
한국병, 무엇이 문제인가? (나의 인성교육과 인격수양을 위한 평생공부 노트)

한국병, 무엇이 문제인가? (나의 인성교육과 인격수양을 위한 평생공부 노트)

안문환  | 출판기획구상나무
12,600원  | 20151130  | 9791195663309
한국을 위태롭게 만드는 고질병이 있다면 바로 한국병이다. 저자는 인성교육을 통하여 내면적 수양을 하고 사랑과 평화가 있는 사회를 만들고자 책을 냈다. 경제적 성장률은 높아 행복할 것 같지만 실제로 안으로는 상처받아 아파하는 한국인들을 위한 도서이다.
일본의 한국병합 강제 연구 (조약 강제와 저항의 역사)

일본의 한국병합 강제 연구 (조약 강제와 저항의 역사)

이태진  | 지식산업사
27,000원  | 20161125  | 9788942390137
[일본의 한국병합 강제 연구]는 한국근대사 연구의 권위자 이태진 교수가 20여 년 몰두해온 한국병합 불법성 연구를 집대성한 책이다. 책의 곳곳에는 일본의 식민사관 학자들의 주장을 꺾을 수 있었던 피투성이의 논거들이 녹아 있으며, 병합의 전말과 그 이면이 촘촘하게 서술되어 있다.
한국병합의 불법성 연구

한국병합의 불법성 연구

이태진외  | 서울대학교출판부
14,000원  | 20031220  | 9788952104625
역사편과 국제법편으로 나누어 일본의 한국병합의 불법성에 대해 고찰하였다.
데라우치 마사다케 통감의 강제 병합 공작과 한국병합의 불법성

데라우치 마사다케 통감의 강제 병합 공작과 한국병합의 불법성

윤대원  | 소명출판
18,900원  | 20110729  | 9788956266084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HK연구교수 윤대원의 『데라우치 마사다케 통감의 강제 병합 공작과 '한국병합'의 불법성』. 저자가 2010년 규장각이 '한국병합 100년'을 맞이하여 국립고궁박물관과 공동으로 개최한 특별전시회 을 준비하면서 느낀 새로운 발견의 즐거움을 정리한 것이다. 6개의 주제로 나누어 '한국병합'을 둘러싼 풀리지 않는 궁금증의 해답을 찾아나서고 있다. 축약되어온 '한국병합사' 연구에 빠진 부분을 메우고 부족한 부분을 채우는 데 도움을 건넨다. 특히 데라우치 마사다케 통감의 강제 병합 공작으로 인한 '한국병합'의 불법성 여부를 둘러싼 논쟁에 집중적으로 조명하면서 무효불법론을 강화했다.
1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