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 네이버책
  • 알라딘
  • 교보문고
"한국불교전서"(으)로 12개의 도서가 검색 되었습니다.
9791191670240

한국불교전서 15 (보유편)

동국대학교 불교학술원 불교기록문화유산아카이브 사업단  | 학교법인동국대학교출판문화원
135,000원  | 20220420  | 9791191670240
본 도서는 신라시대편, 고려시대편, 조선시대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9798978011609

한국불교전서 1 (신라시대 1편)

동국대학교불교편찬위원회  | 동국대학교출판부
76,000원  | 19980325  | 9798978011609
한국불교학계의 오랜 숙원 사업이었던 한국불교전서의 편찬 사업은 철저한 자료수집과정을 거치면서 총목록을 만들게 되었다. 는 불교전래 이후 신라 원측(613~696)이 쓴「반야심경찬」으로부터 고려의 의천­보조를 거쳐 구한말 보정(1861~1930)의 「념불요문과해」에 이르기까지, 불교 저술의 저자 1백 80여명이 남긴 3백여 종의 옛문헌을 집대성했다.
9798978011685

한국불교전서 9 (조선시대 3편)

동국대학교불교편찬위원회  | 동국대학교출판부
76,000원  | 20020108  | 9798978011685
한국불교학계의 오랜 숙원 사업이었던 한국불교전서의 편찬 사업은 철저한 자료수집과정을 거치면서 총목록을 만들게 되었다. <한국불교전서>는 불교전래 이후 신라 원측(613~696)이 쓴「반야심경찬」으로부터 고려의 의천­보조를 거쳐 구한말 보정(1861~1930)의 「념불요문과해」에 이르기까지, 불교 저술의 저자 1백 80여명이 남긴 3백여 종의 옛문헌을 집대성했다.
9798978011715

한국불교전서 12 (補遺 2편)

동국대학교불교편찬위원회  | 동국대학교출판부
76,000원  | 19970101  | 9798978011715
한국불교학계의 오랜 숙원 사업이었던 한국불교전서의 편찬 사업은 철저한 자료수집과정을 거치면서 총목록을 만들게 되었다. <한국불교전서>는 불교전래 이후 신라 원측(613~696)이 쓴「반야심경찬」으로부터 고려의 의천­보조를 거쳐 구한말 보정(1861~1930)의 「념불요문과해」에 이르기까지, 불교 저술의 저자 1백 80여명이 남긴 3백여 종의 옛문헌을 집대성했다.
9798978011708

한국불교전서 11 (補遺 1편)

동국대학교불교편찬위원회  | 동국대학교출판부
76,000원  | 19970101  | 9798978011708
한국불교학계의 오랜 숙원 사업이었던 한국불교전서의 편찬 사업은 철저한 자료수집과정을 거치면서 총목록을 만들게 되었다. <한국불교전서>는 불교전래 이후 신라 원측(613~696)이 쓴「반야심경찬」으로부터 고려의 의천­보조를 거쳐 구한말 보정(1861~1930)의 「념불요문과해」에 이르기까지, 불교 저술의 저자 1백 80여명이 남긴 3백여 종의 옛문헌을 집대성했다.
9798978011692

한국불교전서 10

 | 동국대학교출판부
76,000원  | 20020109  | 9798978011692
9788978014311

한국불교전서 편람 (국문판)

동국대학교 불교학술원 불교기록문화유산아카이브사업단  | 동국대학교출판부
90,000원  | 20150601  | 9788978014311
한국불교전서는 한국불교학의 정립을 위하여 신라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의 한국인에 의해서 편찬되고, 저술된 불교관련 저술을 망라하였다. 한국불교뿐만 아니라 한국 사상사를 연구하는 가장 중요한 원전 자료이다. 시대별, 저자별 분류로 한국불교의 사상사의 흐름을 보여준다. [국문판]
9788978019422

경암집(한글본) (한글본 한국불교전서 조선47)

경암 응윤  | 동국대학교출판부
16,200원  | 20190125  | 9788978019422
『경암집鏡巖集』은 조선 후기 18세기에 지리산 등지에서 활약한 경암 응윤鏡巖應允의 시문집으로 1804년(순조 4)에 경암의 제자 팔관八關이 경상남도 함양군 함양읍 추성리에 있는 벽송사에서 목판본으로 간행하였다. 책판이 현재 벽송사에 남아 있고, 간행본이 동국대학교 도서관과 규장각에 전한다. 규격은 10행 21자로, 반곽半郭의 크기는 20.3×14.7cm이다. 『한국불교전서』10권에 활자화되어 실려 있다. 문집 처음에 목만중睦萬中(1727~1810)과 유숙지柳肅之의 서序가 있고, 끝에 팔관이 쓴 대사의 행장과 목만중의 영찬影贊, 이재기李在璣의 발跋이 있다. 권상에는 오언절구 19편, 오언사운五言四韻 11편, 칠언절구 29편, 칠언사운 15편, 고시 4편이 수록되어 있다. 권중에는 서書 23편이 수록되어 있다. 권하에는 서序 4편, 기記 25편, 잡저雜著 9편, 소疏 5편, 한화록문답閑話錄問答 4편이 수록되어 있다. 문집은 18세기 들어 유교적 성향이 더 짙어진 불교의 모습을 보여 준다. 대표적인 것이「오효자전」과「박열부전」이다. 「박열부전」은 박지원의 「열녀함양박씨전」과 동일 인물을 다루고 있어서 비교 연구될 만하다. 유교적 성향이 강화되면서 불교에 대한 변론도 강화되고 있는데 한유에 대한 비판을 담은 「논한자설」이 이에 해당한다. 유자들이 존중하는 인물인 한유를 비판하고 나아가 맹자까지 비판을 하는 이러한 글은 달리 찾아보기 어렵다. 유교 문헌을 두루 섭렵하고 아울러 유자들과 교류를 통해 형성된 자신감의 발로로 볼 수 있겠다.
9788978019439

석문상의초 외 (한글본 한국불교전서 조선48)

벽암 각성, 나암 진일, 허백 명조, 계파 성능  | 동국대학교출판부
18,000원  | 20190210  | 9788978019439
『석문상의초釋門喪儀抄』는 조선 중기의 고승 벽암 각성碧巖覺性(1575~1660) 이 당시까지 시대에 맞는 승가僧家의 상례喪禮가 정돈되어 있지 않은 것을 아쉬워하고 이를 정립하기 위해 1636년(인조 14)에 편찬하고, 그 제자인 백곡 처능白谷處能(1617~1680)이 1657년(효종 8)에 징광사澄光寺에서 간행한 불교의식집이다. 상·하 양 권의 목판본인 이 책은 중국에서 널리 쓰이던 불교의식집인『선원청규禪院淸規』·『석씨요람釋氏要覽』 등에 의거하여 당시의 승가에 적합하도록 편찬한 것이다. 상권에는 승가의 오복제五服制를 밝히고 나서 장지에 이르는 행렬 절차와 기물의 배치, 제전祭奠 절차 등을 밝히고 있다. 하권에는 사리舍利를 탑에 모시고 상례를 치르는 사리입탑법舍利立塔法을 자세히 설명하였고, 조문弔問의 격식과 범위, 그에 따른 답서 등을 일일이 밝히고 있다. 그리고 각종 의식 절차에 따른 제문의 양식을 제례별로 소개하였다. 이 책은 관혼상제에 대한 유교적 의식이 일반에게 널리 보급된 조선 후기에, 불교의 상례가 유교에 못지않게 큰 의미를 지니고 있음을 밝히고 있다는 점에서 시대적 의의를 지니고 있다.
9798978011630

한국불교전서 4(고려시대편 1)

동국대학교출판부 편집부  | 동국대학교출판부
72,000원  | 20020105  | 9798978011630
9798978011647

한국불교전서 5:고려시대 2편

동국대학교출판부 편집부  | 동국대학교출판부
72,000원  | 19830101  | 9798978011647
한국불교전서 5권으로 고려시대를 다룬 책이다
9788989966579

자타카전서: 부처님본생이야기 (부처님 본생 이야기)

전재성 역주  | 한국빠알리성전협회
216,000원  | 20230109  | 9788989966579
이 책은 불교경전을 다룬 종교서적이다. 자타카전서의 기초적이고 전반적인 내용이 담겨있다.
1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