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 네이버책
  • 알라딘
  • 교보문고
"한국어 음운론"(으)로 14개의 도서가 검색 되었습니다.
9791166850844

한국어 음운론 (음운과 음운과정)

김경아  | 한국문화사
18,000원  | 20220224  | 9791166850844
음소는 음성보다 추상적인 단위로 인식적 실재성을 가지고 있다. 우리가 앞서 분절성이 언어음의 기본적인 속성임을 이야기하였는데, 결국 분절성이란 추상성에 근거하고 있는 것이다. 사실 어떤 한국어 화자가 음성 [k]를 언제나 정확하게 동일한 음가로 발음할 수 있을까? 다소 과장해서 이야기하면 어떤 화자도 언제나 똑같은 음성 [k]를 발음할 수 없다. 그럼에도 한국어 청자는 이 미묘한 음성적 차이를 무시하고 음소로서의 /k/를 인식하고 화자와 의사소통을 한다. 물리적 실재를 완전하게 반영하지 않는 추상화의 과정은 결국 의사소통을 위한 것이다. 의사소통을 위한 언어기호의 중요한 특성 가운데 하나가 바로 추상성이다. - 본문 중에서
9791190727679

한국어 음운론 (제2개정판)

강옥미  | 태학사
27,000원  | 20210409  | 9791190727679
핵심 내용만을 다룬, 초학자를 위한 한국어 음운론 안내서 초급 단계의 한국어 음운론 안내서로, 음성학, 구조주의음운론, 생성음운론과 복선음운론의 기초가 되는 핵심 내용만 다룬다. 소리에 대한 음성학 지식, 구조주의의 음소, 생성음운론의 자질, 음운규칙의 단선적ㆍ복선적 형식화, 단선적 자질표시의 문제점에 대한 복선음운론의 해결방안, 음절과 관련된 한국어 음운현상, 운율적 요소와 관련된 한국어 음운현상, 기타 한국어의 음운현상 등을 다룬다.
9788959665792

한국어 음운론

백두현, 이미향, 안미애  | 태학사
0원  | 20130315  | 9788959665792
『한국어 음운론』은 음운론과 음성학의 기초 이론을 간략히 소개하고, 한국어의 음운현상을 이해하기 위한 주요 개념을 쉽게 학습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국어의 다양한 음운현상을 예시하여 이들이 갖는 음운론적 의미를 파악할 수 있다. 특히 통시적인 음운 변화를 여러 문헌의 예시를 통해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9788959664276

한국어 음운론

강옥미  | 태학사
28,000원  | 20110222  | 9788959664276
초급 단계의 한국어 음운론 안내서『한국어 음운론』. 이 책은 음성학, 구조주의음운론, 생성음운론과 복선음운론의 기초가 되는 핵심내용을 다루고 있다. 소리에 대한 음성학 지식, 구조주의의 음소, 생성음운론의 자질, 음운규칙의 단선적ㆍ복선적 형식화, 단선적 자질표시의 문제점에 대한 복선음운론의 해결방안, 음절과 관련된 한국어 음운현상, 운율적 요소와 관련된 한국어 음운현상 등에 대하여 살펴본다.
9788988408414

한국어음운론의 기초

배주채  | 삼경문화사
23,750원  | 20150815  | 9788988408414
▶ 이 책은 한국어음운론에 대해 다룬 이론서입니다. 한국어음운론의 기초적이고 전반적인 내용을 학습할 수 있도록 구성했습니다.
9791169193375

한국어 형태론과 음운론 (인지언어학의 눈으로 이해하는, 제2판)

정병철  | 한국문화사
18,000원  | 20250822  | 9791169193375
우리에게는 해류의 순환이나 수학 공식을 이해하는 것처럼 언어의 형태적 패턴이나 음운변동 현상의 관련성을 이해한다는 말이 낯설게 느껴진다. 그런데 인지언어학이 한국어의 형태론과 음운론을 이해할 수 있는 이론적 토대를 제공해 준다면 어떨까? 이 책은 독자들이 한국어 형태론과 음운론의 기본적인 지식들을 인지언어학의 눈을 통해 이해할 수 있도록 조명하면서 전통적인 학설들의 대안이 되는 새로운 설명 모델도 접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일반적인 개론서들과 구분되는 이 책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어 형태론과 음운론의 전통적인 학설이 지니는 한계와 그 대안이 되는 새로운 설명 모델을 탐색한다. 둘째, 한국어의 형태와 음운에서 인간의 인지와 경험, 사회적 상호작용과 적응을 통해 발생하고 변화하는 역동적인 체계를 발견한다. 셋째, 인지언어학과 구문문법의 관점에서 형태와 음운의 체계가 역동적으로 영향을 주고받는 현상들을 탐구한다.
9788978783088

한국어 역사음운론

백응진  | 박이정
13,500원  | 19990320  | 9788978783088
9791168103481

말소리로 만나는 한국어 (국어학과 한국어 교육을 위한 음운론 길잡이)

안미애, 이미향, 안주현  | 태학사
19,800원  | 20250311  | 9791168103481
음운론적 개념과 연구 방법론부터 외국인 학습자를 위한 교육 방법까지, 한국어 음운 현상 분석을 넘어 발음 교육과의 연계성을 강조한 음운론 길잡이! 한국어 음운론을 처음 접하는 학습자를 위해, 음운론의 개념을 음성학적 기초와 함께, 음운 변동, 한국어 음운 체계, 통시적 변화, 그리고 음운론의 이론적 접근 방법까지 폭넓게 다룬다. 특히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발음 습득 과정과 교수법을 함께 제시하여 교재의 실용성을 높이고자 하였으며, 실제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음성 음운론의 이론을 활용할 수 있도록 교재를 구성한 점이 가장 큰 특징이다. 또한, 한국어 음운 체계의 규칙성과 변화에 대한 이해는 교사가 보다 효과적인 교육 전략을 수립하는 데에도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이를 위해 한국어 음운 현상의 분석뿐만 아니라, 실제 발음 교육과의 연계성을 강조하였다.
9788984774728

한국어 운율과 음운론

박성복  | 월인
9,900원  | 20101005  | 9788984774728
『한국어 운율과 음운론』은 먼저 한국어 음운부의 계층 구조를 이루는 운율 단위들의 특징과 위계를 검토한 후, 각 하위 운율 단위들이 결합하여 상위의 운율 단위를 형성하는 과정에 대해 밝히고자 했다. 나아가 운율의 형성 과정에 대한 관찰을 통하여 운율 구조와 퉁사 구조의 구조적 관련성, 운율 구조 및 운율 요소들의 의미, 정보 역할 등을 검토하여 운율이 발화 의미를 전달하고 정보를 구조화하는 양상을 규명한다.
9791169192828

인지언어학의 눈으로 이해하는 한국어 형태론과 음운론 (인지언어학의 눈으로 이해하는)

정병철  | 한국문화사
0원  | 20241230  | 9791169192828
우리에게는 해류의 순환이나 수학 공식을 이해하는 것처럼 언어의 형태적 패턴이나 음운변동 현상의 관련성을 이해한다는 말이 낯설게 느껴진다. 그런데 인지언어학이 한국어의 형태론과 음운론을 이해할 수 있는 이론적 토대를 제공해 준다면 어떨까? 이 책은 독자들이 한국어 형태론과 음운론의 기본적인 지식들을 인지언어학의 눈을 통해 이해할 수 있도록 조명하면서 전통적인 학설들의 대안이 되는 새로운 설명 모델도 접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일반적인 개론서들과 구분되는 이 책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어 형태론과 음운론의 전통적인 학설이 지니는 한계와 그 대안이 되는 새로운 설명 모델을 탐색한다. 둘째, 한국어의 형태와 음운에서 인간의 인지와 경험, 사회적 상호작용과 적응을 통해 발생하고 변화하는 역동적인 체계를 발견한다. 셋째, 인지언어학과 구문문법의 관점에서 형태와 음운의 체계가 역동적으로 영향을 주고받는 현상들을 탐구한다.
9791168100497

한국어 자음 말음 어간의 형태음운론적 변화

김수영  | 국어학회
13,500원  | 20220310  | 9791168100497
한국어 자음 말음 어간의 형태음운론적 변화, 그와 관련한 방언 분포, 방언의 내적 변화, 방언 접촉에 의한 변화 연구 이 책은 한국어 자음 말음 어간의 형태음운론적 교체에 대한 방언 분포를 기술하고 이를 바탕으로 현재의 곡용 및 활용 양상이 형성된 과정을 밝히고, 어간의 형태음운론적 변화를 방언 내적인 변화와 방언 접촉에 의한 변화로 나누어 살펴본 후 각각에 관여한 변화의 요인들을 살펴본다. 1장에서는 연구의 목적, 대상 및 방법, 논의의 구성을 밝히고, 2장은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연구 범위를 구체화하고 이론적 기반을 마련한다. 3장에서는 자음 말음 어간의 방언 분포를 기술하고 그 형성 과정을 논의하고, 4장에서는 3장의 논의를 바탕으로 체언과 용언 어간의 변화 과정을 밝힌다. 5장에서는 방언 접촉에 의한 체언과 용언 어간의 변화 과정을 살펴보고, 6장은 결론으로 논의를 요약하고 남은 문제를 제시한다.
9791163951155

한국어 용언 활용 체계의 형태음운론적 변화

정경재  | 태학사
29,700원  | 20191118  | 9791163951155
언어가 살아 있는 생물처럼 끊임없이 변화하는 것은, 그것이 생명을 가졌기 때문이 아니라 살아 있는 사람들의 언어 사용이 언어를 바꾸어 나가고 있기 때문이다. 어쩌면 당연하다 할 수 있는 이러한 사실을 깨닫게 되면서 필자는 ‘인간의 언어 사용과 언어 변화의 관계’를 읽어 내고 언어가 변해 가는 ‘과정’을 그려 나가는 데에 관심을 두게 되었다. 많지 않지만 그간 집필해 온 여러 논문들의 제목에 ‘변화’라는 단어가 포함되어 있는 것은 그 결과이다. 이 책은 박사학위논문 “한국어 용언 활용 체계의 통시적 변화”를 수정ㆍ보완하여 간행한 것이다. 15세기 문헌에 출현하는 용언을 대상으로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각 용언이 겪은 형태론적?형태음운론적인 변화를 망라하여 한국어 용언 활용 체계의 변화를 정리하였으며, 이를 통해 한국어가 변해 가는 과정과 화자의 언어 사용이 변화를 이끌어 나가는 방식의 일면을 엿보고자 하였다.
9788930319430

한국어 표준 문법 (총론, 음운론, 형태론, 통사론, 담화론)

유현경, 한재영, 김홍범, 이정택, 김성규  | 집문당
36,000원  | 20230220  | 9788930319430
참조 문법, 기반 문법으로서의 〈한국어 표준 문법〉 이 책은 국어국문학과, 국어교육과, 한국어교육과 학부생이 이해할 수 있는 수준으로 기술되었으며 예비 국어 교사나 예비 한국어 교사들뿐만 아니라 이론 문법을 공부하는 대학원생들이 한국어 문법의 해당 영역의 표준적인 내용 전반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초ㆍ중등학교에서 학생들에게 국어를 가르치는 교사나 한국어 교사들에게도 학교 문법으로 충족하지 못하는, 실제적이고 깊이 있는 문법 지식을 제공할 수 있게 되기를 기대한다. 이 책의 내용은 본문인 핵심 문법 기술부와, 미주의 형식으로 제시된 적용 문법 기술부의 두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핵심 문법 기술부에는 각 영역별 문법을 상세하면서도 간결하게 기술하였으며 별도의 심화 박스를 두어 독자들이 표준적인 문법 내용 이외의 깊이 있는 지식을 알 수 있게 하였다. 적용 문법 기술부에서는 표준적으로 기술된 문법을 국어 교육 문법, 한국어 교육 문법, 이론 문법, 생활 문법 등에 적용할 때 유의해야 할 내용을 담았다. 이 책은 학교 문법으로 대표되는 규범 문법 및 어문 규정, 『표준국어대사전』 등 국가의 언어 표준에서 출발하되, 그동안 축적된 한국어 연구의 결과를 충분히 반영하였다. 앞으로 이 책은 학생들과 교사들에게는 참조 문법으로서 이용될 수 있고, 국어 교과서와 한국어 교재를 만들 때 기반 문법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믿는다.
9788930317993

한국어 표준 문법 (총론, 음운론, 형태론, 통사론, 담화론)

임동훈, 박기영, 김성규  | 집문당
40,000원  | 20190220  | 9788930317993
참조 문법, 기반 문법으로서의 [한국어 표준 문법] 이 책은 국어국문학과, 국어교육과, 한국어교육과 학부생이 이해할 수 있는 수준으로 기술되었으며 예비 국어 교사나 예비 한국어 교사들뿐만 아니라 이론 문법을 공부하는 대학원생들이 한국어 문법의 해당 영역의 표준적인 내용 전반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초?중등학교에서 학생들에게 국어를 가르치는 교사나 한국어 교사들에게도 학교 문법으로 충족하지 못하는, 실제적이고 깊이 있는 문법 지식을 제공할 수 있게 되기를 기대한다. 이 책의 내용은 본문인 핵심 문법 기술부와, 미주의 형식으로 제시된 적용 문법 기술부의 두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핵심 문법 기술부에는 각 영역별 문법을 상세하면서도 간결하게 기술하였으며 별도의 심화 박스를 두어 독자들이 표준적인 문법 내용 이외의 깊이 있는 지식을 알 수 있게 하였다. 적용 문법 기술부에서는 표준적으로 기술된 문법을 국어 교육 문법, 한국어 교육 문법, 이론 문법, 생활 문법 등에 적용할 때 유의해야 할 내용을 담았다. 이 책은 학교 문법으로 대표되는 규범 문법 및 어문 규정, 『표준국어대사전』 등 국가의 언어 표준에서 출발하되, 그동안 축적된 한국어 연구의 결과를 충분히 반영하였다. 앞으로 이 책은 학생들과 교사들에게는 참조 문법으로서 이용될 수 있고, 국어 교과서와 한국어 교재를 만들 때 기반 문법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믿는다.
1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