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 네이버책
  • 알라딘
  • 교보문고
"한국한문학"(으)로 39개의 도서가 검색 되었습니다.
9788968491818

한국한문학 (개론여사)

문선규  | 전남대학교출판부
18,000원  | 20150126  | 9788968491818
故 文璇奎 교수의 『韓國漢文學』은 당시 국내학계에 전문적인 한국한문학사에 관한 연구서가 없던 시절에 국내 최초로 韓國漢文學의 槪說과 時代史를 연구한 전문학술서이다. 그동안 중국에서 출간된 韓國漢文學史는 대부분 중국학자들, 특히 조선족 학자들에 의해 이루어짐으로써, 상대적으로 국내 학계의 다양한 연구성과와 결과물들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한 아쉬움이 있었다. 본서는 국내 저명학자에 의해 완성된 우리의 漢文學硏究書를 중국어로 번역출간하여 국내외 한국한문학 연구자들에게 학술연구 자료로 제공하기 위해 기획된 것으로서 그 학술도서로서의 가치가 매우 크다고 생각된다. 아울러 본 역서는 중국내 한국한문학 연구자와 중국 유명대학의 한국어문학 전공 학생들에게도 좋은 학술연구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9788985945240

한국한문학사

이가원  | 보성문화사
20,000원  | 20140815  | 9788985945240
▶ 이 책은 한국한문학사에 대해 다룬 이론서입니다. 한국한문학사의 기초적이고 전반적인 내용을 학습할 수 있도록 구성했습니다.
9788976268488

한국한문학과 미학

한국한문학회  | 태학사
18,000원  | 20030630  | 9788976268488
6000029305

한국한문학연구 제26집

한국한문학회  | 태학사
0원  | 20001031  | 6000029305
6000002638

한국한문학연구 제23집

한국한문학회  | 태학사
0원  | 19990430  | 6000002638
6000115647

한국한문학연구 제22집

한국한문학회  | 태학사
0원  | 19981231  | 6000115647
9791165878542

인문학의 뿌리로서의 한국 한문학

송재소  | 보고사
27,000원  | 20250512  | 9791165878542
한문학, 인간다움의 뿌리를 찾아서 전통을 통해 오늘을 묻다 과거를 읽는 일은 단순히 지나간 시간을 복원하는 작업이 아니다. 과거를 읽는다는 것은, 그 시대 사람들이 무엇을 보고, 어떻게 느끼고, 어떤 세상을 꿈꾸었는지를 이해하는 일이다. 『인문학의 뿌리로서의 한국 한문학』은 한국 한문학 연구의 권위자 송재소 교수가 오랜 시간에 걸쳐 축적해온 연구 성과를 하나의 사유의 흐름으로 엮어낸 책이다. 인문학의 ‘文’이란 원래 무늬 또는 문채라는 뜻으로 쓰인 글자이다. 이 문채는 어떤 사물 고유의 속성이 겉으로 드러난 것이다. 일월성신(日月星辰)은 하늘을 하늘이게끔 해주는 고유의 무늬이고 산천초목(山川草木)은 땅을 땅이게끔 해주는 고유의 무늬이다. 다시 말하면, 일월성신의 무늬가 없으면 하늘이라 할 수 없고, 산천초목의 무늬가 없으면 그것은 더 이상 땅이 아니다. 마찬가지로 인문은 인간 고유의 무늬이다. 인문이 있으므로 해서 인간은 인간일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인간인 이상 인간 고유의 무늬인 인문이 있어야 한다. 결국 인문학은 인간다운 삶에 대한 탐구를 목적으로 하는 학문이다. 그러므로 인문학은 가치관의 문제를 다룬다. 어떻게 살아야 인간다운 삶인가? 어떻게 살아야 가치 있는 삶인가? 한문학은 과거 지식인들이 세계를 이해하는 학문이었다. 따라서 한문학 연구는 ‘인간이라면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에 대한 끊임없는 물음에 당대가 어떻게 답하였는지 확인하는 작업이기도 하다. 그러나 오늘날 많은 사람들이 한문보다는 영어 텍스트를 더 쉽게 읽으며, 전통적인 한문학은 점차 설 자리를 잃어가고 있다. 한문이 더 이상 우리의 언어로 느껴지지 않는다면, 우리는 무엇을 통해 과거와 연결될 수 있을까? 본서 1부에서는 다산 정약용을 비롯한 조선 지식인들의 문학과 사상, 그리고 한국 한문학의 전통이 어떻게 형성되고 어떤 위기를 겪어왔는지를 다룬다. 다산학과 조선 후기 실학 사상의 인문학적 기반을 살피며, 변화하는 동아시아 문명 속에서 인간과 사회를 어떻게 새롭게 이해할 수 있었는지를 추적한다. 2부에서는 선비정신과 지식인의 품격을 통해, 전통이 단순한 관습이 아니라 인간다운 삶을 지탱하는 원리였음을 보여준다. 3부에서는 현대 인문학과 한문학이 직면한 위기를 진단하고, 전통을 되살리는 일은 과거와 전통을 단순히 복제 혹은 복원하는 것이 아니라 현재를 비추는 사유의 출발점임을 강조한다. 한문학이 중요한 이유는, 우리의 문화적 정체성이 형성된 토대이며 우리만이 온전히 해석하고 이어갈 수 있는 지적 자산이기 때문이다. 한국 한문학의 입지가 사라지는 것은 단순히 학문의 자리가 좁아지는 것이 아니라, 우리의 문화적 뿌리와 그것이 만들어낸 사고방식을 잃는 것과 같다. 이 책은 전통과 현대, 한문학과 현실을 잇는 다리가 되어, 한국 한문학이 단지 옛 학문이 아니라 우리가 잃어버리고 있는 ‘인간다움’에 대한 깊은 통찰을 제공하는 길임을 보여준다. 전통을 지킨다는 것은 과거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지켜야 할 진짜 문화적 자산을 인식하고 그것을 통해 새로운 질문을 던지는 일이다.
9788987803777

한국한문학산고

정양완  | 동림사
0원  | 20100905  | 9788987803777
이 책은 연세대학교 객원 교수, 북경 중앙민족대학 객좌 교수 등을 역임한 정양완 선생님이 그간 공표한 학술논문이나 강연을 위해 준비한 원고, 또 보고서 형태로 작성한 옥고들을 엮어 펴낸 것이다.
9788976267337

한국 한문학 산고

민병수  | 태학사
27,000원  | 20011231  | 9788976267337
한국 한시의 대가 민병수 교수의 한문학 논문집. 한시 소개와 감칠맛 나는 해설, 한시 고유의 은은함을 느끼게 해준다. 선조들의 깊이 있는 풍류가 이 책에 있다.
9788981071660

한국한문학논고

유풍연  | 이회문화사
18,000원  | 20010615  | 9788981071660
9788930306485

한국한문학강독

이혜순  | 집문당
0원  | 19981001  | 9788930306485
9788976262714

한국한문학강독

 | 태학사
6,650원  | 19971224  | 9788976262714
우리 선인들의 사상과 감정을 헤아릴 수 있는 시와 시화, 뛰어난 문장을 싣고 부록으로 중국의 명문, 문인 의 약전을 실었다. 최치원의 `추야우중`, 정지상의 ` 대동강`, 이인로의 `산거`, 이규보의 `영정중월` 등 160여편을 한문원문과 단어해설로 엮었다.
9788976261762

한국한문학개론

민병수  | 태학사
22,500원  | 19971110  | 9788976261762
이 책은 해당 분야 전공자들을 위한 교재 겸 전문서이다.
9788974110376

한국한문학선독

김진영 외  | 새문사
10,000원  | 19930315  | 9788974110376
한국의 한문학을 정리한 책. 한문학과 한국문학을 공부하는 이들에게 도움을 준다.
9788928519804

한국한문학의 재도문학 수용 양상

정재철  | 민속원
41,400원  | 20240510  | 9788928519804
우리나라의 문인 학자들이 재도문학을 수용한 양상에 대해 고찰하다 ‘재도’는 11세기 북송의 성리학자인 주돈이周敦頤가 ‘문장으로 도를 싣는다’고 말한 ‘문이재도文以載道’에서 나온 용어로, 재도문학은 문과 도의 관계에서 문보다 도를 더 강조하는 도덕주의 문학을 의미한다. 한국한문학의 특징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우리나라의 문인 학자들이 위와 같이 송대의 성리학자들에 의해 체계화된 재도문학을 어떻게 이해하고 활용했는지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책에서는 여말에 등장한 신흥사대부의 문학에서 시작해 구한말에 활동한 김택영의 문학에 이르기까지, 한국한문학과 재도문학이 초기에는 서로 조우하고 유착하였다가 후기에는 서로 이완되거나 분리되는 과정을 거치며 서로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 책에서는 위와 같은 내용을 통해 우리나라와 중국이 공유했던 한국한문학의 보편 문학적 특징과 함께, 중국과는 다른 문학적 풍토 아래 자생해온 한국한문학의 고유 문학적 특징을 확인하였다.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