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 네이버책
  • 알라딘
  • 교보문고
"한국해양연구원"(으)로 27개의 도서가 검색 되었습니다.
9788928516438

김용택 오구굿 (김용택 오구굿)

한국해양문화연구원  | 민속원
89,550원  | 20211010  | 9788928516438
김용택 오구굿은 당가집의 요청뿐만 아니고 그동안 김용택과 함께한 제자, 연구자, 지인 등 모든 분들이 함께하여 고인의 우리 전통문화에 대한 애정과 열정 그리고 그의 인간적인 면모를 추모하고 기리기 위하여 마련한 자리였다. 굿에 참여한 관중들의 면면을 보면 김용택이라는 사람이 한평생 굿에 얼마나 열정을 쏟았는지를 간접적으로 알 수 있다. 그는 무집단뿐만이 아니고 다양한 사람들과의 교류를 통해 전통문화의 보존과 전승을 위해 혼신의 힘을 다한 사람이었다. 그의 우리 굿에 대한 사랑을 고인이 되고 난 뒤에 느낄 수 있는 감동이다. 이 굿은 다양한 분야의 사람들이 어울려 고인을 위로하는 슬픔과 그의 예술에 대한 열정을 느낄 수 있는 기쁨이 서로 교차하는 지점에서, 모두가 하나가 되어 위로하고 즐길 수 있었다는 데서 그 의미와 의의를 찾을 수 있다.
9788944490484

해양바이오 (해양과학총서 8)

이희승 (엮음)  | 한국해양연구원
17,820원  | 20170102  | 9788944490484
『해양바이오』는 해양생물자원의 탐사와 다양성에 대해 다루었고, 의학 발전에 기여한 연구들을 서술하여 연구대상으로써 해양생물의 중요성을 기술하였다. 이어 유전체, 천연물, 구조생물학, 화학생물학, 대사공학 등 해양생물을 연구대상으로 삼는 주요 학문들을 소개하였고, 미래해양산업으로 발전 가능성을 가진 소재, 신약, 독효소, 플랑크톤에 대해 설명하였다. 다음으로 바이오 에너지 분야의 수소, 가스 생산에 대한 내용과 어류를 이용한 바이오소재와 식량자원 생산을 기술하였으며 끝으로 환경생명공학에 대해 살펴보았다. 특히 저자는 이 책을 통해 블루 바이오테크놀로지 분야에 관심이 있는 학생과 연구자들에게 해양바이오에 대한 개괄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국내 청색혁명을 통한 해양부국 실현에 보탬이 되고자 하였다. [해양과학총서 시리즈]는 해양과학기술 분야의 지식을 대중에게 쉽게 전달하고자 기획된 시리즈로 해양 각 분야 전문가들이 집필에 참여했다.
9788944490149

지속가능한 연안개발 (해양과학총서 6)

박우선  | 한국해양연구원
18,000원  | 20140219  | 9788944490149
연안이란 강, 바다, 호수의 물가 또는 이것들에 면한 지역을 일컫는다. 인류역사 이래 고대문명은 대부분 강을 끼고 발달했다는 공통점이 있다. 즉, 이집트 문명은 나일 강, 메소포타미아 문명은 유프라테스 강과 티크리스 강, 인도 문명은 인더스 강, 중국문명은 황하에서 시작되었다. 이와 같이 인간의 활동은 예로부터 주로 물가에서 이루어졌으며, 오늘날 현대인들의 경제활동도 대체로 바닷가, 즉 연안을 따라서 이루어지고있어 연안의 이용과 개발이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인간 삶의 지속성을 유지할 수 있는 연안의 이용이 중요하다. 삼면이 바다인 우리나라의 경제적 풍요는 연안개발의 산물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환경오염 문제가 대두되면서 현재는 “연안역통합관리”의 개념이 중시되고 있다. 연안이용에 대한 합리적 판단과 성찰을 통해 인간 삶의 지속성을 유지하는 것이 오늘날 연안개발에 임하는 우리의 과제이다..
9788944410277

지구환경 변화사와 해저자원 (해양과학총서 5)

석봉출, 이희일  | 한국해양연구원
18,000원  | 20130708  | 9788944410277
『지구환경 변화사와 해저자원』은 1999년 초판 출판된 후 15년 동안 시대가 변화함에 따라 좀 더 알차고 충실한 지구과학의 교본 역할을 갖기 위해 각 분야를 재조명하였고, 새로운 ‘심해 산업 비타민 희유금속’과 ‘해저면 음향영상 탐사기술’의 내용을 추가한 개정판이다. 해양에 대한 과학적인 내용과 함께 풍부한 원색사진과 그림을 수록하여 전문 학자들이나 일반인들에게 매우 흥미롭고 유용한 참고자료가 될 뿐 아니라, 특히 대학의 해양관련 전공자들의 교양교재로도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9788944410253

해양오염과 지구환경 (개정판)

강성현, 강동진  | 한국해양연구원
18,000원  | 20130104  | 9788944410253
지구를 위해 우리가 반드시 지켜내야 할 바다!! 1998년 초판 발간 당시 바다를 사랑하는 학생과 일반인들에게 많은 사랑을 받았으며, 한국간행물윤리위원회에서 청소년권장도서로 선정되었던 『해양오염과 지구환경』의 개정판이 출간되었다. 2012년 현재의 최신 내용까지 추가하여, 지구의 기후를 조절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 동시에 지구상에 남겨진 마지막 개척의 장이자 무한한 자원의 보고 ‘바다’를 우리가 어떻게 이해하고 보전해야 하는지에 대해 더욱 깊이 있게 다루었다.
9788959962587

해양과 동아시아의 문화교류

중국해양대학교 해외한국학 중핵대학 사업단,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HK한국문화연구단  | 경진
25,200원  | 20140415  | 9788959962587
지금까지 한중교류에 대한 연구에서 ‘해양’은 별로 관심의 대상이 되지 못했으며 특히 사행 기록 연구 역시 육로사행인 <연행록>에만 그 초점이 맞춰져 있는 실정이다. 중국학계의 경우는 중일 간의 해양교류에 대해서는 일정 정도의 연구업적을 쌓아 왔지만 한중 간의 해양교류에 대해서는 별로 관심을 보이지 않고 있다. 이 책은 바로 이러한 실정에서 출발하여 ‘해양’을 키워드로 한중, 나아가 동아시아의 문화교류를 살펴보고 있다. 책은 기획 초점을 단지 ‘해양을 통한 동아시아의 교류’에 두었지만, 향후의 발전방향으로 삼고자 하는 ‘해양교류’는 단지 ‘해양을 통한 교류사’, 즉 ‘해로사행’이나 ‘표해록’ 등에만 제한된 것은 아니다. 우리가 하고자 하는 것은 ‘해양을 통한 교류’ 외에도 ‘동아시아 해양 네트워크’ 등 전 근대시기 해양교류의 전반적인 영역이며 또한 ‘근대시기 동아시아의 해양에 대한 인식’, ‘근대 동아시아 개항의 역사와 근대 지식의 생산과 유통’ 등 보다 넓은 의미의 ‘해양교류’이다. ‘해양과 인식의 전환’이 바로 그것이다.
9788959962594

한국문학 속의 중국 담론

중국해양대학교 해외한국학 중핵대학 사업단,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HK한국문화연구단  | 경진
22,500원  | 20140415  | 9788959962594
중국에서의 한국학의 가장 보편적이고 중요한 특색은 동아시아 이문화(異文化) 간 교섭에 의해 한국학의 범주와 내용이 새롭게 조정되고 한국학의 지식이 생산된다는 데 있다. 이는 한국에서의 한국학과도 다르고 미국이나 유럽의 한국학과도 다른 중국에서의 한국학만이 가질 수 있는 특수성이다. 문학작품은 이러한 이문화 간 교섭의 양상과 경계에서의 학문지식의 생성과 확산을 가능하게 하는 대표적인 텍스트이다. 이 책은 바로 한국문학작품을 중심으로 이러한 동아시아 이문화 간 교섭의 양상을 살펴보고 이것이 어떻게 경계에서의 학문지식으로 생성되고 확산되는지를 살펴보고자 기획된 것이다. 제1부-“한국 고전문학에 나타난 중국”은 실제적인 중국 체험을 근거로 하고 있는 문학적 기록에 대한 연구에 관한 내용을 다룬다. 제2부-“한국 근.현대 한국문학에 나타난 중국”에서는 한일, 한중 간의 문학 번역의 문제와 중일전쟁 후, 한국인의 중국 인식의 문제, 일제 식민지시기 만주 이민작가들의 만주 인식의 문제, 일제 식민지시기 만주를 여행한 작가의 만주 인식의 문제를 다루고 있다.
9788959961887

문명의 충격과 근대 동아시아의 전환

중국해양대학교 해외한국학 중핵대학 사업단,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HK한국문화연구단  | 경진
16,200원  | 20121230  | 9788959961887
중국해양대학교 해외한국학 중핵대학 사업단의 「중국해양대학교 한국연구소 총서」 제3권 『문명의 충격과 근대 동아시아의 전환』. 중국해양대학교 해외한국학 중핵대학 사업단이,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HK한국문화연구단과 공동주최한 2011년 제3차년도 국제학술회의 발표논문을 모은 것이다. '근대 제국주의 침탈과 동아시아의 전환'이라는 주제로 서양ㆍ일본과의 충돌 속에서 동아시아의 사상 문화적 대응과 더불어 20세기 초 중국 동북지역 중 만주지역 이주조선인의 삶의 양상과 역사적 대응을 검토하기 위해 기획했다.
9791193867037

강원특별자치도의 해양수산특례화 방안 연구 (현안분석 23-11)

이순태  | 한국법제연구원
6,300원  | 20231130  | 9791193867037
「강원특별자치도 설치 등에 관한 특별법」[시행 2023. 6. 11.] [법률 제18875호, 2022. 6. 10., 제정]이 제정된 후, 시행되기도 전에 일부개정 및 전부개정
9791193557723

북한법제 기초연구 4: 북한의 산업법제 연구 해양산업을 중심으로 (통일법제연구 23-18-7)

채수란  | 한국법제연구원
6,300원  | 20230927  | 9791193557723
Ⅰ. 배경 및 목적 ○북한은 주철종도(柱鐵從道)의 교통·물류체계를 갖고 있어 해상운송과 같은 해양산업이 비활성화되었음에도 김정은 정권 들어 해양산업법제 관련 입법 활동이 활발하므로 그 의도를 파악할 필요성 제기 ○2018년 북·미정상회담 참석을 위해 싱가포르를 방문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북한의 도시개발에 싱가포르와 같은 해양도시 및 해양산업이 포함되어 있음을 밝힌 바 있어 최근 단행된 북한의 해양산업법제 제·개정 추세를 파악할 필요성이 있음 ○윤석열 정부의 담대한 구상에는 北, 비핵화 시 대규모 식량 공급과 함께 국제교역을 위한 항만·공항의 현대화 프로젝트가 포함되어 있어 이와 연계된 북한의 해양산업법에 대한 심도 있는 이해 필요 ○본 연구는 김정은 시대 북한의 해양산업법제의 제·개정 동향을 파악하여 그 결과를 바탕으로 남북한의 차후 협력 의제를 설정하고 국제사회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Ⅱ. 주요 내용 ▶해양산업의 정의와 분류체계 ○경제협력개발기구(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Development: OECD)는 해양경제(Ocean economy)를 일컬어 해양을 기반으로 한 산업활동과 해양생태계가 제공하는 서비스의 총합이라고 정의 -OECD는 해양산업을 해양기반 전통산업((Established ocean-base industries)와 신흥 해양기반 산업((Emerged ocean-base industries)로 분류 ○한국의 「해양수산발전기본법」에 따르면 해양수산업을 해양 및 해양수산자원의 관리·보전·개발·이용에 관련된 산업이라고 정의 -2018년 통계청이 승인한 해양수산업 분류체계에 따르면 한국은 해양수산업을 ①해양자원 개발 및 건설, ②해운·항만업, ③선박 및 해양플랜트 건조·수리, ④수산물 생산, ⑤수산물 가공, ⑥수산물 유통, ⑦해양수산 레저·관광, ⑧해양수산 기자재 제조, ⑨해양수산 관련 서비스 9개로 나누었음. 9개 대분류 체계를 기준으로 남북한의 해양산업법 비교 실시 ▶북한의 해양산업 개념과 정책 ○북한 언론이 보도한 해양산업은 ‘해양환경에 대한 보호 관리, 해양자원의 지속적 개발·이용을 목적으로 바닷가 양식사업, 수산자원 늘리기, 해양 탐험과 개발, 해양자원 개발, 해양 과학연구’라고 언급한 바 있어, 국제기구의 지원을 받아 해양생태계 보호에 대한 개념을 제시한 것으로 판단 ○ 김정은 시대 북한의 해양산업 정책은 크게 해운·항만·조선업, 수산물 생산·가공·유통, 해양수산 레저·관광, 간석지사업, 해양생태계 보호 사업으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음 -북한의 해운·항만·조선업 정책은 해운 부문의 활성화로, 새로운 선박 건조를 통해 배 운영의 다종화, 다양화, 무역항 하부구조 보강, 해사 분야의 현대화, 과학화, 정보화 추구 - 북한의 수산물 생산·가공·유통 정책은 수산물 증산을 통한 외화벌이와 식량 증대, 2차 수산물 가공품 증산임 - 북한의 해양수산 레저·관광 정책은 원산갈마해안관광지구사업이 있으나, 대북 제재 이후 건설자재 수급 문제로 중단된 상태 - 북한의 간석지 개간 정책은 농경지 확보를 위해 해안을 간척하는 사업으로 1970년대부터 꾸준히 진행 - 북한의 해양생태계 보호는 국제기구에 영향을 받아 최근 획기적으로 진행하고 있는 정책으로 유엔의 SDG를 내부의 국가발전목표에 통합·연계하여 추진 중임 ▶북한의 해양산업 법제 형성과 구조 ○1970년대부터 사회주의국가들과 활발한 해상무역을 진행하였던 북한은 해운 관련 법을 일찌감치 제정·발달하였고, 제정 초기부터 국제협약의 틀 안에서 국제규범을 수용하는 내용으로 구성되었음. -해상운송은 국제무역을 의미하므로 해운 관련 법은 타법에 비해 가장 국제화되어 있으며 북한의 정치적 영향을 가장 덜 받은 영역 ○해양자원개발, 해양수산 레저관광, 해양수산 서비스 분야의 법이 부재하다는 것은 경제난을 겪는 북한에게 신해양산업 분야는 관심·정책·기술이 모두 부족하다는 것을 의미 ○수산물 생산·가공·유통 분야는 수산법 하나로 모두 규제하고 있어 입법 밀도가 낮음 ▶김정은 시대 북한의 해양산업법 개정 ○2012~2016년까지 김정은 정권 상반기, 북한은 해양산업법의 형식을 체계화하는 데 주력하였고, 해양산업 부활을 위해 법을 제·개정 하였음 ○2017~2022년 김정은 정권 하반기, 북한의 해양산업법은 안전규제 강화와 환경보호를 목적으로 법을 개정 -정권 하반기, 북한의 항만법은 안전규제 강화와 해양환경보호를 위한 목적으로 개정 단행 - 정권 하반기, 북한의 해사감독법은 외국 배의 자율권 보장, 항해의 안전과 바다오염 방지규정을 대폭 강화하였고, 국제 해상무역을 활성화하기 위해 개정 단행 - 정권 하반기, 북한의 선원법, 수로법, 배안전법은 국제규범을 수용하고 안전 운항을 위한 규정을 강화하기 위한 취지에서 소폭 개정 - 정권 하반기, 북한의 소금법은 지하초염수 내용을 중심으로 대폭 개정한 가운데 소금을 증산하고, 소금산업을 유치산업으로 보호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개정 단행 ○2017~2022년 김정은 정권 하반기, 북한의 해양 안전과 해양생태계 보호·관리·유지에 관한 법의 제·개정이 두드러짐 - 북한의 해상탐색 및 구조법은 2019년 제정되었으며, 주로 국제협약(1979년 해상수색 및 구조에 관한 협약)의 영향을 받아 이를 자국법에 도입 - 북한의 해난사고처리법은 기존 해사감독법 제11장의 내용을 별도로 분리하여 독립된 법으로 2016년에 제정하였으며, 이는 북한 사회에 재산과 인명 사고에 대한 규율이 과거보다 구체화·강화되었음을 의미 - 정권 하반기, 북한의 환경보호법은 개정을 통해 환경오염 규제 대상에 바다 오염을 포함하였으며, IMO가 채택한 국제 해양오염 방지협약의 내용이 포함되었음 - 정권 하반기, 북한의 바다오염방지법은 IMO의 선박 유해방오시스템 사용 규제에 관한 국제협약에 가입하고 이 협약의 내용을 반영함, 생태환경조사, 조사연구 역량강화 내용도 포함 - 결국 북한은 최근 잦은 자연재해를 겪으며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국제사회와의 협력이 중요하다는 것을 인식하고, 이를 해양산업법제에 관련 내용을 대폭 포함하였음 ▶남북한의 해양산업 법제 비교 ○남북한 해양산업 법은 개정 방향성이 동일하다는 공통점이 있음 -북한의 해양산업 법은 개정을 통해 국제무역의 활성화, 안전규제 강화, 현대화·정보화, 해양환경 보호, 해양 조사연구 역량 강화를 달성하고자 함 - 한국의 해양산업법은 개정을 통해 해양수산업의 스마트화, 그린화(탈탄소화), 안전 강화, 규제 완화를 통한 산업진흥 달성이 주요 목적임 ○남북한의 해양산업 법제는 타법에 비해 가장 국제화되어 있는 분야라는 공통점이 존재 -해양산업의 특성상 해운, 항만, 조선, 수산 분야가 국제사회와의 네트워킹 혹은 기후변화 등 국제 환경변화 요인에 따라 큰 영향을 받는 특징이 있어 해양산업법제는 가장 국제화된 법규 영역이라 할 수 있음 - 북한의 해양산업법도 태생부터 국제규범의 틀 안에서 제정되었고 꾸준히 국제규범을 수용하고 있음 - 기후변화, 자연재해, 해상안전, 해양생태와 같은 해양 관련 이슈는 초국경적 문제(transnational issues)로 확대될 가능성이 농후하므로 해양산업법은 국제협약의 준수가 매우 중요하며, 북한도 이를 인식하고 있음 ○남북한의 해양산업 법제는 세 가지 측면에서 차이점이 있음 -한국은 해양수산부 주도로 해양수산업 정책이 수립되고 관련 법이 개정되어 실행된다면, 북한은 수령의 지시, 현지지도가 정책화되고 그에 따라 개정을 거치면서 단편적으로 법이 변화 -남북한의 입법체계가 달라 해양산업법의 구성과 기본이념 등이 달라짐, 즉 한국의 상위법은 하위법을 구속하여 상위법은 정책의 대강을 제시하고 하위법이 세부적이고 현실적인 규범력을 갖춘다면, 북한은 이러한 입법체계를 갖추지 않고 있어 지도자의 말씀, 당의 노선이 최고법규의 권위와 효력을 가짐 - 남북한의 상이한 경제체제로 인해 법의 기본이념이 달라짐, 즉 한국은 자본주의 경제체제로 이윤과 효율성을 추구한다면, 북한은 사회주의 계획경제이므로 중앙관료의 계획과 통제에 의한 생산량 증대를 추구 Ⅲ. 기대효과 ▶정책적·학술적 기여 ○윤석열 정부의 담대한 구상, 그린데탕트 관련한 국정과제를 해양 분야로 구체화하거나 추진 과제 발굴에 본 연구 결과 활용 가능 -차후 남북 관계 개선 시 해양환경보호, 해상안전보장, 해양조사연구에 관해 남북한 해양 협력 의제 제시 가능 ○김정은 시대 해양산업법 제·개정 추세를 면밀히 다루었다는 점에서 학술적 가치가 있으며, 차후 남북한 해양산업 비교연구, 해양산업법제 연구 등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
9791198787101

해양 형사·법무분야 정책 기여도 제고를 위한 쟁점 연구

윤지영 외 3인  |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
7,000원  | 20241014  | 9791198787101
9791159805523

딥러닝을 활용한 해양오염 예측도구 개발 및 적용 연구(2)

김태윤  | 한국환경연구원
6,650원  | 20211231  | 9791159805523
이 책은 한국환경연구원의 딥러닝을 활용한 해양오염 예측도구 개발 및 적용 연구(2)을 다룬 정부간행물이다. 해양에서 많은 개발사업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로 인한 환경적 영향을 예측·평가하여 저감방안이 이행되고 있다. 해양환경의 복잡한 특성으로 인하여 개발사업이 해양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그래서 천리안 위성자료와 수치모형에서 계산된 물리 자료를 딥러닝 기술에 적용하여 해양오염 예측도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9791197474910

민간해양구조대 활성화를 위한 법제연구 (현안분석 20-04)

최환용  | 한국법제연구원
4,950원  | 20210318  | 9791197474910
이 책은 한국법제연구원의『민간해양구조대 활성화를 위한 법제연구』를 다룬 정부간행물입니다.
9791166520686

해양경찰 내 성별간 역량진단 및 경력과정 실태 조사 (2022 연구보고서(수시과제) 1)

문미경, 김선아, 김정수, 김영미  | 한국여성정책연구원
16,200원  | 20220902  | 9791166520686
이 책은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의 해양경찰 내 성별간 역량진단 및 경력과정 실태 조사를 다룬 정부간행물이다.
9791198619242

특별수사기관의 수사체계 안착방안연구 2: 해양경찰을중심으로 (연구총서 23-B-09)

박경규, 강성용, 황동혁, 정지혜, 이수진  | 한국형사ㆍ법무정책연구원
7,000원  | 20231201  | 9791198619242
이 책은 한국형사ㆍ법무정책연구원의 특별수사기관의 수사체계 안착방안연구를 다룬 정부간행물입니다.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