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 네이버책
  • 알라딘
  • 교보문고
"한숙"(으)로 1개의 도서가 검색 되었습니다.
9788955279917

한숙구류 가야금산조와 병창(정달영의)

서은영  | 수문당
18,000원  | 20220715  | 9788955279917
본 악보집에는 정달영이 연주한 한숙구류 가야금산조와 병창이 수록되어 있다. 이중 한숙구류 가야금산조는 한숙구(韓淑求, 1850~1925)로부터 정남옥(鄭南玉, 1893~?)을 거쳐 정달영으로 전승된 음악이다. 본 악보집은 정달영이 발간한 음반 및 악보집을 참고하여 한숙구류 가야금산조와 병창을 채보하고 오선보로 정리하였다. 또한 정달영이 발매한 음반 외에 한국전통음악시리즈 34 KBS FM 기획 한국의 전통음악 시리즈-344 에 수록된 정달영의 단가도 추가하였다. 본 악보집을 채보 정리하는 동안 본인의 스승이신 강정열 선생님께서 직접 장구 장단을 쳐주시며 주법과 농현을 다듬을 수 있도록 물심양면으로 애써주셨다. 또한 정확한 악보 기보를 위해 김해숙(현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명예교수)선생님께서도 열성을 다해 도와 주셨다. 올해는 마침 정달영 선생님의 탄신 100주년이 되는 해이다. 정달영 선생님의 제(制)를 이어받은 이수자로서 부족하나마 본 악보집이 한숙구류 가야금산조와 병창이 널리 연주되는데 보탬이 되기를 바란다. 한숙구류 가야금산조(韓淑求流 伽倻琴散調) 한숙구류 가야금산조는 다스름, 진양조, 중모리, 중중모리, 자진굿거리, 자진모리, 휘모리, 엇중중모리(엇모리), 중모리 장단의 순으로 연주된다. 진양조는 상청에서 우조로 시작하여 평조를 거쳐 계면조로 진행하거나, 자진모리 이후 대부분 선율이 계면조으로 진행하는 등 조(調) 구성은 오늘날 연주되고 있는 여러 가야금산조와 크게 다르지 않다. 한숙구류 가야금산조는 한 단락의 길이가 짧은 편이고 똑같은 선율을 상·하청으로 바꾸어 반복한다. 중중모리와 자진모리 사이에 자진굿거리가 있는데 이는 템포가 서서히 빨라져 자진모리(자진자진모리)로 이어주는 역할을 한다. 이는 최옥삼류 가야금산조에 늦은자진모리(악장)가 있는 것과 공통된다. 또 휘모리 이후에 엇중중모리를 거쳐 중모리로 끝난다. 여기서 엇중중모리는 리듬꼴로 보아 현행 엇모리 장단과 같다. 정달영이 연주한 한숙구류 가야금산조 중에는 ‘上→下(스르렁)’ 같은 거문고 연주 주법을 활용하거나, 콘소르디노(Con sordino)나 하모닉스(harmonics,귀곡성)를 활용하여 음색의 변화를 보인다.
1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