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 네이버책
  • 알라딘
  • 교보문고
"한시집"(으)로 1,128개의 도서가 검색 되었습니다.
9791198688781

만 번의 그리움 속 터지는 봄(우리시 시인선 84) (위인한 시집)

위인환  | 우리詩움
8,370원  | 20250720  | 9791198688781
만 번의 그리움 속 터지는 봄』은 용접사이자 시인인 위인환의 첫 번째 시집이며, 그가 그리는 삶의 풍경집이다. 1부 〈이팝나무〉에 18편, 2부 〈장마〉에 17편, 3부 〈티끌〉에 17편, 4부 〈친구의 지갑〉에 19편 등 총 71편의 시가 실려 있다. 위인환 시인의 시집 『만 번의 그리움 속 터지는 봄』은 하루아침에 피어나는 꽃처럼 순간의 감동을 전달하되, 그 뿌리가 얼마나 깊은 흙 속에 박혀 있는지를 보여준다. 위인환 시인은 “독자와 시인의 마음이 껌딱지처럼 이어지길” 바란다고 고백하며, 활어처럼 팔딱거리는, 생생한 시를 추구한다. 위인환 시인의 시집 『만 번의 그리움 속 터지는 봄』은 ‘노동, 아픔, 자연’이라는 세 가지 축을 중심으로 한 독특한 미학을 구축한다. 시집 『만 번의 그리움 속 터지는 봄』을 통해 본 위인환 시인의 시 세계는 현실의 거친 풍경을 직시하면서도, 그 속에서 일어나는 미적 순간들을 예리하게 포착해 내는 데에서 빛난다. 가난과 노동의 고통을 소재로 삼되, 그것을 단순한 고발의 차원을 넘어 예술적 상상력으로 재탄생시키는 것이 그의 시가 지닌 가장 큰 힘이다. 이 시집의 특징은 크게 다음 세 가지 측면에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시집 『만 번의 그리움 속 터지는 봄』에서는 노동의 신성화와 일상의 시학이 두드러진다. 위인환의 시에서 노동은 생존을 위한 수단이 아니라 인간 존재의 근본적 조건으로 다뤄진다. 막노동, 용접, 빚과 같은 소재가 반복적으로 등장하지만, 이는 단순한 현실 고발이 아니다. 오히려 그는 노동의 현장을 신체적·정신적 경험의 장으로 승격시킨다. 예를 들어, 노동의 흔적이 신체에 각인되는 과정을 “철근처럼 야물어진 손”과 같은 이미지로 형상화하면서, 노동을 운명으로 받아들이는 동시에 그 안에서 빛나는 인간적 존엄을 발견한다. 이는 고통을 아름다움으로 전환하는 변증법적 시선이라 할 수 있다. 둘째, 『만 번의 그리움 속 터지는 봄』은 ‘자연 이미지를 통한 고통의 승화’가 특징적이다. 이 시집에서 꽃, 별, 불꽃, 귀뚜라미 소리 같은 자연 요소는 노동의 현실과 대비되거나 결합하며 ‘삶의 비의미를 의미로 채우는 장치’로 작용한다. 특히 불꽃을 “찰나꽃”이라 명명하거나, 가난한 삶 속에서 피어나는 이팝나무 꽃을 노동자의 운명과 겹쳐 보는 상상력은, 덧없는 순간을 영원한 예술로 응고凝固시키는 시적 전략이다. 이는 ‘일상의 비극을 숭고함으로 전환’하는 위인환 시인의 시학을 잘 보여준다. 셋째, 『만 번의 그리움 속 터지는 봄』은 ‘순간의 미학과 저항적 아름다움’이 돋보인다. 그의 시에서 아름다움은 항상 ‘덧없지만 강렬한 순간’으로 포착된다. 용접의 불꽃, 지는 동백꽃, 귀뚜라미의 울음 같은 소재들은 모두 일시적이지만, 그 순간들이 지닌 강렬함을 통해 삶의 고통을 초월하는 계기를 마련한다. 이는 현실의 무게를 견디는 시적 저항이자, 삶의 비의미 속에서 의미를 찾는 인간적 투쟁의 기록이다. 결론적으로, 이 시집은 사회적 약자의 목소리를 예술적 언어로 승화한 사례다. 그는 노동의 현장을 단순한 고통의 공간이 아니라 미적 경험이 일어나는 장으로 재탄생시킴으로써, 문학이 현실을 어떻게 견디고 초월할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 그의 시에서 아픔은 결국 꽃이 되고, 불꽃은 별이 된다. 이는 고통을 예술로, 일상을 시로 바꾸는 위인환 시의 핵심적 가치라 할 수 있다. 이 시집은 노동의 아픔과 아름다움을 동시에 느끼고 싶은 사람, 일상의 소소한 풍경을 시적 이미지로 만끽하고자 하는 사람, 사회적 약자의 목소리에 공감하는 사람들에게 큰 감동을 주는 작품집이다.
9791189282776

어느 화가의 사랑 (에스더 한 시집)

에스더 한  | 시와정신사
9,000원  | 20250515  | 9791189282776
기독교 문학이란 하나님의 구원 사역에 참여하는 인간의 문학적 소산을 말한다. 은혜를 받거나 성령님을 모시는 일은 순간적으로 성취될 수 있지만, 문학은 순식간에 이루어질 수 있는 성질의 것이 아니다. 기독교 문학도 기독교를 바탕으로 그만한 환경과 그만한 역사와 또 그만한 생활에서 절절히 우러남으로써 형성되는 문학적 결정이다. 기독교의 유일무이한 문학적 결정은 하나님께서 인간을 통해 주신 『성경』이다. 그러므로 기독교 문학의 창달이란 성경을 성경대로 확산시키는 일이다. 성경을 성경대로 전하지 못하고 인본적 사고를 가미하거나 가변적 자세로 대하게 된다면, 기독교 문학의 창달은 고사하고 하나님과 인간 사이에 맺어진 사랑의 축마저 허무는 결과가 될 뿐이다. “기독교에는 위대한 성경이 있으므로 성경으로 만족하면 되지 그 외에 또 무엇이 필요하냐?”고 말할 사람도 없지는 않겠지만, 성경 중심의 기독교 문학은 그 수와 양을 더해갈수록 하나님꼐는 영광이요, 인간 모두에게는 커다란 복이라고 생각한다. ----- 시집 발문에서
9791199369504

어찌하여 밤벌레 소리 이리도 시끄러운가 (포암산인 한시집)

포암산인  | 지운
15,300원  | 20250815  | 9791199369504
《포암산인 한시집》은 유학자 포암 이종엽 선생이 남긴 《포암산인 사고》 상·하권 중에서 상권을 국역하여 엮은 한시집이다. 총 130수의 시가 기록되어 있는데, 오언절구(五言絶句) 4수, 오언사율(五言四律) 9수, 칠언절구(七言絶句) 43수, 칠언사율(七言四律) 40수로 구성되었으며 기행시, 자경시, 기념시, 헌작, 애사, 역사, 애국, 충절, 의리, 효, 선조 추모 등 선생의 고유한 전통 가치관과 철학이 고스란히 녹아있어 선생의 깊은 학문과 철학 세계를 엿볼 수 있다. 또한 운림정사 차운(次韻) 11수, 포암산인 차운 10수와 화운(和韻) 칠언율시 9수, 오언배율(五言排律) 4수가 실려 있다. 차운 21수와 화운 13수는 죽포(竹圃), 균파(筠坡), 풍양(楓陽) 등 많은 문인들과 주고받은 시다. 부록으로 《포암산인 사고》 상·하권(산문)의 육필원고 중 하권은 《태극도설(太極圖說)》로 시작하여 《이기화물도서(理氣化物圖敍)》, 운림정사 문답, 선대(先代)의 행장(行狀)에 이르기까지 전형적인 문집의 형태를 띠고 있다. 혹여 하권(산문집)의 번역본을 출간하지 못하여 육필원고가 사장될 것을 막고 연구자들을 위하여 시집의 부록으로 함께 묶었다. 원문에 음독과 상세한 주석을 덧붙여 한문 해독이 어려운 일반 독자들도 한시에 부담 없이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배려하고 있다.
9791186861288

인산졸음 (경두수 한시집)

경두수  | 위
10,800원  | 20231001  | 9791186861288
한시(漢詩)는 산수자연을 매개(媒介)로 사람과 사물이 교감하여 서로 녹아들게 하는 작업이다. 산과 내 금수(禽獸)와 초목(草木) 등이 인간의 정의(情意)와 맞닿아 새로운 의미를 도출해내는 것이다. 즉 시의 대상은 경(景)이다. 그리고 景에 담겨져 표출되는 시인의 주장이 情이다. 빼어난 시(詩)는 情 가운데 景이 있고 景 가운데 情이 있으니, 바로 묘합무은(妙合無垠)이다. 情과 景이 만나 하나가 되니, 어디까지가 景이고 어디부터가 情인지, 그 가장자리를 보이지 말아야 한다. 情을 말하는가 싶더니 어느새 景을 묘사하고, 景을 그려 보이는가 싶더니 다시금 情을 토로하는 정경교융(情景交融)의 경지를 한시에서는 으뜸으로 한다. 시인은 자신의 주장을 시에 내비치지 않고, 독자가 작품 속의 景을 통하여 그 주장을 헤아리도록 해야 한다. 지수술경(只須述景)하니 정의자출(情意自出)하고, 정경교융(情景交融)하여 물아위일(物我爲一)하는, 그저 경치를 풀어놓았을 뿐인데 감정과 의미가 절로 나고, 情과 景이 서로 녹아 사물과 시인이 하나가 되어야 한다. 절구(絶句)는 5언 4구 20자와, 7언 4구 28자로 구성하고, 각각 오언절구(五言絶句), 칠언절구(七言絶句)라 칭한다. 작시(作詩)는 보통 기승전결 법을 사용하며, 기구(起句)에서는 시상(詩想)을 불러일으키고, 승구(承句)에서는 시상을 이어가며, 다시 전구(轉句)에서는 시상을 비약시켜 반전을 꾀하고, 결구(結句)에서는 시제(詩題)에 부합하게 결말을 짓는다. 율시(律詩)는 수련(首聯) 함련(頷聯) 경련(頸聯) 미련(尾聯)으로 구성하고, 평측을 골라 염을 맞추어야 하며(절구도 그러함), 함련과 경련에는 반드시 대우(對偶)를 붙여야 하는 등, 한시 특유의 까다로운 시칙(詩則)을 준수하여야 한다.
9788958175308

백사한시백수 4: 해동성국 (황필홍 한시집)

황필홍  | 다운샘
31,500원  | 20230629  | 9788958175308
이 책은 한국문학 한시에 대해 다룬 도서입니다. 기초적이고 전반적인 내용을 학습할 수 있습니다.
9791186853726

백사 한시집 (시로 쓴 육십자술)

최영성  | 문사철
13,500원  | 20200215  | 9791186853726
한국철학을 전공한 학자가 회갑을 앞두고 1997년부터 2019년까지 써온 고체(古體)의 한시 122수를 한 권에 묶었다. 지난 세월을 반추하고 인연을 맺어온 이들에게 감사하기 위함이다. 자전적(自傳的) 성격이 있어 부제를 ‘육십자술(六十自述)’이라 하였다. 작자 스스로 번역하고 해설을 붙였다. 가깝게 지내는 사람들의 감상평도 일부 곁들였다. 한시의 맛과 멋을 찾으려는 이들에게 일독을 권한다. 「무량사를 찾아서(尋訪無量寺)」라는 제목의 시 한 수 소개한다. 綠碧靑黃可愛山 갖가지 빛깔의 산(萬壽山) 사랑스러운데 雨花宮中破愁顔 우화궁(雨花宮)에서 모처럼 시름 덜었네. 一碗香茶僧語澹 향기로운 차 한 잔, 담박한 스님의 말씀 正是浮生半日閒 바로 ‘부생의 반나절 한가함’이런가.
9788937604867

조순 한시집 (봉천혼효사십년)

조순  | 비봉
18,000원  | 20220305  | 9788937604867
이 책은 조순 선생의 세 번째 한시집으로 저자가 1983년 가을에 발의하여 만들어진 모임인 난사蘭社 한시동인회에서 발표하신 시들을 번역한 것으로 저자의 80-90대 노경에 쓰신 시들이 작시 선후 순으로 배열되어 있다. 경제학자로 더 잘 알려진 저자는 한학에 관하여 매우 조예가 깊다. 유년 시절부터 이미 붓글씨에 뛰어났고, 영어에 탁월한 조예가 있으신데, 영어 이전에 이미 한문 고전, 시문에 대한 애호는 평생 동안 지속된 것이다. 시詩 속에는 동서 고전을 읽고, 특히 중국의 역사를 생각하면서 찾아본 많은 여행담, 현금의 시국에 대한 걱정과 세계정세에 대한 견해 같은 내용이 많고, 노경老境의 고적孤寂, 고향에 대한 그리움, 지금 사는 집(봉천동)에 대한 애착 등이 다양하게 담겨있다. 내용이 워낙 다양하여 저자의 주변 사정을 잘 파악하지 못하면 시의 뜻을 잘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이 많다. 그러나 어렵게 생각되는 내용이나 구문에 대하여서는 매우 친절하고도 상세한 저자의 한문 주석이 달려있다. 이 책에는 주석을 모두 한글로 풀이 하고 보주를 더하였으며, 원문에 음과 토를 달고 풀이하여 누구라도 관심을 갖고 보면 즐겁게 조순 선생 한시의 세계에 쉽게 접근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시대의 指導者 중에 저자같이 東西古今의 學問과 思想에 博通하시면서도 精深한 어른이신 저자가 노년에 드물게 하신 생각을 한시로 표현하신 것을 통해, 앞으로 우리나라가 나아가야 할 方向에 금언金言이며 등대가 될 것임을 이 책을 통해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9788958174950

동행 (황필홍 한시집)

황필홍  | 다운샘
27,000원  | 20210901  | 9788958174950
책 제목 “백사한시백수3”의 백사는 산포와 함께 쓰는 나의 다른 이름 別號(Penname)다. 백사는 전남 강진 白沙에서, 산포는 전남 나주 山浦에서, 가져온 이름인데 두 곳은 나의 어릴 적 고향땅이다. 그러므로 백사한시백수는 나 백사 황필홍이 쓴 한시 백 편이라는 말이다. 2017년 12월에 “백사한시백수 1”을, 2020년 5월에 “백사한시백수 2”를, 앞서 출간한 바 있어서 이번 시집의 書名은 마땅히 “백사한시백수3”이 된다. 그런데 “白沙漢詩百首3”과 더불어 “同行”을 제목으로 竝記한 것은 내 한시집 시리즈의 새로운 시도다. 金尙鎔 시의 ‘오고 가고... 그대완 잠시 동행이 되고’처럼 그 의미야 물론 ‘동행 Going with’은 ‘더불다’ ‘같이 가다’ ‘길동무하다’ ‘저패걸음하다’는 뜻이다. 말인즉슨 시편을 써내려가면서 필자는 쉼 없이 詩趣의 美意와 동행하려 하였고, 천 리 길에도 늘 이웃 比隣과 동행하려 하였으며, 살아가는 시대의 기쁨과 슬픔에 同病相憐으로 미력이나마 함께하려 나름 애썼다는 말이다. 하기야 아름다움의 추구가 至高至純의 가치라고 외치는 예술지상주의(Art for art's sake)를 내세우는, 그래서 도덕이나 실용이나 쾌락 따위에 얽매이지 않아야한다는, 오스카 와일드 에드거 엘런 포우 플로베르 보들레르와 같은 일군의 眈美派 작가들도 있지마는, 내가 좇듯이 盛唐 杜甫처럼 그의 시를 시로 쓴 역사 ‘詩史’라고 평가받는 시인도 있었고 中唐 白居易처럼 정치적 사회적 현실을 떠나서 시는 존재할 수 없다고 시의 ‘世上救濟’를 외친, 곧 사회적 실재론(Social realism)에 사뭇 경도된, 시인도 있었다. 그러므로 實踐的 同行은 이 시집 전체를 관통하는 詩學의 길라잡이가 된 것이다.
9788964120965

야생의 시간을 사냥하다 (윤은한 시집)

윤은한  | 리토피아
8,100원  | 20180630  | 9788964120965
윤은한 시집 [야생의 시간을 사냥하다]. 《나의 몸은 동물원이다》, 《봄이 오는 소리》, 《난쟁이가 바라본다》, 《뜨거운 하루》, 《아내의 노고단》등 다양한 작품을 감상할 수 있습니다.
9791186853900

백사 한시집 .2 (해설과 감상이 있는 시집)

최영성  | 문사철
16,200원  | 20210515  | 9791186853900
2020년에 펴낸 『백사한시집』의 두번째 작품집이다. 14개월동안 창작한 78수를 수록하였으며, 대다수가 절구와 율시이다. 감정과 사상 표현에 큰 제약이 없는 고풍시의 장점을 현대에 잘 살리자는 데 주안을 두었다.
9791191757903

만해 한용운 한시집 (萬海 韓龍雲 漢詩集)

이장우, 권혁화, 신보균, 주동일  | 명문당
18,000원  | 20230829  | 9791191757903
만해 한용운(1879~1944)은 독립운동가 겸 승려, 시인으로 우리나라 근대사에 큰 자취를 남겼다. 시, 시조, 소설, 수필, 논설, 논문, 주석서 등 다양한 장르의 글을 쓰셨지만, 한시를 통하여 인간 한용운의 모습을 무엇보다 가까이에서 볼 수 있을 것으로도 생각한다. 이런 까닭에 이 책에서는 《한용운전집》의 한시를 비롯하여 만해선사의 저작으로 확인된 한시를 모두 모아 현대인의 감각에 맞추어 풀이하여 보려 하였다. 또한 시대적인 흐름으로 나열된 만해선사의 한시를 시에 표현된 정서를 중심으로 분야를 나누어, 그분이 시를 지을 당시의 정서를 확인하고 공감하여 보고자 한다.
9791168550582

세상 참! (규운당 한시집)

규운당  | 청어
22,500원  | 20220731  | 9791168550582
한자는 글자 하나하나가 뜻을 지니고 있다. 때론 시나 문장에서 글자들이 결합하여 의미를 부여하는 단어나 관용어구가 되기에 붙여 써야 하나, 한글세대들이 가지고 있는 한자는 어렵다는 생각과 빽빽하게 붙어 있으면 시각적으로 거부감을 줄까 봐 작자 임의로 한 글자씩 띄우고 행간도 벌려놓아 보기 쉽게 하고 독음만 옆에 붙여 써 놓았다.
9791195009459

덕천 한시집

윤삼만  | 로뎀나무아래에서
7,200원  | 20131227  | 9791195009459
『덕천 한시집』은 진주팔경부터 1997년 지은 시, 1998년 지은 시, 1999년 지은 시, 2000년 지은 시, 축시 송시를 주제로 다양한 한시들을 수록하였다.
9788980169191

가남 한시집

가남 손해성  | 대학서림
0원  | 20111228  | 9788980169191
『가남 한시집』은 한국과 중국의 고시 중 서작품의 소재로 쓰일 내용을 저자의 필체로 쓴 책이다. 소작품의 소재로 적합한 한시를 엄선하여 쓴 필체에 고유한 해설을 덧붙여 수록함으로써 한시를 감상하는 즐거움을 제공한다.
9791186637074

심연 한시집

김상렬  | 도서출판 삼화
41,580원  | 20200122  | 9791186637074
심연 한시집. 심연 김상렬은 조선왕조의 마지막 시기에 시작하여 1894년 갑오개혁, 1910년 국권침탈, 제1차 세계대전, 제2차 세계대전, 해방과 건국 그리고 6·25 전쟁까지 하루 앞을 내다보기 어려운 격변의 시대를 살았다. 심연 김상렬이 남긴 시는 구한 말에서 한국 전쟁까지 격변기를 살아낸 한 지식인이 지닌 사유를 이해하는데 좋은 자료가 될 수 있다.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