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 네이버책
  • 알라딘
  • 교보문고
"화폐 한국사"(으)로 11개의 도서가 검색 되었습니다.
9791169780001

화폐 한국사 (우리 지갑 속 인문학 이야기)

은동진  | 브레인스토어
15,120원  | 20221230  | 9791169780001
우리 지갑 속 잠자고 있던 ‘한국사’가 깨어난다! 일원부터 오만원까지, 주화에서 지폐까지! 읽다 보면 빠져드는 화폐 속 인문학 이야기 〈화폐 한국사〉! 우리 지갑 속 화폐에는 수많은 이야기가 잠들어있다. 우리가 무심코 사용하는 화폐는 우리나라와 민족을 대표하는 물건으로써, 화폐 속에는 우리 정서에 거슬리지 않으면서, 민족을 나타낼수 있는 도안들이 즐비하게 깔려있다. 풍죽도와 같은 그림부터, 동물, 탑, 식물, 천체 관측 도구, 건물, 역사적 인물까지. 아무렇게나 배치된 듯 보이지만, 모두 우리 민족의 정서와 이미지를 고려해 선택한 것이다. 다시 말해, 국민 정서상 호감적인 이미지를 가지고 있어야하고, 논란이 있어서는 안되며, 우리 민족의 정서와 문화를 상징할 수 있는 소재여야 하는 것이다. 그런 까다로운 심사를 거치다 보니, 자연스레 화폐 속에는 우리 민족의 이야기가 담겨 있을 수밖에 없다. 화폐 속 주인공들은 우리에게 친숙한 것들이다. 무궁화, 거북선, 다보탑, 벼, 이순신, 학, 이황, 이이, 세종, 신사임당. 그러나 왜 그것들이 우리의 정서와 문화를 대변해주는지는 선뜻 대답하기 어렵다. 그래서 모아봤다. 가장 한국스러운 소재들의 이야기. 무궁화가 언제부터 우리 꽃으로 불렸는지, 벼가 50원 도안이 된 이유가 무엇인지, 이황과 이이는 과연 어떤 인물이었는지, 세종이 왜 가장 많이 화폐 모델로 뽑히게 된 것인지. 누군가 물어본다면 선뜻 대답하기 어려운, 하지만 한국인이라면 알아야할 화폐 속 한국사 이야기들을 모았다. 또한 지폐 속에 담겨 있는 여러 도안들의 이야기 역시 담았다. 지폐 앞, 뒷면에 자리잡고 있는 그림과 물건들은 어떤 것을 상징하고 있는 것일까? 한국사를 재밌고, 맛있게 알리려 노력 중인 한국사 강사 은동진의 신간 〈화폐 한국사〉에서는 일원부터 오원, 십원, 오십원, 백원, 오백원, 천원, 오천원, 만원, 오만원까지 총 10종의 화폐 속에 숨어있는 한국사를 풀어내고 있다.
9791168872400

한국 화폐 도감(200부 한정판)

한국학자료원 편집부  | 한국학자료원
225,000원  | 20230315  | 9791168872400
화폐란 상품 교환의 매개물로 가치의 척도, 지불의 방편, 가치의 저장 수단 등으로 유통되는 재물이다. 자급자족을 하던 인류는 경제생활이 변화하여 잉여생산물이 발생하면서 물물교환을 하게 되었고, 그 후 조개껍데기나 가축, 곡물류 등의 물품화폐를 사용하게 되었다. 우리나라에서 원시 자연 경제 시기를 거쳐 품질ㆍ체재 및 무게 등을 규격화한 화폐가 주조·유통되기 시작한 것은 고려 성종 15년(996년)에 등장한 ‘철전’이 처음이다. 그러나 화폐의 사용이 활발해지기까지는 오랜 시간이 필요했다. 1678년 ‘상평통보’가 등장하면서 화폐의 사용이 다소 확대되어 점차 자리를 잡아가기도 했지만 대한제국 말기까지도 화폐는 지금처럼 거래의 수단으로 확고하게 자리 잡지는 못했다. 삼국시대 이전에는 조개껍질과 같은 쉽게 구할 수 있는 물품이, 벼농사 이후에는 가치 산정이 비교적 쉬운 곡물, 직물 등이 화폐의 역할을 수행하였다. 그러나 물품의 직접적인 거래에 불편함을 느낀 이후에는 지금의 화폐, 즉 칭량 화폐가 나타나게 되었다. 1909년 11월 우리나라 최초의 중앙은행인 ‘한국은행’이 설립되었다, 한국은행은 1910년 12월 1원권을 시작으로 5원, 10원권 화폐를 제조하였다. 1911년 2월「조선은행법」이 공포되어, 8월에는 한국은행은 조선은행으로 명칭이 변경되어 광복 때까지 화폐를 발행하였다. 1910년 1,180여만 원에 불과하던 발행고는 1945년 8월에는 49억 원에 이르렀다.1945년 8월 광복 이후에도 중앙은행 업무를 계속하던 조선은행은 당시 극심한 인플레이션을 극복하지 못하였고, 식민지 금융체제 청산에도 한계가 있었다. 결국 1950년 5월「한국은행법」이 제정·공포되고, 6월 ‘한국은행’이 설립되었다. 1951년 10월「한국조폐공사법」에 의하여 한국조폐공사가 설립되어 1952년 10월 국내 최초로 새 한국은행권 1천원권과 5백원권을 발행하였고, 그 뒤부터 한국은행권의 제조는 한국조폐공사가 맡게 되었다. 한국은행은 설립 직후 발발한 6.25전쟁으로 전쟁비용을 조달하고 인플레이션 수습에 역점을 두었으며, 정전 이후에는 경제재건을 위한 금융자금을 원활하게 지원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화폐의 발생과 발전 과정을 사진과 함께 상세히 알아보고 우리나라에서 쓰였던 외국 화폐와 유사 화폐, 북한의 화폐 등을 통하여 시각적으로 많은 공부가 되었으면 한다. 또한 화폐의 경제적인 가치뿐만 아니라 화폐에 담겨 있는 학문적, 자료적인 가치에 대해서도 새롭게 알아보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9791168872097

조선화폐고(영인본) (유자후(柳子厚)가 지은 우리나라 화폐에 관한 1940년판 영인본)

유자후  | 민족문화
63,000원  | 20221031  | 9791168872097
유자후(柳子厚)가 지은 우리나라 화폐에 관한 저서. A5판. 822쪽. 1940년 학예사(學藝社)에서 간행하였다(동아일보에 연재된 것을 수정, 보완하여 우리말로 출판하였음). 저자의 서문은 없고 대신 윤치호(尹致昊)·여운형(呂運亨)·백관수(白寬洙)·장덕수(張德秀)·이원철(李源喆) 등의 서문이 들어 있는데, 이는 당시 우리 나라 사람들이 얼마나 이 책의 간행을 축하하였는가를 보여주는 것이라 하겠다. 예를 들면, 여운형은 서문에서 “이 책은 수십 년 각고한 공부에 심혈을 기울인 산물이다. 이 어찌 반도문화의 광휘(光輝)가 아니며 학문연구의 전범(典範)이 아니리오. 감격에 넘쳐 무사(蕪辭)로써 서한다.”라고 쓰고 있다. 또한, 백관수는 “산만한 조선 화폐의 사실(史實)을 들추었고, 이 유루(遺漏) 없는 사실(史實)을 막대한 고전실물(古錢實物)로 고증하여 『조선화폐고』를 성편(成編)시켰다. 이리하여 우리 선대(先代)의 경제생활 내지 문화생활의 일반을 파악 인식시킴에 충분하였다. 특히, 이 방면에 뜻하여 이미 십수유년(十數有年) 수집장치(搜集藏置)한 사료(史料), 실로 그 절대한 노력을 경탄케 한다.”라고 쓰고 있다. 내용은 상고시대부터 조선 고종 때까지의 화폐에 관련된 내용을 총 8장으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제1장 상대조선(上代朝鮮)의 폐제(幣制)에서는 머리말, 국호의 약의(略義), 조선고전폐연대표(朝鮮古錢幣年代表), 신시시대(神市時代)의 폐제, 단군시대의 폐제를 서술하였다. 제2장 후조선태조문성왕기자시대(後朝鮮太祖文聖王箕子時代) 곡폐(穀幣)에서는 곡폐포화(穀幣布貨)에 대한 일단, 기자조선흥평왕시대(箕子朝鮮興平王時代)의 전폐자모전(錢幣子母錢)에 관하여 고찰하였다. 제3장 삼한시대의 폐제, 제4장 삼국시대의 폐제, 제5장 고려시대의 폐제, 제6장 이조 초엽시대의 폐제, 제7장 이조 중엽시대의 폐제, 제8장 이조 말엽시대의 폐제로 되어 있다. 각 장절에서는 해당하는 시기의 화폐제도 및 화폐가치의 변동에 관련되는 사항 뿐만 아니라, 당시의 화폐에 관련되는 이론이나 사상과 그에 따르는 내용을 종합적으로 고찰하였다. 이를테면, 제7장의 (마)숙종대왕시대에 서는 우상(右相) 최석정(崔錫鼎)의 전폐론, 행전관(行錢官)과 행전차인(行錢差人), 성호이익선생(星湖李瀷先生)의 학설, 부세용전기원고(賦稅用錢紀元考), 필자의 주전고시설(鑄錢考始說), 번돈과 벌 돈과의 통화관계, ‘어음(於音) 표(票)에 대하야’ 등으로 다양하게 고찰하였다. 화폐에 관련되는 다양한 내용이 서술되어 있으므로 우리나라 화폐사를 연구하는 데 귀중한 자료가 된다. 조선화폐고 [朝鮮貨幣考]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9788961877343

일제강점기 화폐제도와 금융

조명근  | 동북아역사재단
18,000원  | 20220630  | 9788961877343
강제병합 후 일제는 1910년대 내내 식민지 조선의 금융제도를 정비했는데, 은행권 발행 및 국고금 취급 등 중앙은행의 기능을 수행하는 조선은행, 농공업을 중심으로 한 산업금융을 담당하는 조선식산은행, 지방 중소지주 및 도시 상공업자를 대상으로 하나 금융조합 등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특수금융기관이 설립되었다. 식민지 조선의 금융제도는 형식적으로 일본 제도를 도입하여 특수금융기관과 일반은행의 분업이라는 형식을 취하였다. 이 책은 식민지기 화폐제도 및 금융정책과 금융기관별 활동으로 구성하였으며 정책에 초점을 두어 해당 정책의 목적 및 의도가 어디에 있으며 그 시행의 결과물을 무엇인지, 당대 조선인의 삶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에 중점을 두고 서술하였다.
9788942390489

조선전기 대외무역과 화폐 연구

박평식  | 지식산업사
25,200원  | 20180827  | 9788942390489
조선 전기 상업사 연구의 완결판 조선 전기의 상업을 중심으로 전근대 동아시아의 정치와 경제를 아울러 파고든 기초 연구서가 출간되었다. 지은이 서울사대 역사교육과 박평식 교수는 전작 『조선전기상업사연구』, 『조선전기 교환경제와 상인 연구』에 이은 이번 책으로 20여 년에 걸친 조선 전기 상업사 연구 3부작을 완성하였다. 그는 정치·경제·사회·문화 등 전 분야에 걸친 고려 말의 제반 문제를 끌어안은 상태에서 유교 통치이념의 전제군주제 국가로서 출발한 조선 초의 유통경제체계 발전 양상을 총체적으로 고찰하였다. 뿐만 아니라 이와 더불어 동아시아의 국제교역에 배경을 둔 국제정세의 변동 상황을 살피고, 조선 후기 상업사 연구에 대한 시사점과 비전 또한 제시하였다.
9788949909363

조선후기 화폐유통과 경제생활

정수환  | 경인문화사
25,200원  | 20130428  | 9788949909363
『조선후기 화폐유통과 경제생활』은 국가와 왕실재정의 운영에 있어서 화페적 요인, 매매활동과 매매관행의 변화, 생활일기를 통한 개인 경재생활의 실상, 그리고 경제환경에 대응한 당대 지식인의 경제사상의 추이에 대해 규명했다.
9788949908014

조선시대 화폐유통과 사회경제

권인혁  | 경인문화사
21,600원  | 20110823  | 9788949908014
조선시대의 화폐유통과 사회경제를 연구한 책. 전반부에서는 시대적으로 여말선초로부터 18세기까지 화폐의 유통과 그에 수반되는 제도적, 사회적 변화상을 살펴보고, 후반부에서는 저자가 머물렀던 제주지역의 조선 후기 사회경제사에 대한 탐색을 시도하였다. 조선사회의 화폐정책과 화폐로 인해 파생된 조선사회의 사회경제사적 면모를 부각시키고자 했다.
9788984943483

18세기 상품화폐경제의 발달과 화성 건설

이달호  | 혜안
15,300원  | 20080725  | 9788984943483
조선 후기가 신분제와 '경제외적 강제'를 특징으로 하는 봉건왕조가 서서히 해체되어 가는 시기라는 문제의식을 갖고 화성 건설을 통하여 조선 후기 정조대의 사회경제사를 바라보고 있다. 이 책에 따르면 화성 건설은 서구와 일본의 제국주의 시장 팽창 이전에 우리나라에서 자생적으로 싹트고 있던 상품화폐경제의 결정체라 할 수 있다. 또한 조선 초기의 '경제외적 강제'의 시대에서 '시장의 논리'가 지배하는 사회로의 변화를 보여주는 결정체가 바로 화성 신도시 건설이라고 얘기하고 있다.
9788971801970

조선의 화폐와 화폐량

이정수  | 경북대학교출판부
20,000원  | 20061030  | 9788971801970
이 책은 조선이 들어서는 14세기 말부터 19세기까지 약 500년 간 조선의 화폐사를 살펴보고 있다. 당시 유통되었던 화폐의 실체를 구체적으로 추적함으로써, 조선의 화폐사를 고찰하였다.
9788973006748

Spirit of Korean Cultural Roots 13 : Money : 전통사회 화폐(Hardcover) (Traditional Korean Society)

Won Yu Han  |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13,800원  | 20060215  | 9788973006748
이 책은 2005년 11월 출간된 우리 문화의 뿌리를 찾아서 13-의 영문판이다. 한국의 화폐사는 어떠한 역사적 발전 단계를 거쳐 오늘에 이르렀는가. 이 책은 한국사의 고대는 ‘화폐 생성기,’ 고려 시대는 ‘화폐 유통 시도기의 전반,’ 조선 전기는 ‘화폐 유통 시도기의 후반,’ 조선 후기는 ‘화폐 경제 성장 발전기’, 조선 말기는 ‘근대 화폐 제도 수용기,’ 그 이후 근대의 화폐 제도로 나누어 살펴보고 있다 또한 각 발전 단계를 화폐 유통 배경, 유통 정책과 영향 및 그 역사적 의의로 구분하여 도판과 함께 자세히 설명하고 있다. 독자들은 우리 역사 발전의 중요한 요인이 되는 화폐 경제 발전에 대한 분석을 통해 한국 전통 문화의 본질을 이해하고 동시에 세계사 속에서의 한국 문화의 동질성과 이질성을 포괄적으로 비교해 볼 수 있을 것이다. Through what stages has Korean money evolved to reach the present state? This book examines the currency of each period, the background to how it came into circulation, related government policies, and the impact and historical significance. Relevant illustrations are included. Through an analysis of the advancement of a money economy, an important factor in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Korea, the readers will understand the unique nature of traditional Korean culture.
9788973006618

한국의 전통사회 화폐 (우리문화의 뿌리를 찾아서 13)

원유한  |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11,040원  | 20051125  | 9788973006618
화폐란 거래를 원활하게 하는 데 쓰이는 일종의 매개물이다. 이 매개물은 조개껍데기ㆍ곡물ㆍ옷감ㆍ소금 등과 같은 물품일 수도 있으며, 오늘날 사용하는 지폐(紙幣)나 주화(鑄貨)일 수도 있다. 이러한 화폐는 가치 척도, 지급 수단, 가치 저장, 교환 수단 등의 다양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 화폐는 지역적 조건이나 사회 경제 및 정치적 발전 단계에 따라 각기 독특한 형태를 가지면서 발전해 왔다. 일반적으로는 물품 화폐→금속 화폐(칭량 화폐→주조 화폐=주화)→지폐→신용 화폐 등의 형태로 발전해 왔다. 즉 구체적인 것에서 추상적...
1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