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 네이버책
  • 알라딘
  • 교보문고
"누정"(으)로 19개의 도서가 검색 되었습니다.
9788928513086

누정 산책 (삶의 멋과 여유를 찾다)

김창현  | 민속원
26,550원  | 20190520  | 9788928513086
아름다운 자연과 어우러진 樓亭 『누정 산책』은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누각과 정자 가운데 66곳을 엄선하여 소개한 책이다. 이 책은 전국의 누정을 답사하면서 직접 찍은 500여 장의 사진과 800매 정도의 글로 구성되었다. 이들 66곳의 누정은 역사·문화·건축적 측면에서 남다르다. 들어선 자리도 다른 누정에 비할 바 아니다. 바람소리, 물소리에 저절로 자연과 하나 되는 그런 장소들이다. 거기에 선인들이 남긴 여러 이야기와 시문이 더해진다. 누정은 옛 선인들에게 그랬던 것처럼 지금도 일상에 바쁜 우리들에게 삶의 멋과 여유를 주는 공간으로 남아있다. 누군가 몇 사람이라도 이 책을 들고 누정에 오르는 바람을 가져본다.
9788958171522

누정풍월

동천칠호  | 다운샘
16,200원  | 20060429  | 9788958171522
동천 칠호 시집서 『누정풍월』. 전국에 산재하고 있는 정자를 찾아다니며 읊은 한시들을 총2부로 모아 엮었다.
9791188905409

창원의 누정

박태성  | 불휘미디어
40,500원  | 20200120  | 9791188905409
『창원의 누정』은 창원의 산과 강, 마을과 들판에 새겨진 아름다운 사람들의 자취를 담은 향기로운 그릇이다. 지리산에 뻗어내려 여항산, 두척산, 천주산, 정병산, 비음산, 대암산, 불모산, 장복산을 타고 흐르는 산맥이 상스러운 정기를 돋우어 창원을 옹위한다. 이곳에는 최치원에서부터 고려, 조선을 거치는 동안 수많은 인물들이 자리하였다. 정지상, 정구, 허목, 황덕길, 박신윤, 김명윤, 노경종, 김상정, 김병린, 장지연 등등 빼어난 인물이 헤아릴 수 없이 많다. 이들이 지나간 자리에는 누각과 정자가 남았고, 골마다 마을마다 이들과 교유한 선현들이 있어서 수많은 재실과 당(堂)이 자리 잡았다. 창원을 문창(文昌)이라 한 것은 많은 인물들이 깊이 침잠한 학문과 행실로 스스로 수행하여 이루어낸 불멸의 탑이다.
9788994033464

서울의 누정

서울특별시시사편찬위원회  | 서울특별시시사편찬위원회
10,000원  | 20121215  | 9788994033464
9791187833406

한국누정시조 (김창현 정형시집)

김창현  | 이든북
10,800원  | 20180209  | 9791187833406
김창현 정형시집 『한국누정시조』. 이 시집은 김창현의 정형시를 엮은 책이다. 책에 담긴 주옥같은 시편을 통해 독자를 시인의 시 세계로 안내한다.
9788997565139

섬진강 누정산책

강정화, 김아네스, 강정화  | 흐름출판사
23,750원  | 20120228  | 9788997565139
본 책은 지리산을 휘감고 돌아 흐르는 섬진강 가에 지어진 누정에 관한 글들을 모았다. 누정의 시문을 중심으로 누정의 옛 모습을 되찾고자 하였다. 여러 누정 가운데 남원·곡성·구례·광양·하동의 대표적 누정 20곳을 중심으로 이야기를 풀었다. 이를 통해 누정이 세워진 동기나 과정, 지리산과 섬진강의 아름다운 풍광을 노래하였던 선현들의 그윽한 정취를 감상할 수 있다.
9791188710225

삶과 꿈, 누정에 담다 (김도경 교수가 읽어주는 우리 건축)

김도경  | 달아실
10,800원  | 20181019  | 9791188710225
김도경 교수가 읽어주는 우리 건축 이야기. 1부 '누각과 정자로 본 우리 건축', 2부 '그의 뜻을 잇는 사람들'로 구성되었다.
9791162444641

누정에 오르는 즐거움

권영호  | 역락
12,600원  | 20191227  | 9791162444641
▶ 누정에 오르는 즐거움에 관한 내용을 담은 전문서적입니다.
9788959963270

역주해 역대 촉석루 시문 대집성 (한국 누정문학의 보고)

하강진  | 경진출판
45,000원  | 20190808  | 9788959963270
한국 누정문학 연구와 지역문화 콘텐츠 발굴의 길잡이 한국의 대표 명승지 ‘촉석루’를 소재로 지은 시문을 국내 처음으로 집대성해서 번역한 책으로, 700년간 시문에 온축된 불굴의 민족사와 충절의 문학정신을 생생하게 확인할 수 있다. 한국 누정문학 연구와 지역문화 콘텐츠 발굴의 길잡이가 될 것이다.
9788928507672

한국의 혼 누정

이갑규, 김봉규  | 민속원
26,550원  | 20150710  | 9788928507672
혼이 깃든 누정은 특히 영남지역에 많이 남아있다. 하지만 시대와 환경의 변화로 누정이 방치되면서 거기에 담긴 소중한 정신문화 유산은 대부분 어둠속에 묻혀있는 것이 현실이다. 누정 건물 자체보다 더 소중한, 거기에 담겨진 선비들의 정신과 가르침을 찾아보고자 시도한 결과물이 이 책이다. 누정에 남겨진 시문이나 누정기, 주인공의 문집 등을 통해 선조들의 소중한 정신과 풍류, 지혜를 더듬어보았다.
9788972954767

인문학으로 누정읽기

박연호  | 충북대학교출판부
13,500원  | 20181126  | 9788972954767
당대인의 시각에서 그들이 남긴 문화를 본다는 것은 건축물의 경우, 그들은 그것을 왜 만들었는지, 왜 그곳에 세웠는지, 그곳에서 무엇을 했는지, 회화의 경우에도 그런 그림을 왜 그렸는지, 그들에게 그 그림은 어떤 의미가 있었는지를 생각해 보는 것이 그들의 입장에서 문화를 보는 것이다. 또 청자나 백자는 색깔과 모양의 측면에서 당대의 음식문화와 어떻게 관련되었는지를 생각해보는 것도, 조선시대 못은 왜 모두 사각형이며, 그곳에는 대부분 연꽃을 심었는지, 그것이 당대인들의 어떤 사고를 반영하고 있는지 등의 의문을 가지고 문화를 이해하는 것이 당대인의 시각에서 문화를 보려고 노력하는 것이며 인문학적인 시각에서 문화를 이해하는 것이다. 누정문화를 감상하는 것도 마찬가지이다. 경회루(慶會樓)를 비롯한 루(樓)는 정자에 비해 규모가 크고 화려하며 이층집의 형태를 갖추고 있다. 반면에 정자(亭子)는 단층에 기둥과 지붕만으로 이루어진 것이 대부분이다. 누정은 기둥만 있고 벽이 없다. 왜 루(樓)와 정(亭)은 이렇게 다른 형태로 지어졌는지, 사람들은 그곳에서 무엇을 했는지, 정자는 왜 조선시대에 집중적으로 지어졌는지, 루(樓), 정(亭), 각(閣), 대(臺), 재(齋), 헌(軒) 등은 각각 어떻게 다른지, 이와 같은 의문을 품고 누정을 보려고 할 때, 당대인의 시각에 좀 더 가까이 다가갈 수 있을 것이다. 이 책은 남원의 광한루 삼척의 죽서루, 전남담양의 면앙정과 식영정을 대상으로 이와 같은 의문들을 풀어나갈것이다.
9788928503476

한국의 혼 누정

이갑규  | 민속원
0원  | 20120831  | 9788928503476
『한국의 혼 누정』은 한국인의 혼을 누와 정을 통하여 깊숙이 들어가 밝혀보고자 쓴 책이다. 기존의 소개자료를 제쳐 놓고 철저하게 행장, 비문, 기문, 상량문, 문집, 실기 등을 직접 참고하여 우리 선현들의 혼에 해당되는 정수만 다시 정리해 한 권의 책으로 엮었다.
9788981074524

지리산 누정기 선집

강정화  | 이회문화사
16,200원  | 20101030  | 9788981074524
『지리산 누정기 선집』은 지리산권역 누정에 대해 조선시대 지식인들이 읊었던 기문을 선집한 것이다. 이는 조선시대 지식인들의 유산문학 작품을 선집한 『지리산 유산기 선집』과 『지리산 한시 선집』시리즈에 이은 다섯 번째 성과물이다. 이로써 지리산권역을 읊은 조선시대 지식인들의 한문학 작품 중 문학 분야의 핵심인 세 부류의 자료인 유람록, 유산시, 그리고 누정기가 발굴·정리되고 지리산권의 한문문학 연구의 토대가 구축되었다.
9791197221422

합강정 아래 놀이배 띄운 뜻은 (옛 시 따라 낙동강 누정 기행)

박원호(박하), 강경래  | 은누리
14,400원  | 20210721  | 9791197221422
이 책의 특징 1) 낙동강 누정 답사에 대한 입체적 조명 ‘정자=선비문화의 산실’과 같이 예찬 일색이 아닌 비판적 성찰도 담고 있다. 2) 누정을 읊은 대표적인 한시漢詩 해설. 암호 같은 한시를 우리말로 옮기고 해설함으로써 정서적 유대감을 느끼게 함. 3) 창건기, 중수기 등에 숨어있는 일화 발굴 -함안누정록, 밀양누정록 등을 참고하여 숨은 일화를 소개 예/ 영남루 중수기 속의 잉화, 늙은 관노가 주도하여 영남루 건축한 사실 3) 박제된 정자문화가 아닌 옛 풍류를 되살릴 방안도 제시함. -템플스테이처럼 ‘정자에서 하룻밤’을 제안하고 있다. 4) 그동안 덜 알려진 누정들을 찾아 역사적 가치를 소개함. 5) 박하 시인이 자작시를 소개하고 있다.
9791158661298

누정, 선비문화의 산실

우응순  |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10,800원  | 20160930  | 9791158661298
조선시대 누정은 휴식 공간이자 연회 장소이며 유흥의 공간이자 학문 연마의 도량으로서 실로 다채로운 기능을 가지고 있었다. 우리의 삶 속에 깊이 자리한 누정은 전통적인 생활상을 추정해볼 수 있는 귀중한 유산이다. 이 책은 누정의 건축적 양상을 설명하고 시조, 가사, 한시 등의 누정 시문을 통해 선비들의 생활 문화를 깊이 있게 들여다보고 있다. 누정문학은 엄숙한 도학적 분위기가 지배하던 시대인 조선 중기 이후에는 시적 개성과 다양한 정감을 추구하여 개성적 문학 창작을 주도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를 갖는다. 누정문학을 주도한 전통시대 문인들은 수신을 기본으로 하는 유가적 삶의 태도를 기저에 두면서도 훨씬 다양하고 유연한 시적 개성과 상상력 및 감정의 자연스런 표현을 구현한 고급 교양인들이었다. 그들은 일생 동안 사림으로서의 자긍심을 지키면서, 또 한편으로 자연 경물의 시간적 변화에 따른 아름다움을 즐길 줄 아는 낭만적 시인이기도 했다. 누정제영에 나타난 그들의 미의식은 누정에서 자아와 자연의 소통, 동학과의 동락을 통해 한층 더 고양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 책을 통해 사대부 문화의 산실이었던 누정의 문화사적 가치와 누정문학의 역사적 의미를 돌아볼 수 있다.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