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뷰티 메이크업 프로페셔널
오인영, 이수미, 유한나 | 구민사
26,100원 | 20250330 | 9791168755413
2008년을 기점으로 소셜미디어의 등장과 K-Pop의 확산으로 ‘한류(韓流)’는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게 되고, 소셜미디어의 확산 및 문화 콘텐츠 유통과정의 혁신을 거쳐 ‘한류 콘텐츠’는 동시대적으로 유행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현상은 기존의 한류와 구분하여 ‘신한류’ 혹은 ‘한류 3.0(2010년대 초반~현재)’이라고 하는데 신한류는 기존의 한류 열풍과는 달리, 기존의 대중문화 중심의 한류를 넘어 패션, 음식, 게임, 문학 등 ‘K-컬쳐(K-Culture)’라고 불리운다. 즉, 다양한 범위의 문화 콘텐츠가 그 대상이며, 동남아시아를 넘어 중앙아시아, 아랍, 남미 등 다양한 국가로 확산되고 있다. 그 소비층 또한 기존에 10~20대 여성에서 전 연령층과 남성으로까지 확대되고 있다는 특징을 보인다(김덕중·남상현, 2016; 김도희·박병진, 2016; 김평수 외, 2016).
일례로 ‘별에서 온 그대’나 ‘태양의 후예’에서 여자 주인공들이 사용한 화장품의 해외 소비가 급증하거나, 드라마에서 등장한 ‘치맥(치킨과 맥주)’ 문화를 직접 즐기기 위해 수천 명의 중국 관광객이 한국을 방문하기도 하였다(김덕중·남상현, 2016).
특히 최근 ‘K-뷰티(K-Beauty)’가 전 세계적인 인기를 끌면서 한류 열풍을 주도할 새로운 콘텐츠로 주목을 받고 있다. 한국 드라마와 음악이 아시아권을 중심으로 인기를 끌면서 '한류 팬덤(fandom)'이 형성되었으며 이들이 아시아 여성들의 ‘뷰티 아이콘’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김덕중·남상현, 2016). 이들의 화장법과 옷차림 등을 선호하고 따라 하는 등 자연스럽게 한류 스타들이 사용하거나 광고하는 화장품, 화장 기법, 컬러와 질감 등이 인기를 끌게 되면서 ‘K-뷰티 열풍’이 시작된 것이다(이선정·이수범, 2017; 임학순·채경진, 2014). 실제로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문화산업 교류재단〉이 매년 실시하는 ‘해외 한류 실태조사’에서도 2016년부터 한류 콘텐츠 장르에 ‘패션/뷰티’를 포함하여 조사하기 시작하였다.
〈K-뷰티 메이크업〉은 2권으로 구성하였다. 〈K-뷰티 메이크업 베이직〉에서는 메이크업 기본 용어와 기초 이론, 20세기와 21세기 유행 메이크업 특징, 단계별 메이크업 순서와 기법, 이미지 메이크업, 색채의 이해, 계절 이미지 메이크업, 영상 메이크업 실무에 대한 내용을 다루었다. 실기 응용편에서는 방송 영상에 출연하는 연기자와 아이돌 메이크업 실무를 알기 쉽게 설명하였다.
〈K-뷰티 메이크업 프로페셔널〉에서는 전문숍이나 실무 현장에서의 활용을 위한 고객 응대와 메이크업 아티스트 위생, 퍼스널 컬러, 메이크업 디자인 발상 기법, 전개 및 표현 사례를 각 과정별로 알기 쉽게 사례를 제시하였으며 활용재료와 기법, 컬러 등을 자세히 다루었다. 특히 패션 화보와 패션쇼 메이크업 발상 및 단계별 표현 기법, 컬러, 재료 등의 예시를 다루었다.
각 권의 마지막에서는 ‘메이크업 아티스트’가 반드시 알아야 할 ‘뷰티 전문 용어’와 ‘일러스트레이션’(베이직), 뷰티 실용영어 회화, 고객 상담 카드 및 패션 화보 & 패션쇼 메이크업 예시(프로페셔널)을 제시함으로써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