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 네이버책
  • 알라딘
  • 교보문고
"qkrrnltns"의 검색결과가 없어 "박귀순"(으)로 검색된 결과입니다.
9791130323176

실크로드 신체문화교류사 5: 몽골(전통무예, 무용, 유희) (전통무예, 무용, 유희)

김태영, 황의룡, 김태양, 이명희, 박귀순  | 박영사
20,900원  | 20250830  | 9791130323176
중앙아시아의 고원에는 80만 년 전부터 인류가 살았다고 한다. 그들은 석기시대부터 활과 화살, 창, 칼, 도끼 등 다양한 도구를 만들어 사용하였다. 주로 사냥을 하던 고대인들은 목축, 농경, 수공업 등의 생활의 다양한 분야를 새롭게 창조하였다. 4만 년 전에 빙하가 줄어들면서 몽골 땅의 자연 기후는 오늘날의 조건과 비슷해져 한랭건조지대에 속하게 되었다. 몽골은 평균 해발 1,580m의 중앙유라시아 고원지대에 있고, 총인구는 약 260만 명이다. 몽골은 21개 아이막과 330개의 솜이라는 행정구역으로 이루어져 있고, 수도인 울란바타르(Улаанбаатар)시와 다르항 올 아이막(옛 다르항시) 및 오르혼 올 아이막(옛 에르드네드시)의 3개 시로 구성되어 있다. 도시 성향이 강한 곳을 제외하고 약 30만 명의 국민이 순수하게 유목으로 생활하고 있다. 현재 내몽골은 중화인민공화국의 영토로 남아 있으며, 외몽골은 1924년 11월에 중국으로부터 독립하여 현재까지 독립된 국가체제를 유지하고 있다. 1924년 11월 24일에는 국호를 몽골인민공화국으로 정하고, 소련의 뒤를 이어 공산주의 국가가 되었다. 1989년 민주화를 요구하는 시위가 시작되면서 민주화혁명이 일어났으며, 1992년 2월에 신민주 헌법을 채택하고 국호를 몽골국으로 바꾸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이러한 배경을 토대로 이 연구에서는 몽골 사회에서 인류 탄생과 더불어 지속되었던 서민들의 투쟁기술, 또는 생활상을 적나라하게 보여주는 신체문화로서 계승, 발전되어 온 전통무예와 무용, 그리고 유희에 관해 연구하여 정리하였다. 지금까지 실제로 실크로드를 통한 신체문화 항목을 주제로 ‘비교민속학’이나 ‘문학사’, ‘사회문화사’, ‘예술사’ 등에서 동서지역 간의 상호교류를 밝혀주는 여러 연구가 발표되었다. 그중에는 뛰어난 성과를 보여주는 연구도 있지만, 인간의 본능에서 발현되는 신체활동(전통무예, 무용, 유희)에 관한 연구는 아직도 각각의 민족이 각자도생의 길을 걷고 있을 뿐이라는 고민을 우리에게 안겨 주었고, 그 해결책을 찾기 위해 이 연구는 출발하였다. 다행하게도 본 연구소는 기초학문을 육성하는 토대연구사업의 인문사회분야 지원사업에 선정되어 5년간(2017-2022) 실크로드를 통한 아시아 7개국의 전통무예, 무용, 그리고 유희로 나누어 신체문화와 관련된 문화사적 연구를 진행하게 되었다. 이 연구를 진행함에 있어서 전체를 아우르는 1권과 각 국가의 전통신체문화 7권, 그리고 이 7개국의 신체문화를 총망라한 교류사 부분 1권으로 구성하여 단행본으로 출판하게 되었는데, 그중에 다섯 번째로 몽골의 전통신체문화를 밀도 있게 다루어 집대성한 연구물이다.
9791130323169

실크로드 신체문화교류사 4:중국(전통무예, 무용, 유희) (전통무예, 무용, 유희)

김태영, 황의룡, 김태양, 이명희, 박귀순  | 박영사
24,700원  | 20250830  | 9791130323169
실크로드는 고대시대부터 사람들과 장소를 서로 이어주는 세계의 중추신경계 역할을 하였고, 이를 통해 문물과 문명, 종교를 포함한 다양한 문화들이 상호 주고받으며 인간생활에 기여해 왔기 때문에 서로를 이해하는 매우 중요한 루트로 알려져 있다. 인류의 삶을 관통해 온 신체문화는 각 국가의 민속유희로, 또 다른 갈래로는 스포츠로 발전하여 이어져 왔다. 이러한 흐름은 단순히 한 국가 내에서만 이루어진 것이 아니다. 특히, 서로 이웃해 있는 한국, 중국, 일본 3국은 수없이 많은 교류와 갈등이 있었고, 그 과정 속에서 많은 영향력을 주고받았다. 고대사회부터 인간의 거의 모든 행위가 종교 신앙에서 비롯되었기 때문에 신에게 제사를 지내며 풍농과 풍어 그리고 서로의 안위를 빌기 위해 거행하였던 연희(演戲)는 신과 사람을 잇는 통로이자 다리로 인간문화의 중요한 한 부분을 차지해 왔다. 이 시대는 부족이나 민족 간의 침략과 정복이 일상화되었던 시대적 혼란 속에서 자기방어뿐 아니라 상대방과의 싸움에서 이기기 위해 연마하던 무예를 비롯하여 신과 인간의 신명을 위해 추었던 무용, 민중의 원형적 행위를 토대로 삶의 중요한 기능으로 작용한 유희(놀이)가 발전되어 왔다. 다행히 많은 전통무예와 무용, 그리고 유희가 아직도 우리 사회에 전승되어 전통적 신체문화로서 많은 사람들에게 주목받고 있다. 중국은 끊임없이 주변 여러 나라의 문화를 받아들여 자신들의 문화를 풍부하게 가꾸어 왔다. 예를 들어 한(漢)나라 이후에 위진남북조(魏晉南北朝)와 수(隋)나라, 당(唐)나라 등의 역대 중국 왕조들은 주변국들의 악(樂, 음악은 물론 유희 포함)을 받아들여 풍부하게 발전시켰다. 수나라의 칠부기(七部伎)와 구부기(九部伎), 당나라의 십부기(十部伎)를 예로 들면 그 내용은 원래 중국의 악은 두세 개 정도였고 서역의 악이 대부분이었다. 여기에는 고구려악도 포함되어 있었다. 이러한 배경을 토대로 이 연구에서는 중국 사회에서 인류 탄생과 더불어 지속되었던 서민들의 투쟁기술, 또는 생활상을 적나라하게 보여주는 신체문화로서 계승, 발전되어 온 중국의 전통무예와 무용, 그리고 유희에 관해 연구, 정리하였다. 실제로 중국에서 실크로드를 통한 신체문화 항목을 주제로 ‘비교민속학’이나 ‘문학사’, ‘사회문화사’ ‘예술사’ 등에서 동서지역 간의 상호교류를 밝혀주는 여러 연구가 발표되었다. 그중에는 뛰어난 성과를 보여주는 연구도 있지만, 인간의 본능에서 발현되는 신체활동 영역(전통무예, 무용, 유희)에 관한 연구는 아직도 각국이 각자도생의 길을 걷고 있을 뿐이라는 고민을 우리에게 안겨 주었고, 그 해결책을 찾기 위해 이 연구는 출발하였다.
9791130323152

실크로드 신체문화교류사 3:일본(전통무예, 무용, 유희) (전통무예, 무용, 유희)

김태영, 황의룡, 김태양, 이명희, 박귀순  | 박영사
24,700원  | 20250830  | 9791130323152
이 연구가 주제로 선정한 실크로드의 아시아 7개국이란 한국을 비롯해 바다 건너 일본과 중국, 몽골,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이란을 가리킨다. 실제로 실크로드 상에는 수많은 나라가 존재해 왔는데, 왜 하필 이 7개국이냐고 질문한다면 아직은 정확한 학술적 근거를 제시하기 어려운 것이 사실이지만, 지구상에서 동서의 문명교류라는 관점에서 실크로드가 역사적으로 인류의 문화 발전에 큰 역할을 했다는 점이 많은 연구를 통해 밝혀졌다. 아시아 대륙의 동쪽 끝에 있는 일본 열도는 온대 지방에 속해 있고, 사계절의 변화가 뚜렷해서 농경 시대가 도래한 이후 문화가 발달하기에 적합하였다. 지리적으로 국토가 수많은 섬으로 이루어져 있고, 동서로 좁고 남북으로 길게 뻗어 있다. 서쪽은 아시아 대륙에 접해 있고, 동쪽은 넓은 바다를 뜻하는 태평양과 접하고 있기 때문에 외부로부터의 문화 전파를 수용하기에도 용이했다. 그러나 근대에 들어와 동양에 위치해 있으면서도 독특한 정치 구조를 지니면서 제국주의를 선택하는가 하면, 제2차 세계대전을 벌이고, 또 전후에는 놀랄 만한 경제적 발전을 이룩한 나라이기 때문에 세계인의 눈에 일본은 무언가 색다른 나라로 인식되어 왔다. 특히 일본은 끊임없이 주변 여러 나라의 문화를 받아들여 자신들의 문화를 풍부하게 가꾸어 왔다. 문화가 전파되어 정착하면 다른 곳으로 빠져나가지 못하는 섬나라의 특성을 잘 살려서 일본 민족의 독특한 문화로 재생산하였다. 특히 자신을 보호하거나 타인과의 투쟁 기술로 몸에 익히며 전승되어 온 무예, 신과 인간의 관계를 밀접하게 연결해 주며 아우르는 제례나 의례, 축제 속의 무용, 또 일상생활 속에서 삶의 즐거움을 풍족하게 해주는 해학, 즉 유희와 같은 신체문화를 풍부하게 가꾸어 왔던 것으로 나타난다. 그러므로 태곳적부터 일본인의 일생과 떼려야 뗄 수 없었던 다양한 신체문화유산에 대해 통사적으로 조사, 분석하여 그 특성을 찾아내는 작업은 인문사회과학의 토대 연구로서 우리 사회의 지식을 넓히고 외연을 확장하는 데 유용할 것이다.
9791130323145

실크로드 신체문화교류사 2:한국(전통무예, 무용, 유희) (전통무예, 무용, 유희)

김태영, 황의룡, 김태양, 이명희, 박귀순  | 박영사
27,550원  | 20250830  | 9791130323145
오랜 기간 실크로드를 통해 교류해 온 동아시아와 중앙아시아 7개국이 민족별로 즐기며 계승해 온 전통무예와 무용, 그리고 유희 종목이 어떻게 탄생하였고, 변용되어 왔는지를 문화교류사 관점에서 검토하고 전망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실크로드로 연결된 각 국가별 전통무예, 무용, 유희 종목들을 상호 비교하여 그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히고, 각각의 신체 문화 종목들이 상호 어떤 영향을 주고받았는지를 제시하였다. 실크로드 국가의 전통무예와 무용, 유희에 관한 사료, 유물, 그림, 사진, 연구물 등을 수집하여 학술적 토대연구 자료로 체계화하고 후속 연구를 위한 다양한 자료로 제시하였다. 동아시아를 포함한 중앙유라시아 국가들의 전통문화에 대한 우리 사회의 학문적, 대중적 관심과 이해를 돕도록 실크로드를 통한 문화교류의 공통점과 상이점을 연구하는 데 주력하였다. 아시아 7개국의 전통무예, 무용, 유희 종목과 관련된 자료수집, 분석을 집대성한 연구결과를 종합해 실크로드로 연결된 중앙아시아와 동아시아 국가 간의 신체문화에 대한 현대적 의미를 고찰, 제시하였다.
9791130323206

실크로드 신체문화교류사 8: 이란(전통무예, 무용, 유희) (전통무예, 무용, 유희)

김태영, 황의룡, 김태양, 이명희, 박귀순  | 박영사
20,900원  | 20250830  | 9791130323206
오랜 기간 실크로드를 통해 교류해 온 동아시아와 중앙아시아 7개국이 민족별로 즐기며 계승해 온 전통무예와 무용, 그리고 유희 종목이 어떻게 탄생하였고, 변용되어 왔는지를 문화교류사 관점에서 검토하고 전망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실크로드로 연결된 각 국가별 전통무예, 무용, 유희 종목들을 상호 비교하여 그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히고, 각각의 신체 문화 종목들이 상호 어떤 영향을 주고받았는지를 제시하였다. 실크로드 국가의 전통무예와 무용, 유희에 관한 사료, 유물, 그림, 사진, 연구물 등을 수집하여 학술적 토대연구 자료로 체계화하고 후속 연구를 위한 다양한 자료로 제시하였다. 동아시아를 포함한 중앙유라시아 국가들의 전통문화에 대한 우리 사회의 학문적, 대중적 관심과 이해를 돕도록 실크로드를 통한 문화교류의 공통점과 상이점을 연구하는 데 주력하였다.
9791130323190

실크로드 신체문화교류사 7: 우즈베키스탄(전통무예, 무용, 유희) (전통무예, 무용, 유희)

김태영, 황의룡, 김태양, 이명희, 박귀순  | 박영사
17,100원  | 20250830  | 9791130323190
오랜 기간 실크로드를 통해 교류해 온 동아시아와 중앙아시아 7개국이 민족별로 즐기며 계승해 온 전통무예와 무용, 그리고 유희 종목이 어떻게 탄생하였고, 변용되어 왔는지를 문화교류사 관점에서 검토하고 전망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실크로드로 연결된 각 국가별 전통무예, 무용, 유희 종목들을 상호 비교하여 그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히고, 각각의 신체 문화 종목들이 상호 어떤 영향을 주고받았는지를 제시하였다. 실크로드 국가의 전통무예와 무용, 유희에 관한 사료, 유물, 그림, 사진, 연구물 등을 수집하여 학술적 토대연구 자료로 체계화하고 후속 연구를 위한 다양한 자료로 제시하였다. 동아시아를 포함한 중앙유라시아 국가들의 전통문화에 대한 우리 사회의 학문적, 대중적 관심과 이해를 돕도록 실크로드를 통한 문화교류의 공통점과 상이점을 연구하는 데 주력하였다.
9791130323183

실크로드 신체문화교류사 6: 카자흐스탄(전통무예, 무용, 유희) (전통무예, 무용, 유희)

김태영, 황의룡, 김태양, 이명희, 박귀순  | 박영사
14,250원  | 20250830  | 9791130323183
오랜 기간 실크로드를 통해 교류해 온 동아시아와 중앙아시아 7개국이 민족별로 즐기며 계승해 온 전통무예와 무용, 그리고 유희 종목이 어떻게 탄생하였고, 변용되어 왔는지를 문화교류사 관점에서 검토하고 전망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실크로드로 연결된 각 국가별 전통무예, 무용, 유희 종목들을 상호 비교하여 그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히고, 각각의 신체 문화 종목들이 상호 어떤 영향을 주고받았는지를 제시하였다. 실크로드 국가의 전통무예와 무용, 유희에 관한 사료, 유물, 그림, 사진, 연구물 등을 수집하여 학술적 토대연구 자료로 체계화하고 후속 연구를 위한 다양한 자료로 제시하였다. 동아시아를 포함한 중앙유라시아 국가들의 전통문화에 대한 우리 사회의 학문적, 대중적 관심과 이해를 돕도록 실크로드를 통한 문화교류의 공통점과 상이점을 연구하는 데 주력하였다. 아시아 7개국의 전통무예, 무용, 유희 종목과 관련된 자료수집, 분석을 집대성한 연구결과를 종합해 실크로드로 연결된 중앙아시아와 동아시아 국가 간의 신체문화에 대한 현대적 의미를 고찰, 제시하였다.
9791130323213

실크로드 신체문화교류사 9: 전통무예, 무용, 유희 (전통무예, 무용, 유희)

김태영, 황의룡, 김태양, 이명희, 박귀순  | 박영사
21,850원  | 20250830  | 9791130323213
오랜 기간 실크로드를 통해 교류해 온 동아시아와 중앙아시아 7개국이 민족별로 즐기며 계승해 온 전통무예와 무용, 그리고 유희 종목이 어떻게 탄생하였고, 변용되어 왔는지를 문화교류사 관점에서 검토하고 전망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실크로드로 연결된 각 국가별 전통무예, 무용, 유희 종목들을 상호 비교하여 그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히고, 각각의 신체 문화 종목들이 상호 어떤 영향을 주고받았는지를 제시하였다. 실크로드 국가의 전통무예와 무용, 유희에 관한 사료, 유물, 그림, 사진, 연구물 등을 수집하여 학술적 토대연구 자료로 체계화하고 후속 연구를 위한 다양한 자료로 제시하였다. 동아시아를 포함한 중앙유라시아 국가들의 전통문화에 대한 우리 사회의 학문적, 대중적 관심과 이해를 돕도록 실크로드를 통한 문화교류의 공통점과 상이점을 연구하는 데 주력하였다.
9791158661724

한국의 스포츠학 70년

진현주, 곽낙현, 박귀순  |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19,000원  | 20170425  | 9791158661724
광복 이후 한국 스포츠학 영역의 발전에 관한 연구 성과를 전체적으로 조망하고, 스포츠학의 미진한 점까지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는 스포츠학 연구지형도를 그리기 위해 기획한 『한국의 스포츠학 70년』. 광복 이후부터 현재까지 70년 동안, 스포츠 분야의 학위논문, 관련 학회지에서 발표된 학술논문, 관련 단행본 연구를 포괄하여 한국 스포츠의 연구발전 성과를 크게 ‘대학’과 ‘학회’의 두 분야로 구분해 살펴보았다.
9791189141066

시민의 인성 (치유인문학 강의)

강신익, 이수진, 임정화, 김회용, 최송현, 이나나, 박귀순, 김성중, 채한, 김승룡  | 당신의서재
13,500원  | 20180507  | 9791189141066
어느 멋진 날의 특강 햇살이 환히 빛나던 계절에 10명의 저자가 기적처럼 만났다. 의학에 대한 철학적 성찰을 통해 생명의 가치를 탐구해 온 강신익 교수, 깊은 상상력의 확보를 통해 어린이의 철학적 사유 능력을 도모해 온 김회용 교수, 숲이 전하는 평등과 공생의 메시지를 전하려 노력해 온 최송현 교수, 하얀 여백과 고운 색채의 조화를 통해 마음의 치유를 추구해 온 이나나 교수, 인간의 심리에 대해 과학적 이해 체계를 마련해 온 이수진 교수, 무예를 인성과 결합하며 치유의 가능성을 확인해 온 박귀순 교수, 한문고전 속 가치관의 사회적 환류와 인성 함양을 가르쳐 온 김성중 교수, 각자가 지닌 심리적 자원의 소중함과 아름다움을 일깨워 온 임정화 교수, 마음치유를 통해 영혼이 있는 한의학을 모색해 온 채한 교수, 인간의 감정을 주목하고 한시의 위로 가능성을 찾아온 김승룡 교수! 저자들은 전공하는 분야가 모두 다르다. 그럼에도 각자의 영역에서 같은 고민을 하고 있었습니다.
1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