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잡지 > 대중문화/예술
· ISBN : 6000172258
· 쪽수 : 273쪽
· 출판일 : 2005-12-20
책 소개
목차
권두좌담
무용의 위기와 전문 춤단체의 진로 모색 - 이숙재/박명숙/김태원
논단
'스크린 쿼터 지키기'의 한국영화문화적 의미 - 김수남
한국전쟁과 역사영화 - 정하제
1991년, 새로운 연극문화의 출발점 - 김기란
전통담론과 전통무용의 현대적 계승 방안 - 성기숙
전환점에 선 한일 연극 교류의 실상 - 박세연
인터뷰
"진정한 춤의 발전은 '의식의 발전'을 통해서만 가능하다" - 국수호 vs 김태원
"연출가는 연극의 '작가(auteur)' 이다" - 발레리 포킨 vs 현수정
"공연예술 프로듀서, 이젠 공연을 책임진다" - 조행덕 vs 정혜원
미니 인터뷰
극작가 한아름 - PAF
현대무용 안무가 정명지 - PAF
현대무용 안무가 서원호 - PAF
현대무용 안무가 이보경 - PAF
기획연재
한국 현대 무용자료사 - 안제승
한국현대연극론선
연극과 전후(戰後) - 여석기
참고사료 : 오늘의 서구연극, 그 조류와 수용문제 - 여석기/한상철/김정옥
리뷰
'욕망'이라는 알 수 없는 이름에 관하여 - 이용은
연극적 시각의 같음과 차이, 그리고 변주 - 김숙현
한일관계 주체적 해법 찾기 - 박세연
어두운 에너지가 주는 생명력 - 현수정
소외된 객석, 박제된 욕망 - 김지연
체감되지 않는 나르시스, 자기 심문의 눈 - 황유정
현지 극장과 연계한 해외무대 진출의 중요성 - 장광열
세계 무용과 우리 무용의 교감과 학산 - 심정민
춤기획적 의도와 작품성과의 간극 - 김태원
아직 성장 중인 PIFF, 그러나 '우리 것'이 안 보인다 - 장석용
연애 권하는 사회의 풍경 - 황혜진
일상 속의, 그리고 일상을 넘어선 심미적 시간 - 정순영
비평노트
여극적 지성에 대한 우려와 김영태의 춤비평 - 김태원
서평
쓰키지소극장의 탄생 - 고승길
임권택, 민족영화 만들기 - 박유희
해외논단
연극(plays) - 거트루트 슈타인/김기란
'컨템포러리 춤'의 구조와 특성 - 수잔 트라우브/김기란
해외기류
2005 런던 일기 - 지유리
편집후기
정기구독 안내
저자소개
책속에서
이숙재 본격적으로 무용을 시작했던 1980년대 초에는 가장 커다란 문제인 '무용수들의 부재'를 극복하고 실력만 쌓으면 프로단체로의 지향이 가능했었습니다. 그렇게 20살에 무용을 시작한 무용수들이 이제 중견이 되었는데, 처음 시작할 때와 비교해보았을 때 지원정책은 별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고 있습니다. 현재는 인적자원이 팽배해 있는 상태로 당시와 다른 상황에 있습니다. 때문에 지원정책이 오히려 큰 혼란을 가중시키고 있다는 느낌을 받습니다.
예술가를 하나 키우기 위해서는 적어도 20년이라는 시간 동안 투자를 해야 하는데, 이제 키워놓은 작가들로부터 소득을 얻어야 하는 시점에서, 신인 발굴만 반복하고 있습니다. 몇십 년이라는 세월 동안 많은 재정이 투자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사후관리가 잘 안 되고 있는 것입니다.
-- '권두좌담 : 무용의 위기와 전문 춤단체의 진로 모색'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