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토벤 (Ludwig Van Beethoven) (작곡가)
정보 더보기
1770년 12월 17일 독일의 본에서 세례를 받았다. 그가 태어난 날은 12월 15일이나 16일일 것으로 추정된다. 하이든과 모차르트의 고전주의 전통을 따르면서도 문학계의 동시에 작가 괴테와 실러의 작품에 표현된 새로운 시대정신을 포착했으며, 인간의 자유와 존엄을 열정적으로 부르짖던 프랑스혁명의 이상을 좇았다.
베토벤은 이전의 어떤 작곡가보다도 생생하게 삶의 철학을 대사 없는 음악으로만 표현해 음악의 위력을 드러냈으며, 음악형식 면에서도 위대한 혁신가였다.
그의 개인적 삶은 병든 귀에 대한 영웅적인 투쟁으로 점철되었고, 중요한 작품 중 일부는 그가 완전히 소리를 들을 수 없게 된 마지막 10년 동안에 작곡되었다. 음악가에 대한 궁정과 교회의 후원이 사라진 시대에 살았던 그는 악보 판매와 출판만으로 생계를 꾸려나가야 했다. 그는 귀족에게 종속되지 않고 자기 내면의 부름에 응한 작곡만으로 보수를 받았던 최초의 음악가였다.
그의 삶이 그러했듯이 평생 폭풍우를 뚫고 들판과 숲을 산책하곤 했던 그는 1827년 3월 26일 저녁 5시경 갑자기 천둥번개가 치는 가운데 간병변증으로 숨을 거두었다.
펼치기
베토벤 (Ludwig Van Beethoven)의 다른 책 >
김대진 (Daejin Kim) (지휘자)
정보 더보기
‘건반 위의 진화론자’ 김대진은 최정상의 피아니스트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는 교육자로, 오케스트라를 이끄는 지휘자로 끝없이 진화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한국에서는 오정주 교수를, 줄리어드에서 마틴 캐닌 교수를 사사한 그는 1994년부터 한국예술종합학교 교수로 재직하며 손열음, 김선욱 등 우수한 제자들을 배출한 명교수이자 헌신적인 교육자로 많은 이들에게 귀감이 되고 있다. 2008년, 수원시립교향악단의 제6대 상임지휘자로 취임한 후에는 수원이라는 지역에 국한되어 활동하던 수원시립교향악단을 뛰어난 연주력을 갖춘 실력 있는 교향악단으로 변화시킴으로써 지휘자로서의 능력까지 각인시키며 한국 음악계를 이끌고 있다.
퀸엘리자베스 콩쿠르 심사위원을 비롯하여 클리브랜드, 클라라 하스킬, 파다레프스키, 라흐마니노프, 하마마츠, 베토벤, 부조니, 지나 박하우어, 리즈국제콩쿠르 등 세계 주요 음악 콩쿠르의 심사위원으로 위촉되었으며, 특히 2014년 한국인 최초로 루빈스타인 국제 콩쿠르 심사위원으로 참여, 한국을 대표하는 세계 음악계의 주류로 활약하며 대한민국 음악계의 위상을 높이고 있다.
교육자, 지휘자, 피아니스트라는 직함과 더불어 청소년 음악회, 토요 음악회, 음악 페스티벌 등 그가 시간을 쪼개어 하는 다양한 활동들은 모두 ‘음악에의 욕심’ 때문이다. 그는 ‘클래식의 대중화’ 이상의 ‘대중의 클래식화’를 꿈꾸며 자연스럽게 음악 안에서 진심 어린 소통을 나누기를, 끝없는 상상력을 펼치기를 바란다. 그래서 먼저, 우리 아이들에게 음악의 가치를 들려주고 싶다.
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