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Sidney Poitier: The Great Speeches of an Icon Who Moved Us Forward

Sidney Poitier: The Great Speeches of an Icon Who Moved Us Forward (Hardcover)

시드니 포이티어, Joanna Poitier (지은이), John Malahy (엮은이)
Running Press Adult
50,75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41,610원 -18% 0원
2,090원
39,52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Sidney Poitier: The Great Speeches of an Icon Who Moved Us Forward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Sidney Poitier: The Great Speeches of an Icon Who Moved Us Forward (Hardcover) 
· 분류 : 외국도서 > 전기/자서전 > 엔터테인먼트/대중예술
· ISBN : 9780762487172
· 쪽수 : 192쪽
· 출판일 : 2024-10-01

저자소개

시드니 포이티어 (지은이)    정보 더보기
배우 겸 연출가이자 작가. 흑인최초 아카데미 남우주연상 수상자로 유명하다. 바하마 제도 사람인 부모가 미국을 방문하던 중 플로리다에서 태어난 시드니 포이티어는 농부의 아들로 가난하게 살았다. 그의 부모는 교육은 조금밖에 받지 못했고 비행청소년이 되어 버릴 것 같던 열다섯 살의 그를 마이애미로 보내 형과 함께 살게 했다. 그곳에서는 좀 더 나은 인생을 살 수 있으리라 여겼기 때문이다. 그는 미국의 인종적 신분 차이를 몸소 겪어 보고 이런저런 막노동을 전전하다가 어느새 뉴욕으로 흘러 들었다. 잠시 군대에 몸담은 후 다시 할렘으로 돌아갔다. 그곳에서 충동적으로 시도해본 오디션에 연이어 실패하면서 연기에 대한 열정이 더욱 불타올랐고 동시에 고향 억양을 고치고 공부를 해야 한다는 긴급한 과제를 의식했다. 이러한 한계들을 극복하고 결국 그는 아메리칸 니그로 시어터에 입단 허가를 받았고 그곳에서 선보인 그의 재능은 브로드웨이의 더욱 유망한 작업들로 이어져 마침내는 1950년대 초에 할리우드까지 진출하는 발판이 되었다. 대표성의 문제, 더 엄밀히 는 흑인들에 관한 대표성의 결여가 문화적 경험에서 중심적인 요소였던 민권운동 시기에, 미국의 흑인들을 어떻게 표현해야 하는가에 관한 서로 다른 관점들 사이에서, 포이티어가 완벽하게 자리를 잡아가게 한 일련의 역할들이 시작되었다. 그리하여 그는 「포기와 베스(1959)」와 「흑과 백(1958)」, 「패치 오브 블루(1965)」 그리고 그에게 아카데미상을 안겨 준 「들판의 백합(1963)」 등 인기 있는 주류 영화의 주인공으로 훌륭한 연기를 보여주었다. 이런 흐름은 「밤의 열기 속으로(1967)」와 「초대 받지 않은 손님(1967)」에서 계속 이어졌고, 그 후 포이티어는 감독을 시작하면서(「업타운의 토요일 밤(1974)」, 「폭소감방(1980)」) 스크린에 직접 등장하는 일을 줄였다. 그러나 비평가들은 그를 '톰 아저씨'라고 주장한다. 피부는 갈색이지만 인종차별적인 주류영화계의 한 가운데에서 문화적으로는 '백인'이었다는 것이다. 그리고 배우로서 그가 해온 작업을 통해서도 이러한 입장은 해결되지 않는 듯하다. 주류영화의 아이콘이라는 포이티어의 이미지와 위치에 대한 응수로서 만들어진 영화로 「스위트 스위트백의 배드애스 송(1971)」과 「슈퍼플라이(1972)」 등이 있다. 그러나 이렇게 적대적이거나 적어도 다른 관점은, 대체로 「월터의 선택(1961)」처럼 인종적 정체성이라는 주제에 관한 포이티어의 선구적인 작업들과 민권운동에서 그가 해온 활동들을 무시하는 처사다. 그러므로 포이티어를 괴롭힌 진짜 문제는 그가 예술적으로도 정치적으로도 진정한 선구자로서 자신이 가장 강력한 인상을 발휘할 수 있던 시기에 사회 변혁의 필요성을 몸소 보여 주었다는 것과, 그러면서 주류문화를 무시하거나 영향력이 미미해지는 결과를 감수하면서까지 주류문화에 반역을 꾀하는 무모한 시도를 하지 않고 그 주류문화에 참여했다는 것이다.
펼치기
Joanna Poitier (지은이)    정보 더보기
펼치기
John Malahy (지은이)    정보 더보기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