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의약학간호계열 > 간호학 > 보건학
· ISBN : 9788926834428
· 쪽수 : 332쪽
· 출판일 : 2012-06-15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추천사
PART 1 소통을 위한 용어
1. 전도-무슨 말인가?
2. 산업안전과 보건-용어의 유래는 무엇인가?
3. 재해, 사고, 손상
4. 벤젠으로 불리면 모두 벤젠일까?
5. 단열재는 모두 석면인가?
PART 2 사회보장과 산재보상
1. 근로자가 아프면 치료비는 누가 내야 하나?
2. 직업병의 입증책임-누가 해야 하는가?
3. 역학조사(疫學調査)와 산재보상
4. 예방에 실패할 때 드는 비용은 얼마일까?-원진레이온 이황화탄소 중독
사건 사후비용의 사례
PART 3 산업안전보건 규제와 감독
1. 효과적인 감독은 잔매인가, 한 방인가?
2. 심장마비는 사망원인이 아니다
3. 건설현장 사망사고 너무 많다
4. 미접근된 산재예방분야-교통운송업무 근로자의 교통사고
5. 무엇이 선진국인가?-싱가포르 사례를 보며
PART 4 산재통계에 대해
1. 산재통계 제대로 알기
2. 2000년대 한국의 재해는 정말 정체했는가?
3. 통계분석에 의한 업종별 재해예방전략
4. 서비스업 재해-정말 증가했나? 인지효과인가?
5. 재해율로 예방사업의 효과를 알 수 있나?
6. 사회보장과 산재통계제도
PART 5 안전보건제도에 대한 이해
1. 화학물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MSDS제도
2. 건설업 재해를 줄이기 위한 PQ제도
3. 화학물질검사의 정확성을 높이는 정도관리
PART 6 문제의 직업병 사례
1. 삼성반도체에 백혈병은 정말 많은가?
2. 한국타이어 근로자 사망-본질은 무엇인가?
3. 이황화탄소 중독 인정기준 제정 배경
4. 죽은 자는 알고 있다
5. 요통, 갑자기 생기나? 오래 일해서 생기나?
6. 석면 사용금지-국제적으로 어디까지 왔나?
7. 후쿠시마 원전사고-우리는 안전한가?
PART 7 국제기구와 국제대회
1. 국제기구와 국제대회
2. 2015년 제31회 국제산업보건대회 서울 유치
3. 2011년 제19회 세계산업안전보건대회
4. 세계의 산업안전보건연구기관
부록 산업안전보건연구원
1. 산업안전보건연구원의 역사와 현재
2. 산업안전보건연구원 설립 20주년을 맞아
3. 산업안전연구는 어떠한 방향으로 가야 하나?
4. 2009년 연구원의 활동을 정리하며
5. 2010년 연구원의 활동을 정리하며
6. 2011년 연구원의 활동을 정리하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