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동양사일반
· ISBN : 9788926887844
· 쪽수 : 436쪽
· 출판일 : 2019-02-25
책 소개
목차
제1장 어류지식의 전통
1. 무소뿔의 불
2. 어류지식의 전승
1) 중국의 어류지식
2) 조선의 어류지식
3) 일본의 어류지식
3. 어류지식의 특성과 의의
1) 어류지식의 특성
2) 어보 출현의 전야
4. ‘다식’에서 ‘박물’로
제2장 어보와 어류지식의 발전
1. 정약전, 어보를 저술한 뜻은?
2. 어류지식의 계통과 어보의 출현
1) 어류지식의 계통
2) 최초의 어보들
3. 각국의 어보와 구성내용
1) 조선의 어보
2) 중국의 어보
3) 일본의 어보
① 18세기 전반(1701-1750)
② 18세기 후반(1751-1800)
③ 19세기 전반(1801-1850)
④ 19세기 후반(1851-1900)
4. 세찰심사
제3장 청어, 대구, 명태 ∙ : 소빙기와 한류성어류의 박물학
1. 북해의 물고기들
2. 어명의 증언: ‘조선 물고기’에서 ‘동아시아 물고기’로
1) 청어의 어명박물학
2) 대구의 어명박물학
3) 명태의 어명박물학
3. 소빙기의 풍요: 한류성어류의 부상
1) 한류성어류지식의 교류
2) 소빙기와 한류성어류
4. 왜 17세기인가?
제4장 자산어보와 해족도설 : 어류박물학의 갈림길
1. 동생이 보낸 편지
2. 자산어보의 어류박물학
1) ‘원편’과 이청
2) 관찰과 해부
3. 동시대의 어류박물학자들
1) 정약전, 학의행, 구리모토 탄슈
2) 자산어보, 기해착, 율씨어보
4. 어류지식, 글, 그림
1) 어류지식과 ‘도보’
2) 시각화와 지식의 갈림길
5. 유배된 지식
맺음말 : 대항해시대와 박물학의 감각
참고문헌
뜻밖의 출항, 긴 항해의 시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