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컴퓨터/모바일 > 프로그래밍 언어 > C
· ISBN : 9788931547771
· 쪽수 : 408쪽
· 출판일 : 2003-03-05
책 소개
목차
제1장 프로그램이란 무엇일까?
1.1 프로그램이 없다면 컴퓨터는 단순한 기계 덩어리일까?
1.2 초보 프로그래머들이 갖추어야 할 기본 지식
1.3 프로그램의 청사진, 알고리즘 구상을 몸으로 익히자
1.4 프로그램 개발은 어떻게 이루어 질까?
제1장 요점 정리
연습문제
Think About - 마음에 드는 개발 툴을 고르자
제2장 데이터를 입력하고 결과 출력하기
2.1 결과 출력이란 무엇일까
2.2 결과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직접 만들어 보자
Think About - 에러나 경고 메시지가 뜨면 어떻게 처리해야 할까?
2.3 C 프로그램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가
Think About - C 언어에서 함수란 무엇인가
2.4 값을 기억해 두는 상자를 이용해서 결과를 도출하고 출력한다
2.5 프로그램 실행 중에 다양한 결과를 얻기 위한 방법
2.6 지금까지 배운 것만으로도 멋진 프로그램을 만들 수 있다
제2장 요점 정리
연습문제
Think About - C 언어의 프로그래밍 스타일
제3장 분기 처리, 반복 처리, 제어문을 통해 프로그램 처리의 흐름을 이해하자!
3.1 프로그램의 대표적인 처리의 흐름에는 어떤 것이 있나?
3.2 조건 분기 처리를 정복하자
3.3 같은 처리 되풀이에는 반복 처리가 최고
3.4 지금까지 학습한 내용으로 어떤 것을 할 수 있을까?
제3장 요점 정리
연습 문제
Think About - 코드의 낭비를 없애고 효율 높은 프로그램을 만들려면...
제4장 많은 값을 기억한다 "배열의 이용"
4.1 많은 값들을 기억해야 할 필요성
4.2 배열이란 값을 넣는 상자(변수)를 정리하여 책장을 만드는 것
4.3 여러 가지 배열의 작성법
4.4 배열을 마스터하자
4.5 어떠한 경우에 배열을 사용하는가
4.6 배열을 반복 처리와 조합하면 더욱 효율적이다
4.7 지금까지 학습한 내용으로 어떤 것을 할 수 있을까?
제4장 요점 정리
연습문제
Think About - 규모가 큰 프로그램을 작성할 때의 주의점
제5장 데이터를 저장하고 읽어 들이기
5.1 데이터 저장과 읽어들이기란
Think About - 파일의 종류
5.2 파일을 이용해 데이터를 입력하는 방법
5.3 파일을 이용해서 데이터를 출력하려면
5.4 저장한 결과 데이터를 프로그램 실행시 읽어 들이기
5.5 파일을 이용할 때는 에러 처리가 필수
Think About - 에러 처리에는 어떤 것이 필요한가
5.6 파일 이용 방법 정복하기
제5장 요점 정리
연습문제
제6장 프로그램에서 문자를 취급하려면
6.1 프로그램에서 문자를 다루는 의미
6.2 C 언어에서는 문자열을 어떻게 처리할까?
6.3 컴퓨터에서는 문자를 어떻게 처리하나
6.4 기본적인 문자 처리 방법
6.5 문자 취급 방법 총정리
6.6 문자열을 조작하는 편리한 함수
6.7 편리한 문자열 조작 함수 총정리
6.8 문자열을 실제로 활용해 보자
6.9 파일의 내용을 모두 출력하는 방법
제6장 요점 정리
연습문제
제7장 함수를 직접 만들어 사용해 보자
7.1 표준 함수와 직접 만드는 함수는 무엇이 다른가
7.2 직접 함수를 만들어 사용해 보자
7.3 여러 가지 함수를 만들어 보자
Think About - 함수 사용시 에러 처리에 관한 힌트
제7장 요점 정리
Think About - void라는 함수의 의미와 쓰임
연습문제
제8장 구조체의 모든 것
8.1 데이터를 어떻게 묶어 취급하는 것이 편리한가
8.2 실제로 데이터를 묶어 프로그래밍을 해 보자
Think About - 구조체, 포인터, 그리고 변수의 동적 확보
제8장 요점 정리
연습문제
제9장 프로그래밍의 길은 아직 멀었다
9.1 한 단계 높은 프로그래밍 기법
9.2 디버깅에 도움이 되는 기술
9.3 이 책을 마친 후 배워야 할 것
Think About - 모르는 함수는 매뉴얼에서 찾아보자
연습문제
부록 : C 언어 정복에 도전하기 위한 첫 번째 과제 “포인터란 무엇인가?"
10.1 포인터란 무엇인가
10.2 직접 사용하면서 느끼는 포인터의 맛
10.3 함수와 포인터는 어떤 관계일까?
10.4 아주 긴밀한 배열과 포인터의 관계
10.5 포인터에 관한 궁금증을 확 풀어주는 FAQ