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의약학간호계열 > 임상의학 > 비뇨기과
· ISBN : 9788933705766
· 쪽수 : 212쪽
· 출판일 : 2009-10-25
책 소개
목차
01 비뇨기영상
발간사/머리말
01 요로계의 정상 소견과 선천이상
I 요로계의 해부학과 발생학
1. 해부학/2. 발생학
II 정상 영상소견
1. 단순X선촬영술/2. 배설요로조영술/3. 초음파검사/4. 전산화단층촬영/5. 자기공명영상
III 정상 변이와 위양성 병변
1. 두꺼운 신장기둥/2. 낙타혹/3. 태아분엽/4. 경계실질결손/5. 국소보상성 비대/6. 신동지방종증/7. UBO/8. 가성수신증/9. 신배와 유두의 변이/10. 혈관자국/11. 유두홍조와 신역류
IV 상부요로의 선천성 기형
1. 신장/2. 신우과 요관
참고문헌
02 신실질의 종양(양성과 악성)
I 신종양을 평가하기 위한 영상검사법
II 악성 신종양
1. 신세포암/2. 낭성신세포암/3. 신림프종/4. 신장에 전이를 일으키는 종양들/5. 성인에서 발생하는 윌름종양/6. 신장육종
III 양성 신종양
1. 혈관근육지방종/2. 선종/3. 호산성 과립세포종/4. 다방성 낭성 신종/5. 혈관종/6. 방사구체종양 혹은 레닌종
참고문헌
03 신장의 감염성 질환과 비뇨생식기결핵
I 신장의 감염
1. 급성신우신염/2. 급성신우신염의 합병증/3. 만성신우신염/4. 황색육아종신우신염/5. 진균감염/6. 연화판증
II 비뇨생식기결핵
1. 병태생리/2. 신장결핵/3. 요관결핵/4. 방광결핵
참고문헌
04 신외상
I 신외상의 임상적 측면
II 신외상의 평가에서 영상의학의 역할
1. 경정맥요로조영술/2. 초음파검사/3. 전산화단층촬영/4. 자기공명영상/5. 혈관조영술/6. 핵의학검사
III 신손상의 영상소견
1. 신장타박상/2. 피막하혈종/3. 신주위혈종/4. 신장열상/5. 혈관폐쇄/6. 혈관의 찢김
IV 신외상의 정도에 따른 분류
1. 1등급 손상/2. 2등급 손상과 3등급 손상/3. 4등급 손상/4. 5등급 손상
V 비정상 신장의 외상
VI 의인성 신외상
VII 신외상의 합병증
참고문헌
05 신낭종과 신유두괴사
I 신낭종
1. 단순신낭종/2. 합병성 낭종/3. 양성과 악성 낭종의 감별/4. 상염색체우성 다낭신증/5. 일측성 낭성 신질환/6. 국소성 낭성 신질환/7. 상염색체열성 다낭신증/8. 수질 낭성 신질환/9. 다낭성 이형성신/10. 후천성 낭성 신질환/11. 폰히펠-린도우병에서의 신낭종/12. 결절경화증에서의 신낭종/13. 신동낭종
II 신유두괴사
1. 신유두괴사의 흔한 원인질환들/2. 영상소견
참고문헌
06 신실질질환과 이식신
I 신실질질환
1. 정의와 분류/2. 영상의학진단을 위한 총체적 접근/3. 영상의학검사방법/4. 대표 질환들의 영상소견
II 이식신의 영상소견
1. 정상 이식신/2. 비뇨기적 합병증/3. 이식신 주변의 액체저류/4. 이식신기능장애/5. 혈관성 합병증/6. 신생물
참고문헌
07 신석회화증과 요석증
I 신석회화증
1. 신피질석회화증/2. 신수질석회화증/3. 복합신피질-수질석회화증
II 요석증
1. 발생과 역학/2. 요석형성기전/3. 임상증상/4. 요석의 조성과 분류/5. 영상소견/6. 요석과 관련된 질환
참고문헌
08 폐쇄성 요로병증
I 정의
II 분류
III 원인
IV 병태생리
1. 급성요로폐쇄/2. 만성요로폐쇄
V 요로폐쇄의 임상소견
1. 증상/2. 이학적 소견/3. 검사소견/4. 합병증
VI 요로폐쇄의 영상의학적 소견
1. 급성요로폐쇄의 경정맥요로조영술/2. 만성요로폐쇄의 경정맥요로조영술/3. 초음파검사/4. 전산화단층촬영술/5. 자기공명영상
VII 치료와 예후
참고문헌
09 신우신배와 요관
I 정상 해부학
II 신동
1. 신동지방/2. 신동낭종/3. 신동혈관병증/4. 신동종양
III 집합계와 요관의 양성종양
1. 유두종/2. 섬유상피성 폴립
IV 집합계와 요관의 악성종양
1. 이행상피세포암/2. 편평상피세포암/3. 이차성 요관 악성종양
V 집합계와 요관의 염증성 질환
1. 요관염/2. 결핵/3. 낭성 신우요관염/4. 요로상피세포하출혈/5. 요관위게실증/6. 연화판증
참고문헌
10 방광
I 정상 방광의 해부학
II 선천성 기형
1. 방광외번/2. 요막관이상
III 감염, 염증과 비종양성 질환
1. 급성세균성방광염/2. 기종성 방광염/3. 결핵성 방광염/4. 주혈흡충증/5. 칸디다증/6. 연화판증/7. 방사선방광염/8. 간질성 방광염/9. 호산구성 방광염/10. 시클로포스파미드방광염/11. 아밀로이드증/12. 자궁내막증/13. 낭성방광염과 선성방광염/14. 신원성선종/15. 방광 주변의 염증질환들
IV 방광손상
1. 복강내방광파열/2. 복강외방광파열
V 방광종양
1. 양성종양/2. 악성종양/3. 근치적 수술 후 영상
VI 기타 양성 질환들
1. 방광결석/2. 방광게실/3. 방광탈장/4. 방광류/5. 긴장성 요실금/6. 신경인성방광
참고문헌
11 전립선과 정낭
I 정상 전립선의 해부학
II 경직장전립선초음파검사
III 전립선자기공명영상
IV 전립선염
1. 급성전립선염/2. 만성전립선염/3. 결핵성 전립선염
V 양성전립선비대증
VI 전립선암
1. 임상소견과 병리소견/2. 전립선암의 초음파소견/3. 전립선암의 자기공명영상소견
VII 기타 전립선 악성종양
1. 이행상피세포암/2. 횡문근육종/3. 평활근육종/4. 림프종
VIII 정낭
1. 해부학적 구조/2. 선천성 기형/3. 중심선낭종/4. 정낭낭종/5. 종양
참고문헌
12 요도와 음경질환
I 정상 요도의 해부학
II 요도조영술
III 남성 요도질환
1. 남성 요도의 선천성 이상/2. 남성 요도의 외상/3. 남성 요도의 염증성 질환/4. 남성 요도의 종양
IV 여성 요도질환
1. 여성 요도의 감염성 질환과 요도게실/2. 여성 요도의 종양/3. 긴장성 요실금/4. 요도누공
V 정상 음경의 해부학
VI 음경의 영상기법
VII 음경의 종양
VIII 발기기능장애
1. 발기의 생리/2. 음경도플러초음파검사/3. 정상 음경도플러초음파검사/4. 음경도플러초음파검사의 지표/5. 동맥인성 발기부전과 정맥인성 발기부전/6. 발기기능장애의 원인이 되는 그 밖의 상태들/7. 음경동맥조영술/8. 해면체조영술을 병행한 해면체압측정술
참고문헌
13 음낭질환
I 해부학
II 영상의학검사
III 양성질환
1. 음낭수종/2. 정액류와 부고환낭종/3. 정류고환/4. 고환미석증
IV 고환종양
1. 생식세포종양/2. 성선간질종양/3. 림프종
V 부고환종양과 정삭종양
VI 급성질환
1. 고환염전/2. 부속기염전/3. 부고환염과 고환염/4. 음낭외상/5. 푸르니에괴저
참고문헌
14 부신과 후복막강
I 부신
1. 해부학/2. 비종양성 부신질환/3. 부신종괴
II 후복막강
1. 해부학/2. 원발성 후복막강종양/3. 후복막강섬유화증/4. 후복막강림프절비대/5. 후복막강액체저류
참고문헌
15 신혈관질환과 정계맥류
I 신혈관의 발생, 해부, 변이
II 신동정맥기형과 동정맥루
III 신동맥류
IV 신동맥협착
V 신경색
VI 결절성다발동맥염
VII 신정맥혈전증
VIII 넛크래커증후군
IX 정계정맥류
참고문헌
16 요로의 중재적 시술
I 비혈관영역에서 비뇨기계 중재적 시술
1. 경피적 신루설치술/2. 요관협착의 경피적 풍선확장술과 요관스텐트삽입술/3. 신낭종의 경화술/4. 경피적 도관배액술/5. 신세포암의 고주파열치료술
III 혈관영역에서의 비뇨기계 중재적 시술
1. 신동맥협착의 중재적 시술/2. 신동맥색전술/3. 정계정맥류색전술
참고문헌
한글 찾아보기/영문 찾아보기
02 부인과영상
발간사/머리말
01 부인과 초음파, 전산화단층촬영, 자기공명영상 : 기법과 정상 소견
I 초음파검사
1. 골반초음파검사/2. 정상 초음파검사소견/3. 초음파자궁조영술
II 전산화단층촬영술
1. 전산화단층촬영술기법/2. 정상 전산화단층촬영술소견
III 자기공명영상
1. 자기공명영상기법/2. 정상 자기공명영상소견
참고문헌
02 자궁난관조영술
I 자궁난관조영술
1. 적응증과 금기증/2. 검사방법/3. 합병증
II 정상 소견
III 이상 소견
1. 자궁경관/2. 자궁/3. 난관
IV 중재적 시술
참고문헌
03 정상 변이와 선천성 기형
I 총론
II 자기공명영상기법
III 영상판독
IV 자궁, 질, 난관의 발생
V 뮬러관발달장애
1. 유병률/2. 형태 분류/3. 각 분류에 따른 영상소견/4. American Fertility Society의 분류에 포함되지 않은 뮬러관기형
VI 중성
참고문헌
04 자궁근종과 선근증
I 자궁근종
1. 임상소견/2. 조직병리학적 소견/3. 영상소견/4. 자궁근종변성의 유형/5. 자궁근종의 드문 소견들/6. 감별진단
II 선근증
1. 임상소견/2. 영상소견/3. 선근증의 비전형적 성장형태/4. 감별진단
참고문헌
05 자궁경부암과 자궁내막암
I 자궁경부암
1. 자궁경부암의 병기별 영상소견/2. 자궁경부암의 치료 후 변화 및 재발의 영상소견
II 자궁내막암
1. 자궁내막암의 초음파검사소견/2. 자궁내막암의 병기별 영상소견/3. 자궁내막암 재발의 영상진단
참고문헌
06 기타 자궁종양과 임신성 영양막질환
I 자궁육종
1. 악성 혼합뮬러종양/2. 평활근육종/3. 자궁내막기질육종
II 자궁림프종
III 전이암
IV 지방성 자궁종양
V 임신성 영양막질환
1. 포상기태/2. 임신성 영양막종양
참고문헌
07 난소낭종과 낭성 질환
I 기능성 낭종
1. 난포낭/2. 황체낭/3. 난포막황체낭
II 난소위체낭
III 다낭성 난소병
IV 복막포함물낭
참고문헌
08 난소종양 : 일반적인 임상양상과 영상소견
I 난소종양의 조직학적 분류
II 선별검사
III 영상진단
1. 초음파검사/2. 자기공명영상/3. 전산화단층촬영/4. 양전자방출단층촬영
IV 병기결정
V 치료 후 추적검사
VI 재발암의 절제 가능성 판정
참고문헌
09 난소의 표면상피-기질종양과 생식세포종양
I 표면상피-기질종양
1. 장액종양/2. 점액종양/3. 자궁내막모양종양/4. 투명세포종양/5. 이행세포종양/6. 미분화암/7. 낭선섬유종
II 생식세포종양
1. 기형종/2. 미분화세포종/3. 난황낭난종/4. 배아암종/5. 융모막암/6. 악성 혼합생식세포종양
참고문헌
10 난소의 성끈간질종양과 기타 난소, 난관의 종양
I 성끈간질종양
1. 과립층세포종양/2. 난포막종, 섬유종, 섬유난포막종/3. 경화기질종양/4. 세르토리-레이디히세포종양/5. 스테로이드세포종양
II 전이암
III 림프종
IV 난관의 종양
참고문헌
11 자궁내막증
I 임상소견
1. 정의와 발생빈도/2. 증상과 징후
II 병리
1. 병태생리/2. 조직병리
III 영상소견
1. 초음파검사/2. 전산화단층촬영/3. 자기공명영상
IV 합병증
1. 유착/2. 파열/3. 악성세포전환
V 생식기 외 자궁내막증
1. 위장관/2. 요로계/3. 흉부/4. 수술흔에 발생한 자궁내막증
참고문헌
12 골반내감염과 난관난소농양
I 일반적인 골반내감염
1. 초음파검사소견/2. 전산화단층촬영소견/3. 자기공명영상소견
II 특이적 골반내감염
1. 방선균증/2. 결핵
III Fitz-Hugh-Curtis증후군
참고문헌
13 자궁외임신과 자궁부속기염전
I 자궁외임신
1. 초음파검사수기/2. 혈청학적 검사/3. 자궁외임신의 진단/4. 난관임신의 초음파소견/5. 자궁외임신의 드문 형태
II 자궁부속기염전
1. 관련된 해부학적 구조물/2. 병태생리/3. 임상양상/4. 영상소견/5. 치료
참고문헌
14 질과 음문
I 영상검사의 역할
II 해부학
III 검사기법과 정상 소견
1. 초음파검사/2. 전산화단층촬영/3. 자기공명영상
IV 질과 음문이상의 영상소견
1. 선천성 이상/2. 바토린낭종과 가트너관낭종/3. 염증질환과 누공/4. 양성종양/5. 악성종양
참고문헌
15 부인과 혈관질환과 중재적 시술
I 혈관질환의 중재적 시술
1. 임신과 연관된 출혈/2. 자궁근종색전술/3. 자궁 선근증의 색전술/4. 골반울혈증후군/5. 자궁 동정맥기형
II 비혈관성 중재적 시술
1. 배액술/2. 경화요법
참고문헌
한글 찾아보기/영문 찾아보기
03 산과영상
발간사/머리말
01 임신초기 초음파검사
I 정상 임신의 초음파소견
1. 임신 6∼10주/2. 임신 11∼14주
II 임신주수의 결정
1. 임신낭 크기/2. 두정둔부길이
III 임신초기 태아기형의 진단
1. 염색체이상의 진단/2. 임신초기 태아의 구조적 기형 진단
참고문헌
02 초기 이상임신과 관련 질환
I 자연유산
1. 자궁 내 보이지 않는 임신낭/2. 배아가 없는 자궁 내 임신낭/3. 자연유산의 난황/4. 자궁 내 배아가 있는 임신낭/5. 자궁내성장지연/6. 융모막하혈종/7. 임신잔류물
II 자궁외임신
1. 유발요인/2. 진단/3. 치료
III 임신성 영양모세포질환
1. 포상기태/2. 임신성 영양모세포종양
참고문헌
03 태아생체계측과 자궁내성장지연
I 태아생체계측
1. 양두정골직경/2. 머리둘레/3. 복부둘레/4. 대퇴골길이
II 자궁내성장지연
1. 정의/2. 원인과 위험인자/3. 예측과 진단/4. 도플러초음파검사/5. 자궁내성장지연이 의심되는 경우의 추적관찰
참고문헌
04 염색체이상
I 염색체이상 선별검사
1. 임신초기/2. 임신중기
II 13번세염색체증후군
III 18번세염색체증후군
IV 다운증후군
참고문헌
05 태아 중추신경계
I 스캔기법과 측정
II 머리모양의 이상
III 뇌실확장과 수두증
IV 선천성 중추신경계기형
1. 무두개증, 뇌노출증, 무뇌아/2. 뇌류/3. 척추이분증/4. 전전뇌증/5. 댄디워커기형/6. 지주막낭종/7. 거대대조/8. 무뇌수두증/9. 분열뇌증/10. 활택뇌증/11. 소두증/12. 뇌량무발생/13. 수도관협착증/14. 맥락막총낭종/15. 두개내출혈/16. 갈렌정맥기형/17. 감염/18. 양막대증후군/19. 중추신경계 종양들
참고문헌
06 태아 안면 및 경부기형
I 안면갈림증
1. 발생학/2. 윗입술과 구개의 초음파소견/3. 구순구개열/4. 단독구개열/5. 정중구순열/6. 비대칭열
II 안구와 안와
1. 두눈가까움증/2. 두눈먼거리증/3. 소안구증/4. 무안구증/5. 백내장
III 안와와 안와 주위의 종괴
1. 누낭류/2. 망막모세포종
IV 안면과 경부 종괴
1. 혈관종/2. 기형종/3. 낭성수활액낭종/4. 갑상선비대/5. 대설증
V 작은턱증
참고문헌
07 태아 흉부
I 태아 폐발달과 정상 해부학
II 흔한 흉부기형
1. 폐저형성증/2. 선천성 낭성선종양기형/3. 선천성 폐분리증
III 드문 흉부기형
1. 기관지낭종/2. 신경장관낭종/3. 선천성 상부기도폐쇄
IV 선천성 횡격막탈장
V 선천성 흉수
참고문헌
08 태아 심장
I 선천성 심장병
1. 심장초음파술기와 표준단면도/2. 정상 초음파소견/3. 비정상 초음파소견
II 심장종양
III 심장리듬
1. 심장리듬을 평가하는 초음파기법/2. 비정상 심장리듬
참고문헌
09 태아 복부
I 발생학
II 정상 태아 복부의 초음파소견
1. 임신초기/2. 임신중기와 말기
III 위장관계의 이상
1. 식도/2. 위장/3. 소장/4. 대장
IV 간담도계의 이상
1. 간/2. 담낭
참고문헌
10 태아 비뇨생식기계
I 정상 해부학
1. 신장/2. 요관/3. 방광/4. 요도/5. 생식기계/6. 부신
II 비뇨기계 발생이상
1. 신장무발생/2. 이소신과 융합기형
III 태아 요로확장
1. 요관신우이행부폐색/2. 요관방광이행부폐색/3. 방광요관역류/4. 방광출구폐색
IV 태아의 낭성 신질환
1. 다낭성 이형성신/2. 상염색체열성 다낭성 신질환/3. 상염색체우성 다낭성 신질환/4. 폐색성 낭성 신장이형성/5. 기타 유전가족성 낭성 이형성
V 기타 요로이상
1. 태아 신종양/2. 부신종괴/3. 태아 생식기이상
참고문헌
11 태아 전복벽
I 전복벽 발생과정과 전복벽기형의 원인
II 주요 전복벽기형
1. 배벽갈림증/2. 배꼽탈출/3. Pentalogy of Cantrell/4. 사지체벽복합기형/5. 방광뒤집힘증과 총배설강뒤집힘증/6. 양막대증후군
III 전복벽기형의 진단 접근 방법
1. 제한막의 존재/2. 결손 부위와 제대 삽입의 관계/3. 탈출된 장기의 종류/4. 탈출된 장관의 특징/5. 다른 선천성 기형의 동반
참고문헌
12 태아 근골격계
I 정상 발달
II 근골격계기형의 분류와 빈도
III 근골격계기형의 초음파검사
1. 사지장골/2. 두개골/3. 흉곽/4. 척추/5. 손, 발
IV 치명적인 근골격계기형
1. 사망임박이형성증/2. 연골무발생증/3. II형 불완전골생성증/4. 사지만곡이형성증/5. 점상연골이형성증/6. 동종접합연골무형성증/7. 짧은 늑골 다지증증후군
V 비치명적이거나 다양한 예후를 보이는 근골격계기형
1. 이종연합연골무형성증/2. 질식성 흉곽이형성증/3. 연골외배엽이형성증
VI 부분적인 근골격계이상
1. Holt-Oram증후군/2. Ectrodactyly/3. 곤봉발/4. 흔들의자바닥모양 발/5. 곱슬발가락/6. 인어증/7. 꼬리쪽퇴행증후군
참고문헌
13 태반, 제대, 양수
I 태반, 제대의 발생과 해부학적 구조
II 태반 위치이상
1. 전치태반/2. 전치혈관
III 태반 부착이상
1. 유착태반/2. 태반조기박리/3. 혈종
IV 태반모양이상
1. 유곽태반/2. 부태반
V 태반종양
1. 융모막혈관종/2. 태반낭종
VI 제대이상
1. 단일제대동맥
VII 양수의 이상
1. 양수과소증/2. 양수과다증
참고문헌
14 다태임신
I 태반 형성 및 융모수
1. 쌍둥이 태반 형성의 발생학/2. 임신초기 융모수와 양막수의 결정/3. 임신중기와 말기의 융모수 및 양막수의 결정
II 다태임신에서 일반적인 태아이상
1. 염색체이상/2. 구조적 이상/3. 쌍둥이 중 남은 한 태아의 사망/4. 성장저하
III 단일융모막쌍둥이에 특이한 합병증
1. 쌍둥이간수혈증후군/2. 무심장쌍둥이/3. 단일양막쌍둥이/4. 결합쌍둥이
참고문헌
15 태아 자기공명영상
I 검사방법
1. 안전도/2. 동의서/3. 환자의 위치/4. 자기공명영상기법
II 태아 자기공명영상 적응증
III 정상 해부학
1. 태아 신경계/2. 태아 안면과 경부/3. 태아 흉부/4. 태아 복부/5. 태아 비뇨기계/6. 태아 근골격계/7. 태반과 산모의 자궁부속기/8. 허상
IV 태아 이상
1. 태아 신경계이상/2. 태아 비신경계이상
참고문헌
한글 찾아보기/영문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