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수험서/자격증 > 공무원 수험서 > 교원임용시험 > 중등 전공
· ISBN : 9788941481850
· 쪽수 : 432쪽
· 출판일 : 2014-03-05
책 소개
목차
Chapter 01 역사교육의 의의
Ⅰ 역사교육과 역사교육학
1. 역사교육 이론의 변천
2. 역사교육의 의미
3. 역사교과교육 이론
4. 역사교육과 역사교육학
5. 전통적인 역사교육의 목적
Ⅱ 역사교육의 연구방법론
1. 역사교육의 연구방법
2. 역사교육의 연구대상 및 범위
3. 역사교육 연구방법과 현장연구
4. 역사수업연구의 일면
Chapter 02 역사학과 역사철학
Ⅰ 역사학의 기초
1. 역사학의 이해
2. 사료와 사료 비판
3. 역사학과 사회과학
Ⅱ 역사철학과 역사교육
1. 역사철학의 유형
2. 관념론과 실증론
3. 과학적 역사 설명의 논리
4. 역사수업에서 설명상의 문제와 개선 방향
5. 과학적 설명 논리에 따른 역사의 수업방식
6. 총괄의 특성
7. 총괄과 역사학습
8. 역사학의 행위 설명이론
9. 행위 설명이론과 역사교육
Ⅲ 역사이해와 역사교육
1. 구성주의와 역사이해
2. 역사이해란 무엇인가?
3. 역사학습과 역사이해
Chapter 03 역사학의 역사
Ⅰ 역사학의 쟁점 - 역사학의 특성과 논쟁점
Ⅱ 역사학의 변천
1. 중국과 우리나라의 역사학
2. 19~20세기 서구의 역사학
3. 20세기 후반 역사학의 전개
4. 20세기 후반의 역사연구 경향
5. 포스트모던 역사인식과 역사학습
6. 과거는 낯선 나라다.
7. 포스트모더니즘 이론의 기여와 한계
Chapter 04 역사과 교육과정론
Ⅰ 역사과 목표론
1. 역사교육의 목적
2. 역사교육의 목표론
Ⅱ 역사과 내용론
1. 역사교육의 내용
2. 역사교육 내용의 요소
3. 역사교육 내용의 체계
4. 역사교육 내용의 선정
5. 역사교육 내용의 조직
Ⅲ 역사과 교재론
1. 역사교재의 개념
2. 역사교재의 형태
3. 역사교재의 소재
4. 역사교재의 제작
Ⅳ 역사과 교수-학습론
1. 역사수업의 의미와 설계
2. 역사수업의 방법
3. 학습지도안의 실제
4. 효과적인 역사수업을 위한 전략
Ⅴ 역사과 평가론
1. 역사과 평가의 목적과 방향
2. 역사과 평가절차
3. 역사과 평가도구의 질적 요건과 분석
4. 역사과 선다형 평가
5. 역사과 서술형 평가
6. 역사과 수행평가
Chapter 05 역사과 교육이론
Ⅰ 역사적 사고를 둘러싼 논란
1. 역사적 사고란 무엇인가?
2. 역사적 사고를 둘러싼 입장의 차이
Ⅱ 내러티브와 역사학습
1. 내러티브의 특성과 역사학습에서의 활용
2. 내러티브 수업 모델
3. 역사 서술방식으로서의 내러티브
4. 역사교사의 인지적 특성이 역사수업에 미치는 영향
5. 새로운 역사이론과 역사교육
Chapter 06 우리나라 및 각국의 역사교육
Ⅰ 우리나라의 역사교육
1. 우리나라의 역사교육
2. 해방 이후 역사교육의 변천
Ⅱ 각국의 역사교육
Ⅲ 일본의 역사왜곡과 중국의 동북공정
1. 일본의 역사왜곡
2. 중국의 동북공정
Chapter 07 새로운 역사이론과 역사교육
Ⅰ 기억과 역사학
Ⅱ 역사 재현의 다양한 경로와 대중역사
1. 역사 재현과 역사학습
2. 기념물과 역사교육
3. 미디어와 역사교육
Ⅲ 변화된 세계사 인식과 세계사 교육
1. 세계화 시대의 세계사 교육
2. 세계사 교육에서의 타자 읽기
3. 다원적 세계사와 아시아 그리고 동아시아
4. 역사인식이론과 객관화를 위한 역사학습
5. 비판적 역사 읽기와 역사 쓰기
Ⅳ 민족주의와 역사교육
1. 민족주의와 교과서
2. 민족주의 역사교육을 보는 두 시각
3. 일본의 역사왜곡
4. 포스트모던 역사이론의 민족 논의와 한국사 인식
Appendix 01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 - 역사과 교육과정
Ⅰ 공통 교육과정 - 역사
Ⅱ 선택 교육과정 - 한국사
Ⅲ 선택 교육과정 - 동아시아사
Ⅳ 선택 교육과정 - 세계사
Appendix 02 2차 시험 수업지도안 예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