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공학계열 > 도시/환경공학 > 환경학
· ISBN : 9788942515721
· 쪽수 : 435쪽
· 출판일 : 2010-09-10
목차
Chapter 1 미생물학과 생태계의 원리
1.1 미생물학의 기원 2
1.2 위생 미생물학의 역사 4
1.3 생물과 미생물 11
1.4 생태계의 기본원리 15
Chapter 2 세 균
2.1 서 론 32
2.2 세균 세포의 구조 33
2.3 세균의 동정 42
2.4 세균의 분류 45
Chapter 3 진핵미생물
3.1 서 론 56
3.2 조 류 56
3.3 원생동물 65
3.4 진균류 71
3.5 지의류 76
Chapter 4 바이러스와 후생동물
4.1 서 론 80
4.2 바이러스 80
4.3 후생동물 87
Chapter 5 실험방법론
5.1 서 론 92
5.2 미생물학 실험에서의 안전수칙 92
5.3 무균기법 93
5.4 미생물의 배양 96
5.5 현미경 100
5.6 미생물의 계수 106
5.7 염색방법 111
5.8 미생물학적 분석 114
5.9 지표미생물 119
Chapter 6 생체구성물질
6.1 서 론 128
6.2 이성질 현상 129
6.3 단백질 130
6.4 다당류 138
6.5 핵 산 143
6.6 지 질 146
Chapter 7 미생물 대사
7.1 서 론 152
7.2 열역학과 화학평형 153
7.3 에너지 생성 대사 158
7.4 생합성 169
7.5 광합성 173
7.6 대사조절 174
Chapter 8 미생물의 생장
8.1 서 론 180
8.2 생장의 수학적 표시 180
8.3 생장곡선 183
8.4 생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184
8.5 연속 배양 187
8.6 두 가지 기질을 이용한 생장 192
8.7 단일 개체군의 생장 193
8.8 혼합 배양 195
Chapter 9 환경오염과 미생물
9.1 서 론 204
9.2 난분해성 유기물의 생분해 204
9.3 수환경에서의 생분해 218
9.4 비균질환경에서의 분해 221
9.5 미량 중금속 순환에서의 미생물의 활성 223
9.6 부영양화 225
9.7 오염의 미생물학적 지표 233
9.8 산성 광산 폐수 235
9.9 대기오염과 미생물 236
9.10 열오염 239
9.11 토양오염 241
9.12 합성유기물과 내분비계 장애물질 243
Chapter 10 병원체
10.1 서 론 252
10.2 병원체의 침입과 전파양식 253
10.3 수인성 병원체에 의한 질병 255
Chapter 11 상수처리
11.1 서 론 274
11.2 미생물학적 수질기준 274
11.3 상수처리 과정 276
11.4 소 독 278
11.5 화학오염물질 284
11.6 상수 공급체제 285
Chapter 12 생물학적 폐수처리의 원리
12.1 서 론 290
12.2 폐수와 폐기물의 양과 조성 291
12.3 생물학적 처리의 종류 293
12.4 생물학적 처리의 수준 294
Chapter 13 호기성 폐수처리
13.1 서 론 302
13.2 예비 처리와 1차 처리 302
13.3 폐수 처리의 목적 304
13.4 활성 슬러지 공정 304
13.5 생물량 순환 체제에서의 기질 제거와 생장 307
13.6 활성 슬러지의 생물학적 특성 310
13.7 운전상의 변형 322
13.8 변형 공정 323
13.9 생물막 처리법 327
13.10 살수여상법 333
13.11 회전원판법 341
13.12 기타 생물막 공정 345
13.13 고도 처리 348
Chapter 14 혐기성 폐수 처리
14.1 서 론 360
14.2 혐기성 슬러지 소화 361
14.3 혐기성 소화에서의 생물학적 활성 363
14.4 폐수 안정지 370
Chapter 15 산업 폐수 및 폐기물 처리
15.1 서 론 378
15.2 산업 폐수 처리의 생물학적 측면 378
15.3 호기성 처리 공정 384
15.4 혐기성 처리 공정 387
Chapter 16 퇴비화와 토양처리법
16.1 퇴비화의 특성 394
16.2 퇴비화 공정의 개요 394
16.3 퇴비화의 미생물학 397
16.4 퇴비화 중의 병원체들 399
16.5 토양처리법 400
16.6 토양처리법의 특성 402
16.7 감시 및 폐쇄 408
16.8 효소처리법 409
16.9 생물회복기술 412
Chapter 17 환경과 생물공학
17.1 메탄가스 생성과 폐기물 처리 420
17.2 미생물에 의한 탈황 421
17.3 금속회수 423
17.4 원유의 회수 426
17.5 퇴비화의 이용 427
17.6 폐수에서의 중금속 제거 429
17.7 배기가스의 생물학적 처리 430
17.8 폐수처리 시 부동화 세포의 이용 434
17.9 폐수처리에서 재조합 DNA 기술의 이용 435
찾아보기 4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