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공학계열 > 공학일반
· ISBN : 9788942590865
· 쪽수 : 426쪽
· 출판일 : 2016-06-20
목차
Chapter 01 폭발의 정의
1.1 한국어 위키백과
1.2 영어 위키백과
1.3 산업안전대사전
1.4 화학용어사전
1.5 화학대사전
1.6 두산백과
1.7 과학백과사전
1.8 폭발의 정의에 대한 저자의 견해
Chapter 02 관련 이론
2.1 물질의 구성
2.2 물질의 상
2.3 상변화
2.4 기체관련 이론
2.5 연소
2.6 압력
2.7 파동
Chapter 03 폭발에 의한 효과
3.1 압력
3.2 파동(압력파, 충격파)
3.3 파괴 및 파편효과
3.4 지진효과
3.5 열효과
Chapter 04 폭발의 구분
4.1 폭발의 직접 원인에 의한 불류
4.2 기상폭발과 응상 폭발
4.3 확산폭발과 집중 폭발
4.4 폭굉과 폭연
Chapter 05 물리적, 화학적, 전기적 폭발
5.1 물리적 폭발
5.2 화학적 폭발
5.3 전기적 폭발
Chapter 06 물리적 폭발
6.1 압력 증가의 원인
6.2 물리적 폭발 후 화재
6.3 사례: Electric Arc Furnace Explosion in Louisville, KY
6.4 화재 후 물리적 폭발
6.5 BLEVE의 발생 메커니즘
6.6 액격현상
6.7 사례 Propane tank Explosion in Albert City, Iowa
6.8 용기의 파괴
6.9 사례: Polyethylene Wax Processing Facility Explosion and Fire in Houston, Texas
Chapter 07 화학적 폭발(확산폭발)
7.1 연소폭발의 필수요소
7.2 연소범위와 폭발현장의 혼합비율
7.3 가연물의 분포
7.4 화학적 폭발의 메커니즘
7.5 화학적 폭발의 가연물
7.6 사례: AL Solutions, Inc. Explosion in Cumberland, WV
7.7 화학적 폭발의 점화원
7.8 화학적 폭발 후 화재
7.9 화재 후 화학적 폭발
7.10 파이어볼(Fire ball)
7.11 증기운 폭발(VCE, Vapor Cloud Explosion)
7.12 사례: Caribbean Petroleum Tank Terminal Explosion in San Juan Bay
7.13 화학적 폭발 위력의 영향인자
Chapter 08 폭발물에 의한 폭발
8.1 폭발물의 구조
8.2 폭발물의 용기
8.3 폭발물의 성능(High order, Low order)
8.4 폭발물 사고 사례
Chapter 09 전기적 폭발
9.1 전기적 폭발의 효과
9.2 용기내의 전기적 폭발
9.3 전기적 폭발의 원인
Chapter 10 폭발에 의한 상해
10.1 상해를 가하는 폭발의 효과들
10.2 폭발 상해(Blast injury)의 유형
Chapter 11 폭발의 방지
11.1 폭발의 안전 대책
11.2 방폭조치
11.3 사례: Static Spark Ignites Flammable Liquid
11.4 사례: Barton Solvents Static Spark Ignites Explosion in Valley Center, Kansas
11.5 사례: Heat exchanger rupture in Houston, Texas
Chapter 12 폭발의 조사
12.1 폭발 현장의 안전
12.2 폭발에 대한 정보 수집
12.3 폭발여부의 확인
12.4 폭발 유형의 결정
12.5 챠트의 적용
12.6 잔해의 수집
12.7 파편 분석을 통한 폭심부의 확인
Chapter 13 폭발 사고 사례 분석
13.1 부패 등에 의한 발생 가스 폭발
13.2 대구목욕탕 보일러실 폭발 사고
13.3 액상이 남아있는 경우와 모두 증발한 경우
13.4 폐수정화약제 생산공장 폭발
13.5 용접 및 절단 작업 중 역화에 의한 폭발사고
13.6 구미 벙커B유 탱크 폭발
13.7 보일러 폭발 사고
13.8 폭발과 백드래프트(Back Draft)
13.9 수중절단 작업 중 폭발
13.10 진공폭발
13.11 분해폭발
찾아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