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한국인의 생활사

한국인의 생활사

(문화와 생활중심의 역사읽기)

한미라 (지은이)
일진사
16,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4,400원 -10% 2,500원
800원
16,1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28개 1,9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한국인의 생활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한국인의 생활사 (문화와 생활중심의 역사읽기)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역사학
· ISBN : 9788942907564
· 쪽수 : 316쪽
· 출판일 : 2011-03-25

책 소개

문화와 생활을 중심으로 한 역사읽기로 현재까지 남아 있는 유물유적을 통해 우리 조상들의 삶을 담았다. 암각화(岩刻畵)로 선사인(先史人)의 생활을, 고분벽화로 고구려인의 생활을, 토우(土偶)로 신라인의 생활 등을 살핀다. 또한 중세의 신분별 생활과 일생 의례, 의식주 생활 등을 담았다.

목차

Ⅰ. 유물에 나타난 생활
첫 번째. 우리민족의 기원
민족이란 10
인류의 출현과 진화 12
우리 민족의 기원 15
우리 민족의 전형적인 얼굴 19
반만년의 역사를 가진 우리 민족 21

두 번째. 암각화(岩刻畵)로 보는 선사인(先史人)의 생활
암각화란 26
가장 오래된 울주 반구대 암각화 27
추상적인 내용의 울주 천전리 암각화 34
그 밖에 어떤 암각화가 있을까 38

세 번째. 고분벽화를 통해 본 고구려인의 생활
고분벽화는 왜 그렸을까 41
고분벽화는 어떻게 그렸을까 43
고구려 고분벽화의 내용의 변화 44
무엇을 입고 살았을까 47
무엇을 먹고 살았을까 53
어떤 집에서 살았을까 55
고분 벽화에 나타난 신분 59

네 번째. 토우(土偶)로 살펴본 신라인의 생활
토우란 62
토우는 왜 만들었을까 63
신라 토우의 발굴 64
토우로 살펴본 신라인의 성 풍속 65
토우를 통해 본 생활상 67

Ⅱ. 중세의 신분별 생활
다섯 번째. 왕(王)의 생활
'왕'이란 명칭은 어떻게 생겨났을까 78
왕의 여러 가지 호칭 80
왕은 하루를 어떻게 보냈을까 82
왕의 상징물 84
왕은 어떤 옷을 입었을까 86
왕의 식사 89

여섯 번째. 관료(官僚)의 생활
귀족, 양반, 선비의 정의 93
관료가 되는 방법 94
과거를 보기까지의 교육과정 99
중세의 관료 규모 105
재상이 되기까지 107
관리의 수입은 얼마나 되었을까 109

일곱 번째. 농민(農民)의 생활
양인이란 111
24절기와 한 해 농사 113
농가의 수입과 지출 118
농자천하지대본 120
농경의례 125

여덟 번째. 여성(女性)의 생활
여성 지위의 변화 130
조선시대 여성들의 생활 규제 모습 138
아홉 번째. 천민(賤民)의 생활
가축보다 못한 인간, 노비 146
노비보다 못한 양인 백정 156

Ⅲ. 일생의례(一生儀禮)

열 번째. 기자신앙과 출산ㆍ육아의례
일생의례란 164
기자신앙이란 165
아들을 낳으려면 166
태교의 어려움 170
아기 낳을 때의 의례 173
출산 이후의 육아의례 175

열한 번째. 관례(冠禮)와 혼례(婚禮)
관례란 180
혼례란 185

열두 번째. 상례(喪禮)와 제례(祭禮)
상례란 194
제례란 203

Ⅳ. 의식주와 제도

열세 번째. 의생활 문화
옛날에도 패션이 있었을까 214
특이한 조선여인의 복장 222
패션의 선두주자, 그녀는 기녀 223
시대 최고의 미인상은 225

열네 번째. 식생활 문화
우리 민족의 식사예절 231
정말 많이 먹는 우리 민족 233
최초의 요리책,[음식디미방] 236
우리나라의 대표적 식문화 238

열다섯 번째. 주거생활 문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주택 248
주택의 변화 250
집에는 사람만 살까 256
잡터잡기 262

열여섯 번째. 가족제도
가족과 가족제도 267
성은 언제부터 사용하였을까 272
본관이란 274
족보의 발달 275

열일곱 번째. 형벌(刑罰)제도
법은 어디서 집행하나 279
죄를 지으면 가는 곳 280
고통스러운 감옥생활 282
형벌의 절차 283
죽어서도 받는 육시와 부관참시 292

부 록

1. 역대 왕실 세계표
신라 296 / 고구려 299/ 백제 301/ 발해 303 /고려 304/ 조선 306
2. 친족 체계표
친족 계보와 촌수 308/ 외가 계보와 촌수 309

찾아보기

저자소개

한미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교육학석사), 뉴욕 주립대학교(철학박사), 하버드 대학교 신학대학원(신학석사)을 졸업하고, 한국기독교대학신학대학원협의회에서 1기 목사안수를 받았다. 서울신학대학교 교수를 거쳐 호서대학교 교수가 되어 학부장, 교목실장, 국제교육원장, 연신원장 등을 역임했다.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와 한국기독교대학신학대학원협의회 창립 멤버로 활동했으며, ‘호서-드루 디민(D.Min.) 프로그램’ 및 ‘호서-루터 라이스 디민 프로그램’의 디렉터, 한국기독교대학신학대학원협의회 회장, 상임이사, 이사장을 역임했다. 저서로 《개신교교회교육》, 《여자가 성서를 읽을 때》, 《기독교교육개론》(공저), 《Exploring Christian Education》(공저), 역서로 《나눔의 교육과 목회》 등이 있으며, 지금까지 110여 편의 학술논문을 발표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