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수험서/자격증 > 산업인력관리공단 > 기술사/법규/시방서
· ISBN : 9788942913374
· 쪽수 : 888쪽
· 출판일 : 2013-01-20
책 소개
목차
part01 설비 진단 및 계측
제1장 설비 진단의 개요와 진동의 기본
1. 설비 진단 기술의 정의 / 14
1-1 설비 진단 기술의 정의 / 14
1-2 설비 진단 기술의 필요성 / 15
1-3 설비 진단 기술의 구성 / 15
1-4 진동 상태 감시 / 15
1-5 설비 진단 기법 / 16
2. 진동의 기본 / 17
2-1 진동의 기본 / 17
2-2 진동의 측정 기본량 / 19
2-3 변위, 속도, 가속도 관계 / 19
2-4 진동 단위 / 20
2-5 진동의 종류 및 댐핑 영향 / 21
제2장 진동 측정
1. 진동 측정 시스템 / 31
1-1 개 요 / 31
1-2 측정 시스템 / 31
1-3 센 서 / 31
1-4 진동 센서의 선정 조건 / 33
1-5 진동 센서의 설치 / 33
1-6 진동 센서의 영향 / 35
제3장 진동 신호 해석
1. 개 요 / 41
1-1 진동 신호 처리의 정의 / 41
1-2 신호 처리 시스템 / 41
제4장 기계 진동 방지 기술
1. 개 요 / 51
1-1 진동 방지의 목적 / 51
2. 일반적 진동 방지 기술 / 51
2-1 진동 차단기 / 51
2-2 질량이 큰 경우 거더의 이용 / 52
2-3 2단계 차단기의 사용 / 52
2-4 기초의 진동을 제어하는 방법 / 52
3. 진동 차단기의 선택 / 52
3-1 강철 스프링 / 53
3-2 천연고무 또는 합성고무 절연재 / 53
3-3 패드 / 54
3-4 공기 스프링 / 54
4. 댐 핑 / 54
5. 방진 지지 이론 / 55
5-1 완충 지지 / 55
5-2 방진 지지 / 55
5-3 방진 지지에 미치는 주파수 / 56
제5장 회전 기계의 진단
1. 기계의 고장 원인 / 62
2. 이상 현상의 특징 / 62
3. 진단의 분류 / 63
3-1 간이 진단 / 63
3-2 정밀 진단 / 63
4. 회전 기계의 간이 진단 / 64
4-1 측정 주기의 결정 / 64
4-2 판정 기준의 결정 / 64
5. 회전 기계의 정밀 진단 / 64
5-1 진동 분석 방법 / 64
6. 이상 진동 주파수 / 66
제6장 소음 이론
1. 소음과 진동의 관계 / 73
2. 소음의 물리적 성질 / 73
2-1 음파의 종류 / 73
2-2 음의 굴절 / 73
2-3 반사, 투과와 흡수 / 74
2-4 간섭 / 74
2-5 호이겐스 원리 / 75
2-6 마스킹 효과 / 75
2-7 음의 회절 / 75
2-8 도플러 효과 / 76
3. 음의 제량 및 단위 / 76
3-1 음파 / 76
3-2 음의 dB 단위 / 78
제7장 소음 방지 기술
1. 소음 발생과 대책 / 86
1-1 기계 소음의 발생원 / 86
1-2 음원 대책 / 88
1-3 공장 건물의 방음 대책 / 88
1-4 소음 방지 대책 / 88
제8장 계 측 기
1. 온도, 압력, 유량, 액면의 계측 / 100
1-1 온도의 계측 / 100
1-2 압력의 계측 / 102
1-3 유량의 계측 / 107
1-4 액면의 계측 / 112
2. 회전수의 계측 / 125
2-1 펄스 출력형 검출기 / 125
2-2 디지털 계수식 회전계 / 126
2-3 각도 검출용 센서 / 126
3. 전기의 계측 / 131
3-1 전류 검출용 센서 / 131
제9장 센서와 신호 변환
1. 센 서 / 133
1-1 센서의 개념 / 133
1-2 센서의 종류 / 133
1-3 검출 대상별 센서 / 134
1-4 센서용 재료 / 137
2. 신호 변환 / 139
2-1 기계적 변환 / 139
2-2 압력으로의 변환 / 141
2-3 전기적 변환 / 141
2-4 광학적 및 기타의 변환 / 144
3. 프로세스 제어 / 151
3-1 피드백 제어의 기초 / 151
3-2 프로세스 특성 / 153
3-3 조절계의 제어 동작 / 157
3-4 시퀀스 제어 / 162
part02 설비 관리
제1장 설비 관리 개론
1. 설비 관리의 개요 / 168
1-1 설비 관리의 의의와 발전 과정 / 168
1-2 설비 관리의 목적과 필요성 / 169
1-3 설비 관리 기능 / 170
2. 설비의 범위와 분류 / 171
2-1 설비의 범위 / 171
2-2 설비의 분류 / 172
3. 설비 관리의 조직과 요원 / 172
3-1 설비 관리 조직의 개념 / 172
3-2 설비 관리의 조직 계획 / 172
3-3 설비 관리의 요원 대책 / 174
제2장 설비 계획
1. 설비 계획의 개요 / 183
1-1 설비 계획의 필요성 / 183
1-2 설비 프로젝트의 종류 / 183
1-3 프로젝트?엔지니어링 / 184
2. 설비 배치 / 184
2-1 설비 배치의 개요 / 184
2-2 설비 배치의 형태 / 185
2-3GT 흐름 라인 / 185
2-4 설비 배치의 분석 기법 / 186
2-5 설비 배치 순서 / 187
3. 설비의 신뢰성 및 보전성 관리 / 187
3-1 신뢰성의 의의 / 187
3-2 신뢰성의 수리적 판단 / 188
3-3 신뢰성의 평가 척도 / 188
3-4 보전성과 유용성 / 189
3-5 신뢰성과 보전성의 설계 / 190
3-6 설비 보전을 위한 설비의 신뢰성과 보전성 / 191
3-7 고장 분석과 대책 / 193
4. 설비의 경제성 평가 / 193
4-1 경제성 평가의 필요성 / 193
4-2 설비의 경제성 평가 방법 / 194
5. 보전 계획 수립 방법 / 195
5-1 보전 계획의 개요 / 195
5-2 보전 계획의 분류 / 195
5-3 보전 계획에 필요한 요소 / 195
제3장 설비 보전의 계획과 관리
1. 설비 보전과 관리 시스템 / 210
2. 설비 보전 조직과 표준 / 211
2-1 설비 보전 조직 / 211
2-2 설비 보전 표준화 / 212
3. 설비 보전의 본질과 추진 방법 / 213
3-1 설비 보전의 효과 / 213
3-2 설비 보전에 의한 설비의 유지 관리 / 213
3-3 설비의 최적 보전 계획 / 214
3-4 보전 시간 / 216
3-5 설비 보전의 추진 방법 / 217
3-6 기본 설비 보전 업무 / 217
3-7 설비 보전 실시상의 유의사항 / 217
4. 설비의 예방 보전 / 218
4-1 예방 보전의 기능 / 218
4-2 예방 보전의 효과 / 218
4-3 중점 설비의 분석 / 219
4-4 예방 보전 검사 제도 / 219
5. 공사 관리 / 220
5-1 공사의 목적 분류 / 220
5-2 공사 관리 제도의 개요 / 221
5-3 공사 전표의 역할 / 221
5-4 공사 요구의 방법 / 221
5-5 공사의 완급도 / 221
5-6 공사의 견적 / 222
5-7 여력 관리와 일정 계획 / 222
5-8 진도 관리 / 223
5-9 휴지 공사 / 223
5-10 긴급 돌발 공사와 외주 공사 / 224
6. 보전용 자재 관리와 보전비 관리 / 225
6-1 보전용 자재 관리 / 225
6-2 보전비 관리 / 227
7. 보전 작업 관리와 보전 효과 측정 / 227
7-1 보전 작업 관리 / 227
7-2 보전 효과 측정 / 228
제4장 공장 설비 관리
1. 공장 설비 관리의 개요 / 239
1-1 공장 설비의 종류와 관리 목적 / 239
1-2 설비의 분류 방법 / 239
2. 계측 관리 / 240
2-1 계측화 계획 / 240
2-2 계측 관리 추진 방법 / 241
3. 치공구 관리 / 241
3-1 치공구 관리의 개요 / 241
3-2 치공구 관리의 기능과 조직 / 242
3-3 공구가 미치는 영향 / 242
4. 공장 에너지 관리 / 243
4-1 개 요 / 243
4-2 열 관리 / 244
4-3 전력 관리 / 245
4-4 대기 오염 방지 / 245
5. 설비 효율의 분석 / 245
5-1 시스템의 진단과 형상 수준의 평가 / 245
5-2 설비 효율 분석과 개선 절차 / 246
제5장 종합적 생산 보전
1. 종합적 생산 보전의 개요 / 252
1-1 종합적 생산 보전의 의의 / 252
1-2 TPM의 특징과 목표 / 252
1-3 TPM 추진 기구의 역할 / 253
2. 설비 효율 개선 방법 / 254
2-1 설비의 효율화 6대 저해 로스 / 254
2-2 로스 계산 방법 / 255
2-3 로스의 6대 개선 목표 / 256
3. 만성 로스 개선 방법 / 257
3-1 만성 로스의 개요 / 257
3-2 PM 분석 방법 / 257
3-3 결함의 발견 방법 / 258
3-4 복 원 / 258
4. 자주 보전 활동 / 258
4-1 자주 보전의 개요 / 258
4-2 자주 보전의 진행 방법 / 259
5. 계획 보전 활동 / 260
5-1 보전 부문과 제조 부문의 분담 / 260
5-2 계획 보전의 활동 내용 / 261
5-3 기능 교육 / 261
5-4 MP 설계와 초기 유동 관리 체제 / 262
6. 품질 개선 활동 / 262
6-1 문제 해결의 기본 / 262
6-2 단계별 전개 방법 / 264
part03 기계 일반 및 기계 보전
제1장 기계 일반
1. 기계 요소 제도 / 280
1-1 결합용 기계 요소의 제도 / 280
1-2 축계에 관한 요소의 제도 / 292
1-3 전동 장치의 제도 / 298
1-4 스프링과 관계 요소 제도 / 306
2. 기계공작법 / 313
2-1 기계 공작 일반 / 313
2-2 선반 가공법 / 316
2-3 밀링 가공법 / 324
2-4 연삭 가공 / 334
2-5 기타 범용 기계 가공 / 344
2-6 정밀 입자 가공 및 특수 가공 / 359
2-7 CNC 공작법 / 367
2-8 수기 가공 / 379
2-9 용 접 / 394
2-10 열처리 / 420
제2장 기계 보전
1. 보전의 개요 / 429
1-1 측정과 보전용 공기구 / 429
1-2 보전용 측정 기구 / 433
1-3 보전용 재료 / 434
1-4 설비 보전의 용어 / 440
2. 기계 요소 보전 / 450
2-1 체결용 기계 요소 보전 / 450
2-2 축계 기계 요소 보전 / 452
2-3 전동 장치 보전 / 459
2-4 제어용 요소의 보전 / 462
2-5 관계 요소 보전 / 463
3. 기계 장치 보전 / 488
3-1 펌 프 / 488
3-2 통풍기 / 508
3-3 송풍기(blower) / 509
3-3 압축기(compressor) / 517
3-4 변속기와 감속기 / 523
3-5 전동기의 정비 / 529
part04 윤활 관리
제1장 윤활의 개요
1. 윤 활 / 534
2. 윤활의 목적과 방법 / 534
제2장 윤활제의 종류와 선정
1. 윤활 작용 / 537
2. 원유의 정제 / 538
3. 윤활제 / 541
4. 윤활유 성질 / 544
5. 윤활제의 첨가제 / 548
6. 그리스 / 549
제3장 윤활제의 급유법
1. 개 요 / 557
2. 윤활유 급유법 / 558
3. 그리스 급유법 / 562
제4장 윤활유의 열화와 관리
1. 윤활유의 열화 원인 / 566
2. 윤활유 열화에 미치는 인자 / 566
3. 첨가제 / 567
4. 윤활유의 열화 판정법 / 568
5. 윤활유의 열화 방지와 사용 한계 / 569
제5장 현장 윤활 관리
1. 베어링의 윤활 관리 / 575
2. 베어링의 그리스 윤활 / 578
3. 압축기의 윤활 / 579
4. 기어의 윤활 관리 / 582
5. 유압 작동유 / 584
6. 절삭유제 / 585
7. 방청제 / 586
8. 현장의 윤활 관리 / 586
part05 공유압 및 자동화
제1장 공유압
1. 공유압 장치의 개요 / 592
1-1 공유압의 정의 / 592
1-2 공유압 장치의 구성 및 작동 유체 / 592
1-3 공유압의 기초 / 594
2. 공압 기기 / 602
2-1 공압 발생 장치 / 602
2-2 공압 밸브 / 604
2-3 공압 액추에이터 / 607
2-4 공유압 조합 기기 / 612
3. 유압 기기 / 630
3-1 유압 펌프 / 630
3-2 유압제어 밸브 / 634
3-3 유압 액추에이터 / 638
3-4 부속 기기 / 639
4. 공유압 회로 / 670
4-1 공유압 회로 설계 / 670
4-2 공압 회로 / 671
4-3 유압 회로 / 673
제2장 자동화의 개요
1. 자동화의 개요 / 700
1-1 자동화의 개념 / 700
1-2 자동화의 발전과 생산 관리 / 700
1-3 자동화 도입 절차 / 701
2. 자동화 시스템 / 701
2-1 자동화 시스템의 개요 / 701
2-2 자동화의 목표 / 702
2-3 공장 자동화의 전개 단계 / 702
2-4 공장 자동화의 종류 / 702
2-5 구 성 / 704
3. 제어와 자동 제어 / 707
3-1 제어계 / 707
3-2 제어 시스템의 분류 / 707
3-3 제어와 자동 제어 / 709
4. 핸들링 / 714
4-1 정 의 / 714
4-2 개 요 / 714
4-3 종 류 / 716
5. 전기 회로 구성 요소와 기초 전기 회로 / 720
5-1 전기 회로 구성 요소 / 720
5-2 기초 전기 회로 / 725
6. 전기 기계 / 736
6-1 직선 모터 / 736
6-2 회전 모터 / 737
제3장 자동화 시스템의 보전
1. 보전의 개요 / 747
1-1 보수 관리의 목적 / 747
1-2 보수 관리의 용어 / 747
2. 자동화 시스템 보수 유지 방법 / 749
2-1 공압 시스템 보수 유지 / 749
2-2 유압 시스템의 보수 유지 / 751
2-3 전기 시스템의 보수 유지 / 753
2-4 수치 제어 시스템의 보수 유지 / 756
부 록
1. 과년도 출제 문제 / 768
2. 실기 예상 문제 / 86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