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근대 변혁기 한일관계사 연구

근대 변혁기 한일관계사 연구

현명철 (지은이)
경인문화사
3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3개 28,1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근대 변혁기 한일관계사 연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근대 변혁기 한일관계사 연구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근현대사 > 근대개화기
· ISBN : 9788949949437
· 쪽수 : 460쪽
· 출판일 : 2021-01-29

책 소개

한국에게 불공정 조약이었던 조일수호조규 체결(또는 강화도 조약)에 이르는 시기의 한일관계사를 살펴 본 것이다. 개항기 당시 우리 선조들은 외부세계를 이해하려 노력하고 수백 년간 지속하여온 자신의 정체성과 세계관을 유지하면서 근대를 맞이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였다.

목차

책을 내면서

제1부 일본의 개항과 쓰시마

제1장 막말 정치사와 한일관계관의 변화- 성신지교(誠信之交)에서 구폐(舊弊)로 -
Ⅰ. 머리말
Ⅱ. 막부의 개항과 쓰시마
Ⅲ. 일본의 정쟁과 쓰시마
Ⅳ. 「구폐」로 간주된 조선후기 한일관계
제2장 1861년 쓰시마번의 이봉(移封)운동
Ⅰ. 머리말
Ⅱ. 이봉론(移封論)의 대두
Ⅲ. 오후나코시[大船越] 사건과 이봉(移封)운동의 전개
Ⅳ. 이봉(移封)운동의 성숙과 그 결말
Ⅴ. 맺음말
제3장 쓰시마번「양이정권」의 성립배경과 과정
Ⅰ. 문제의 소재
Ⅱ. 쓰시마번 양이정권(攘夷政權) 성립의 배경
Ⅲ. 동맹의 과정 : 桂小五郞과의 관련을 중심으로
Ⅳ. 맺음말
제4장 막부말기의 「정한론(征韓論)」과 쓰시마
Ⅰ. 머리말
Ⅱ. 쓰시마번 양이정권의 활동
Ⅲ. 쓰시마번의 원조 획득과 이른바 「정한론 원서」
Ⅳ. 원조 중단과 쓰시마번 내부의 혼란
Ⅴ. 맺음말
제5장 막말-메이지 초기 쓰시마번 처리에 대한 고찰
Ⅰ. 머리말
Ⅱ. 쓰시마번 처리 문제의 대두
Ⅲ. 양이 운동의 성장과 쓰시마번 처리 문제의 변화
Ⅳ. 요시노부[慶喜] 정권하 쓰시마번 처리 문제
Ⅴ. 메이지[明治] 정부의 성립과 쓰시마번 처리 문제
Ⅵ. 맺음말


제2부 메이지 정권과 왜관

제1장 쓰시마번 소멸 과정과 한일관계사
Ⅰ. 머리말
Ⅱ. 막말-메이지초의 쓰시마번
Ⅲ. 메이지(明治)초기의 쓰시마번
Ⅳ. 맺음말
제2장 1872년 일본 화륜선의 왜관 입항
Ⅰ. 머리말
Ⅱ. 동래-부산 지역의 해안 방어와 군사 편제
Ⅲ. 일본 선박의 왜관 입항과 문정
Ⅳ. 화륜선의 입항(入港)에 대한 잘못된 이해
Ⅴ. 맺음말
제3장 기유약조 체제 붕괴 과정에 대하여
Ⅰ. 머리말
Ⅱ. 왕정복고를 알리는 대마주 관리들의 교섭과 동래부
Ⅲ. 일본 외무성의 개입과 동래부
Ⅳ. 하나부사의 도한과 기유약조의 붕괴
Ⅴ. 맺음말
제4장 메이지 초기 송환 표류민 사례 연구
Ⅰ. 머리말
Ⅱ. 메이지 초기의 송환 표류민 사례
Ⅲ. 사례로 보는 표류민 송환의 변화
Ⅳ. 송환 표류민 문정을 통해 확인되는 사항
Ⅴ. 맺음말
제5장 田保橋潔의 󰡔근대일선관계의 연구󰡕 무엇이 잘못되었을까
Ⅰ. 머리말
Ⅱ. 제6절 「일본의 조정, 八戶順叔의 征韓說」에 대하여(131-156쪽)
Ⅲ. 제8절 「대수대차사의 파견」(174-190쪽)
Ⅳ. 제9절 「대수대차사의 거부」(191-205쪽)
Ⅴ. 제12절 「초량 왜관의 접수」
Ⅵ. 제13절 외무성 시찰원의 파견, 통사 우라세의 시안
Ⅶ. 제14절 「외무성 파견원의 직접 교섭」(257-272쪽)
Ⅷ. 제15절 「일한교섭의 정돈」
Ⅸ. 제16절 「차사 相良의 동래부 난입」
Ⅹ. 맺음말


제3부 개국을 향한 길

제1장 기유약조 붕괴 이후의 倭館
Ⅰ. 머리말
Ⅱ. 대마도인 퇴거 과정
Ⅲ. 동래부의 왜관 관리와 군사훈련
Ⅳ. 표류민 송환의 변화
Ⅴ. 무역의 변화
Ⅵ. 맺음말
제2장 개항기 한일관계사의 재조명
Ⅰ. 머리말
Ⅱ. 만들어진 한일관계사의 비판적 검토
Ⅲ. 맺음말
제3장 조일수호조규의 재검토
Ⅰ. 머리말
Ⅱ. 조일수호조규 체결의 배경
Ⅲ. 체결 과정
Ⅳ. 내용
Ⅴ. 맺음말
제4장 제1차 수신사행의 외교사적 위치
Ⅰ. 머리말
Ⅱ. 수신사 파견 과정과 성격
Ⅲ. 수신사의 활동
Ⅳ. 맺음말
제5장 새로운 관계의 시작 - 조일수호조규부록과 무역규칙 -
Ⅰ. 머리말
Ⅱ. 배경
Ⅲ. 체결과정
Ⅳ. 내용
Ⅴ. 맺음말

참고문헌
찾아보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