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세계사 일반
· ISBN : 9788950942458
· 쪽수 : 640쪽
· 출판일 : 2022-12-14
책 소개
목차
추천의 글 홍성수·한상희·차병직·조한욱·조영헌·정지우·이철우·이재협·김재원 4
서론 법의 약속 14
1부 질서의 비전 31
1 메소포타미아와 성경의 땅 33
2 인도 학자들: 우주의 질서를 작동시키다 66
3 중국 황제들: 법률, 처벌, 관료제 96
4 변호사들과 법학자들: 고대 로마의 지적 추구 125
5 유대교와 이슬람 학자들: 세속에서 신의 길을 구하다 155
6 유럽의 왕들: 로마 멸망 이후의 궁정과 관습들 183
2부 문명의 약속 213
7 주변부에서: 기독교와 이슬람교 주변부에서의 입법 215
8 종교법의 수용: 힌두교, 유대교, 이슬람교 세계 249
9 중세 중국의 법과 신의 정의 282
10 중세 유럽의 법원과 관습 310
11 심판의 문제: 서약, 시죄, 증거 339
3부 세계의 질서 369
12 왕에서 제국으로: 유럽과 미국의 발흥 371
13 식민주의: 법의 전파 398
14 국가의 그늘에서: 현대 세계의 이슬람법 429
15 국가를 외면하다: 부족, 마을, 네트워크, 폭력 조직 459
16 국가를 넘어: 국제법 489
결론 법의 지배 518
감사의 글 530
옮긴이의 글 533
주석 536
참고 문헌 579
색인 605
책속에서
법의 지배는 보편적이거나 불가피한 것이 아니다. 일부 통치자는 중국 황제들이 2000년 동안 그랬던 것처럼 법의 제약에 굴복하지 않았다. 법의 지배에는 역사가 있다. 법이 무엇인지, 법이 무엇을 하는지, 법의 지배가 어떻게 세상을 더 좋거나 나쁘게 할 수 있는지 이해하려면 먼저 그 역사를 이해해야 한다.(서론 법의 약속)
1부 질서의 비전
왕은 자신의 법에 대한 긴 맺음말에서, 법적 정의를 존중하지 않는 미래 통치자에게 가해질 끔찍한 저주와 불행에 대해 묘사했다. 그런 사람을 처벌하기 위해, 즉 ‘그의 왕권을 무너뜨리고’, ‘그의 운명을 저주하고’, ‘기근과 궁핍으로 그의 땅을 파괴하고’, ‘그의 무기를 부수고’, ‘그의 전사들을 쳐부수기’ 위해 신들을 불렀다. 함무라비는 자신이 신들의 은총을 누리는 중요한 통치자일 뿐만 아니라 자신의 법이 미래에 정의를 보장할 것이라고 세상에 말했다. 이것이 법의 지배였다.(1장 메소포타미아와 성경의 땅)
인도 대평원에서 만들어진 법은 종교 전문가인 브라만이 썼으며, 그들의 임무는 고대 산스크리트어 문헌인 베다에 계시된 우주적 질서를 유지하는 것이었다. 그들은 권리보다 의무를 더 많이 명시했는데, 이는 사람들이 세상의 이상적 질서인 다르마를 지키기 위해 수행해야 하는 것이었다. 힌두교 전통에서는 법과 종교 사이에 명확한 구분이 없었다.(2장 인도 학자들: 우주의 질서를 작동시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