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법, 문명의 지도

법, 문명의 지도

(세계의 질서를 만든 4000년 법의 역사)

퍼난다 피리 (지은이), 이영호 (옮긴이)
arte(아르테)
4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6,000원 -10% 0원
2,000원
34,000원 >
36,000원 -10% 0원
카드할인 10%
3,600원
32,4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8개 29,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32,000원 -10% 1600원 27,200원 >

책 이미지

법, 문명의 지도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법, 문명의 지도 (세계의 질서를 만든 4000년 법의 역사)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세계사 일반
· ISBN : 9788950942458
· 쪽수 : 640쪽
· 출판일 : 2022-12-14

책 소개

‘법의 본질’은 무엇인가? ‘법 없는 사회’는 성립 불가능한가? 법이 ‘정의’를 구현해주는가? 『법, 문명의 지도』는 부제가 설명하듯 “세계의 질서를 만든 4000년 법의 역사”를 담은 책으로, 전 세계의 법체계를 탐구하며 서두에 제기한 문제의식을 통찰한 명저이다.

목차

추천의 글 홍성수·한상희·차병직·조한욱·조영헌·정지우·이철우·이재협·김재원 4
서론 법의 약속 14

1부 질서의 비전 31
1 메소포타미아와 성경의 땅 33
2 인도 학자들: 우주의 질서를 작동시키다 66
3 중국 황제들: 법률, 처벌, 관료제 96
4 변호사들과 법학자들: 고대 로마의 지적 추구 125
5 유대교와 이슬람 학자들: 세속에서 신의 길을 구하다 155
6 유럽의 왕들: 로마 멸망 이후의 궁정과 관습들 183

2부 문명의 약속 213
7 주변부에서: 기독교와 이슬람교 주변부에서의 입법 215
8 종교법의 수용: 힌두교, 유대교, 이슬람교 세계 249
9 중세 중국의 법과 신의 정의 282
10 중세 유럽의 법원과 관습 310
11 심판의 문제: 서약, 시죄, 증거 339

3부 세계의 질서 369
12 왕에서 제국으로: 유럽과 미국의 발흥 371
13 식민주의: 법의 전파 398
14 국가의 그늘에서: 현대 세계의 이슬람법 429
15 국가를 외면하다: 부족, 마을, 네트워크, 폭력 조직 459
16 국가를 넘어: 국제법 489

결론 법의 지배 518
감사의 글 530
옮긴이의 글 533
주석 536
참고 문헌 579
색인 605

저자소개

퍼난다 피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옥스퍼드대학교 법인류학 교수이자 법사회학연구센터 소장. 교수 재직 이전에는 상법 전문 변호사로 활동하다가, 인류 문명의 역사 속에서 법이 가지는 함의를 연구하고자 인류학을 공부했다. 티베트고원에서 10년 이상 현장연구를 수행하며, 민족지학적 연구에 근거해 ‘법치주의의 본질’을 탐구하고 있다. 그는 갈등해소, 사회질서, 부족 및 국가 간 관계에 초점을 두고 연구하며, ‘갈등과 폭력’의 문제, ‘질서와 무질서’에 대한 탐구 등의 주제어를 담은 저술 활동을 펼치고 있다. 『법, 문명의 지도』는 2009년부터 2018년까지 수행된 대단위 연구인 ‘옥스퍼드 리걸리즘(Oxford Legalism)’ 프로젝트의 학문적 성과를 응축한 결과물로, 전 세계의 법전·관습·사상에 대한 연구를 담았다. ‘옥스퍼드 리걸리즘’은 이 책의 지적 기원이 되는 프로젝트로, 법학·역사학·인류학·고고학·동양학 등 다양한 전공의 연구자들이 ‘법의 역사’에 대해 심도 있게 분석해 『리걸리즘(전 4권)』(OUP, 2012~2017)으로 펴냈으며, 이 책에서 전개하는 논의의 기반이 되었다.
펼치기
이영호 (옮긴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언어학과와 서울대학교 로스쿨을 졸업했으며, 제10회 변호사시험에 합격했다. 현재 서울대학교 법학과에서 법인류학 전공으로 박사과정에 재학 중이며, 육군 법무관으로 근무하고 있다. 법과 언어의 문제에 관심이 많다.
펼치기

책속에서

법의 지배는 보편적이거나 불가피한 것이 아니다. 일부 통치자는 중국 황제들이 2000년 동안 그랬던 것처럼 법의 제약에 굴복하지 않았다. 법의 지배에는 역사가 있다. 법이 무엇인지, 법이 무엇을 하는지, 법의 지배가 어떻게 세상을 더 좋거나 나쁘게 할 수 있는지 이해하려면 먼저 그 역사를 이해해야 한다.(서론 법의 약속)


1부 질서의 비전
왕은 자신의 법에 대한 긴 맺음말에서, 법적 정의를 존중하지 않는 미래 통치자에게 가해질 끔찍한 저주와 불행에 대해 묘사했다. 그런 사람을 처벌하기 위해, 즉 ‘그의 왕권을 무너뜨리고’, ‘그의 운명을 저주하고’, ‘기근과 궁핍으로 그의 땅을 파괴하고’, ‘그의 무기를 부수고’, ‘그의 전사들을 쳐부수기’ 위해 신들을 불렀다. 함무라비는 자신이 신들의 은총을 누리는 중요한 통치자일 뿐만 아니라 자신의 법이 미래에 정의를 보장할 것이라고 세상에 말했다. 이것이 법의 지배였다.(1장 메소포타미아와 성경의 땅)


인도 대평원에서 만들어진 법은 종교 전문가인 브라만이 썼으며, 그들의 임무는 고대 산스크리트어 문헌인 베다에 계시된 우주적 질서를 유지하는 것이었다. 그들은 권리보다 의무를 더 많이 명시했는데, 이는 사람들이 세상의 이상적 질서인 다르마를 지키기 위해 수행해야 하는 것이었다. 힌두교 전통에서는 법과 종교 사이에 명확한 구분이 없었다.(2장 인도 학자들: 우주의 질서를 작동시키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889509578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