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논어

논어

김학주 (옮긴이)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3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0,000원 -0% 0원
1,500원
28,5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30,000원 -10% 1500원 25,500원 >

책 이미지

논어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논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철학
· ISBN : 9788952118547
· 쪽수 : 648쪽
· 출판일 : 2017-10-15

책 소개

<논어> 개정4판. 기존의 편집은 원문과 번역을 페이지를 달리하여 나란히 보도록 하고 해설을 각 편의 뒤에 한꺼번에 수록하여 번역 위주로 독자들이 보도록 하여 장별로 해설을 보는 데 불편하다는 의견이 있어 번역, 원문, 주석, 해설 순으로 배치하여 장별로 한눈에 알아보기 쉽게 하였다.

목차

머리말 •xvii
全訂版 머리말 •xix
第2全訂版 머리말 •xxi
『논어』를 다시 개정하면서 •xxii
『논어』를 또다시 개정하면서 •xxiv
일러두기 •xxvi

논어해제(論語解題)
제1편 『논어』는 어떤 책인가?
1. 『논어』의 내용
2. 『논어』의 편찬
3. 『논어』라는 말 뜻
4. 『논어』란 책은 언제 어떻게 세상에 나왔는가?
5. 역대 『논어』 주석
6. 우리나라 및 일본과 서양에 있어서의 『논어』
7. 『논어』에 대한 중국학자들의 평가와 인식

제2편 『논어』의 시대배경
1. 주(周)나라주(周) 노나라 은나라나라의 건국과 발전
2. 춘추시대
3. 노(魯)나라

제3편 공자의 생애
1. 탄생
2. 청소년기
3. 장년기
4. 관리생활의 절정기
5. 여러 나라를 찾아다니다
6. 만년
7. 공자의 제자들

제4편 『논어』의 문장과 사상
1. 『논어』의 문장
2. 『논어』의 사상

논어역주(論語譯注)
제1편 학이(學而)
제2편 위정(爲政)
제3편 팔일(八佾)
제4편 이인(里仁)
제5편 공야장(公冶長)
제6편 옹야(雍也)
제7편 술이(述而)
제8편 태백(泰伯)
제9편 자한(子罕)
제10편 향당(鄕黨)
제11편 선진(先進)
제12편 안연(顔淵)
제13편 자로(子路)
제14편 헌문(憲問)
제15편 위령공(衛靈公)
제16편 계씨(季氏)
제17편 양화(陽貨)
제18편 미자(微子)
제19편 자장(子張)
제20편 요왈(堯曰)

참고도서
영문초록
찾아보기

저자소개

김학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大學校 文理科大學 卒業 中華民國 國立 臺灣大學 國文硏究所 卒業(碩士) 美國 프린스턴 大學에서 硏究 서울大學校 大學院 文學博士 서울大學校 中語中文學科 敎授(1965. 12.~1999. 2.) 現 서울大學校 名譽敎授, 대한민국 학술원 회원 주요 저서 《中國文學史》, 《中國文學序說》, 《漢代詩硏究》, 《中國文學槪論》 《孔子의 生涯와 思想》, 《老子와 道家思想》, 《中國古代文學史》 《中國 古代의 歌舞戱》, 《樂府詩選》, 《漢代의 文學과 賦》 《漢代의 文人과 詩》, 《묵자, 그 생애·사상과 묵가》 《중국의 희곡과 민간연예》, 《중국의 탈놀이와 탈》 《중국의 전통연극과 희곡문물·민간연예를 찾아서》 《경극이란 어떤 연극인가?》, 《위대한 중국의 대중예술 경극》 《나와 서울대 중국어문학과 반세기》, 《둘이서 함께 그려온 그림》 《서재에 흘린 글(제1·2·3·4집)》, 《중국문학사를 위하여》 《나와 6·25사변, 그리고 반년간의 군번 없는 종군》 外 多數 역 서 《詩經》, 《大學》, 《中庸》, 《老子》, 《莊子》, 《荀子》, 《列子》, 《墨子》 《孟子》, 《古文眞寶(前集)》, 《古文眞寶(後集)》, 《元雜劇選》, 《陶淵明》 《東西洋의 사상과 종교를 찾아서》, 《徐花潭文集》, 《宋詩選》 《중국 고대시에 관한 담론》, 《효경》, 《충경》, 《노자와 도가사상》 《새로 옮긴 시경》, 《새로 옮긴 서경》, 《당시선》, 《송시선》 《명대시선》, 《청대시선》, 《도연명》, 《순자》 (上·下) 外 多數 학회 활동 • 1975~1979 韓國 中語中文學會 會長 • 1979~1983 韓國 中國學會 會長 • 1983~1987 서울대 東亞文化硏究所 所長 • 1992~ 韓國 中國戱曲硏究會 會長
펼치기

책속에서

주희의 『논어집주』 10권은 본시 형병(邢昺)의 『논어주소』의 경문을 바탕으로, 옛 사람들의 해설을 모두 참고하여 그 나름대로의 의리를 관통시킨 것이다. 그에게는 『집주』 이외에도 『논어혹문(論語或問)』 20권 · 『논어정의(論語正義)』 27권 · 『논어어류(論語語類)』 20권 등의 저술도 있다. 어떻든 그의 『대학장구(大學章句)』 · 『중용장구(中庸章句)』 · 『맹자집주(孟子集註)』가 나오고, 이것들과 『논어집주』를 합친 『사서집주』가 유행하면서 세상의 유학풍토는 완전히 새로워졌다. 곧 이로부터 『논어』의 해설은 이 『집주』가 세상을 지배하게 되었고, <오경>을 중심으로 하던 유학은 <사서(四書)>를 보다 더 중시하게 된 것이다.


중국의 개방정책 이후 21세기로 들어서면서 중국의 경제가 크게 발전하자 중국학자들이 전통문화와 사상을 보는 눈도 크게 달라지고 있다. 중국의 유명대학들은 기업의 경영자(CEO)를 대상으로 경쟁적으로 ‘국학연수반’을 개설하여 사회의 이목을 끌고 있다 한다. 북경대학 철학과는 ‘건원(乾元) 국학교실’을 개설하였고, 청화대학(淸華大學)은 ‘중국문화의 정수와 기업전략 고급연수반’을 개설하고, 상하이의 복단대학(復旦大學)은 철학과를 중심으로 하여 ‘푸단 인문지혜교실’을 개설하였는데, 그 일부인 ‘국학과 문화 고층 정수과정’에서는 『논어』·『대학』·『맹자』 등의 원전 강독을 진행한다고 한다.


『논어』에 기록된 공자의 말은 사상적인 면에서 체계도 없고 논리도 빈약한 것이 사실이지만, 반면 아무런 꾸밈도 없는 말들을 거의 그대로 옮겨 놓은 것이기 때문에, 어떤 글보다도 공자의 성격이나 생각이 잘 드러나 있다. 여기에서 『논어』의 사상을 해설한 것은 실은 『논어』가 어떤 전적보다도 유가의 창설자인 ‘공자의 사상’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되기 때문이다. 후세에 올수록 어떤 경전보다도 『논어』가 중시되고 또 많이 읽혀진 것도 그 때문이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88952121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