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수험서/자격증 > 공무원 수험서 > 7/9급 공무원 > 한국사 > 7/9급 교재
· ISBN : 9788956434612
· 쪽수 : 1114쪽
· 출판일 : 2013-10-21
책 소개
목차
(이론편)
제1편 한국사의 바른 이해
제1장 역사 학습의 목적
역사의 의미 역사 학습의 목적
제2장 한국사와 세계사
한국사의 보편성과 특수성 민족 문화의 이해
제2편 선사 시대의 문화와 국가의 형성
제1장 선사 시대의 전개
선사 시대의 전개 우리나라의 선사 시대
제2장 국가의 형성
청동기·초기 철기 시대 고조선의 성장
여러 나라의 성장
제3편 고대 사회의 발전
제1장 고대 사회의 형성과 삼국의 발전
고대의 세계 고대 국가의 성립과 발전
대외 항쟁과 삼국 통일
제2장 삼국의 정치, 경제, 사회
삼국의 통치 체제 삼국의 경제 생활
삼국의 사회
제3장 삼국의 문화와 예술
학문과 사상·종교 과학 기술의 발달
삼국의 예술
제4장 남·북국의 발전
통일신라의 정치 통일신라의 경제
통일 후 신라 사회의 변화 통일신라의 문화와 예술
신라 말기의 정치 상황(780∼935) 발해의 발전
제4편 중세 사회의 발전
제1장 중세 사회로의 전환
중세의 세계 후삼국의 성립과 민족의 재통일(10세기)
중세 사회의 성격
제2장 중세의 정치
국가 기반의 확립 통치 체제의 정비
문벌 귀족 사회의 성립과 동요 대외 관계의 전개
고려 후기의 정치 변동
제3장 중세의 경제
경제 정책 경제 활동
제4장 중세의 사회
고려 전기 사회 백성들의 생활 모습
고려 후기의 사회 변화
제5장 중세 문화의 발달
유학의 발달과 역사서의 편찬 불교 사상과 신앙
과학 기술의 발달 문학의 발달
예술의 발달
제5편 근세 사회의 발달
제1장 근세의 정치
근세의 세계 고려의 멸망과 조선의 건국
근세 사회의 성립 통치 체제의 정비
사림의 대두와 붕당 정치 조선 전기의 대외 관계
양 난의 극복
제2장 근세의 경제
경제 정책 양반과 평민의 경제 활동
제3장 근세의 사회
양반 관료 중심의 사회(신분 제도) 사회 정책과 사회 시설
향촌 사회의 조직과 운영
제4장 근세의 문화
민족 문화의 융성 성리학의 발달
불교와 민간 신앙 과학 기술의 발달
조선 전기 문학 건축과 예술
제6편 근대 사회의 태동
제1장 근대 태동기의 정치
근대의 세계 근대 사회로의 움직임
통치 체제의 변화 붕당 정치의 전개와 탕평 정치
정치 질서의 변화 대외 관계의 변화
제2장 근대 태동기의 경제
수취 체제의 개편 서민 경제의 발전(조선 후기 산업-1)
상품 화폐 경제의 발달(조선 후기 산업-2)
제3장 근대 태동기의 사회
사회 구조의 변동 향촌 질서의 변화
사회 변혁의 움직임
제4장 근대 태동기의 문화
양 난 이후 문화의 새 기운 성리학의 변화
실학의 발달 과학 기술의 발달
문화의 새 경향
제7편 근대 사회의 전개
제1장 근대 사회로의 진전
근대의 세계 흥선 대원군의 정치(1863∼1873)
강화도 조약과 개항
제2장 개화 운동과 근대적 개혁의 추진
개화 세력의 대두 개화 정책의 추진과 반발
개화당의 근대화 운동 동학 농민 운동의 전개(구국 민족 운동-1)
근대적 개혁의 추진 독립협회의 활동(1896∼1898) (구국 민족 운동-2)
대한제국의 수립(1897∼1910) 간도와 독도 문제
항일 의병 전쟁과 애국 계몽 운동(구국 민족 운동-3)
제3장 개항 이후의 경제
외세의 경제 침략 경제적 구국 운동의 전개
제4장 개항 이후의 사회
사회 제도와 의식의 변화 생활 모습의 변화
동포들의 국외 이주
제5장 근대 문화의 발달
근대 문물의 수용과 발전 언론 기관의 발달
근대 교육과 국학 연구 문예와 종교의 새 경향
제8편 민족의 독립운동
제1장 러·일 전쟁과 국권 피탈
러·일 전쟁 일제의 국권 침탈
제2장 민족의 수난
무단 통치와 토지 조사 사업 문화 정치와 식량 증산 계획
병참기지화 정책과 민족 말살 정책
제3장 독립운동의 전개 (1)
3·1 운동 이전의 민족 운동 3·1 운동
대한민국 임시정부
제4장 독립운동의 전개(2)-3·1 운동 이후
1920년대 국내의 민족 운동 1920년대 국외의 무장 독립 전쟁
의열 투쟁의 전개(애국지사들의 의거) 1930년대의 민족 운동
1940년대의 독립 전쟁
제5장 사회 경제적 민족 운동
사회적 민족 운동의 전개 실력 양성 운동의 추진
일제 강점기의 생활 모습 국외 이주 동포의 활동과 시련
제6장 민족 문화 수호 운동
일제의 식민지 문화 정책 국학 운동의 전개
교육 운동과 종교 활동 문학과 예술 활동
제9편 현대 사회의 발전
제1장 대한민국의 수립과 발전
건국 준비 활동의 전개 광복 직후의 국내외 정세
대한민국의 수립 6·25 전쟁
제2장 민주주의의 시련과 발전
4·19 혁명과 5·16 군사 정변 민주주의의 시련과 회복
제3장 통일 정책과 평화 통일의 과제
북한 체제와 북한의 변화 통일을 위한 노력
제4장 현대의 경제 성장과 자본주의의 발달
8·15 광복과 새로운 경제 질서 형성 경제 성장과 자본주의의 발전
제5장 현대의 ?회, 문화
현대 사회의 발전 현대 문화의 성장과 발전
부록
1. 역대 왕조 계보2. 역대 연호
3. 고려 시대의 봉작 및 관직표4. 조선 시대의 봉작 및 주요 관직표
5. 영역의 변화6. 한국의 유네스코 지정 세계 유산
7. 연표8. 개정 고고학 용어
9. 현재 지명의 옛 명칭
(문제편)
차례
■기출 문제
제1편 한국사의 바른 이해제2편 선사 시대의 문화와 국가의 형성
제3편 고대 사회의 발전제4편 중세 사회의 발전
제5편 근세 사회의 발달제6편 근세 사회의 태동
제7편 근대 사회의 전개제8편 민족의 독립운동
제9편 현대 사회의 발전
■연습 문제
제1편 제1장 역사의 의미
제2편 제1장 선사 시대의 전개 제2장 고조선과 연맹 왕국
제3편 제1장 삼국의 발전 제2장 삼국의 정치, 경제, 사회
제3장 삼국의 문화와 예술 제4장 남·북국의 발전
제4편 제1장 중세의 정치 제2장 중세의 경제
제3장 중세의 사회 제4장 중세의 문화와 예술
제5편 제1장 근세의 정치 제2장 근세의 경제
제3장 근세의 사회 제4장 근세의 문화
제6편 제1장 근대 태동기의 정치 제2장 근대 태동기의 경제
제3장 근대 태동기의 사회 제4장 근대 태동기의 문화
제7편 제1장 근대 사회로의 진전 제2장 개화 운동과 근대적 개혁의 추진
제3장 개항 이후의 경제, 사회, 문화
제8편 제1장 민족의 수난 제2장 독립운동의 전개
제3장 사회, 경제, 문화적 민족 운동
제9편 제1장 대한민국의 수립 제2장 민주주의의 시련과 발전
■정답 및 해설
기출 문제
연습 문제
■부록
1. 2007년 국가직
2. 2007년 국세청 세무직
3. 2008년 국가직
4. 2011년 국가직 9급 공채
5. 2011 사회복지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