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의 이해
· ISBN : 9788957465486
· 쪽수 : 574쪽
· 출판일 : 2019-09-26
책 소개
목차
머리말·5
역자서문·9
약호표·13
제1장 경량부의 역사 21
서론·23
제1절 『구사론』, 『순정리론』에 관한 문제들·24
1. 『순정리론』 번역의 과정·25
2. 『순정리론』 성립에 관한 전승傳承·26
3. 중현·39
4. 『순정리론』의 범명梵名·40
5. 『구사론』의 kila(傳說)라는 말에 대하여·43
6. 『구사론』의 게송에 대한 고찰·74
제2절 꾸마랄라따·83
1. 전승傳承·83
2. 단편斷片·96
3. 역사적 인물로서의 꾸마랄라따·105
제3절 슈릴라타·115
1. 전승傳承·115
2. 단편斷片·117
3. ‘상좌’의 원어原語·118
4. 역사적 인물로서의 슈릴라타·121
제4절 논사들의 연대·127
제5절 비유자譬喩者와 경량부·144
1. ‘비유자’라는 명칭의 유래·144
2. 『대비바사론』에서의 ‘비유자’의 의미·146
3. ‘비유자’의 뉘앙스·150
4. 『구사론』에서의 비유자와 경량부·154
5. 경량부의 형태–내용이 확정되지 않는 경량부–·173
제6절 경량부의 역사·184
1. 분파사료分派史料에 의한 연대론年代論·184
2. 종래의 학설들·189
3. 『이부종륜론』이 전하는 경량부·197
4. Sūtravāda와 Sautrāntika·199
5. 웃따라(Uttara)와 아난다(Ānanda)·202
6. 설전부說轉部와 대비바사론』의 비유자·210
7. 『대비바사론』에 인용된 경량부·217
8. 경량부의 역사·227
결론·234
제2장 경량부의 사상–슈릴라타의 사상을 중심으로 239
서론·241
제1절 촉처觸處의 법·243
1. 『구사론』의 기술記述·243
2. 8사구생八事俱生의 의미·251
3. 4대종의 용증用增과 체증體增·260
4. 4대종의 공존共存·263
5. 슈릴라타의 주장·267
6. 『순정리론』의 상좌설·272
7. 결론·279
제2절 극미의 화집和集과 화합和合·281
1. 온蘊․처處․계界의 가실假實·281
2. 극미의 화집과 화합·287
3. 다른 논서의 언급·290
4. 결론·296
제3절 낙수樂受·297
1. 『구사론』의 다른 논사(異師)들·297
2. 아비달마 논사의 반론·302
3. 주석서들의 기술·306
4. 다른 논서와의 관계·311
5. 결론·320
제4절 심心의 구조·321
1. 심․심소상응설心․心所相應說과 차제생기설次第生起說·321
2. 상좌의 3심소설三心所說·333
3. 상좌의 차제생기설·342
4. 상좌의 인식론과 세친의 입장·360
5. 결론·368
제5절 유루有漏․무루無漏의 규정·370
1. 유부에 의한 유루․무루의 규정·371
2. 불신佛身에 관한 논쟁들·379
3. 아라한의 신체에 관한 비유자․경량부․상좌의 주장·384
4. 『구사론』에 있어서의 ‘전의轉依’ 등의 기술·395
5. 세친의 ‘종자種子’설과 ‘상속의 특수한 변화’설·401
6. 상좌의 ‘수계隨界’설·412
7. 색심호훈설·430
8. 유부의 발전설·434
9. 결론·437
제6절 경境과 유경有境·440
1. 12처에 관련한 논쟁·441
2. 내외문內外門에 관련된 논쟁·444
3. 소연연所緣緣에 관한 논쟁·447
4. 상좌의 진의·456
5. 결론·460
제7절 ‘삼세실유三世實有’에 대한 반론·461
1. 유부의 논증·461
2. 세친의 반론·464
3. 상좌의 주장·467
4. 다른 논서와의 관계·476
5. 결론·479
제8절 무위법無爲法의 부정·481
1. 허공무위虛空無爲·482
2. 택멸무위擇滅無爲·484
3. 비택멸무위非擇滅無爲·488
4. 결론·490
제9절 심불상응행心不相應行의 부정·491
1. 『대비바사론』의 비유자·491
2. 『성실론』·494
3. 『구사론』의 경량부·496
4. 상좌·498
5. 결론·501
제10절 구생인俱生因의 부정·502
1. 구유인俱有因과 구생인俱生因·502
2. 상좌의 주장·505
3. 다른 논서와의 관계·508
4. 결론·510
제11절 12연기·511
1. 12연기의 해석·511
2. 상좌의 진의·517
3. ‘연기(pratītyasamutpāda)’의 어의語義에 대한 해석·518
4. 비리작의非理作意·529
5. 결론·530
제12절 색계계色界繫·531
1. 『구사론』의 기술·532
2. 전반부前半部의 검토·536
3. 다른 논사(異師)의 주장·537
4. 후반부의 검토·542
5. 결론·549
결론·551
찾아보기·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