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수험서/자격증 > 산업인력관리공단 > 공인노무사 > 2차 과목
· ISBN : 9788958225362
· 쪽수 : 424쪽
· 출판일 : 2016-09-20
책 소개
목차
Chapter 01 인적자원관리의 기초
제1절 인적자원관리의 개념과 역사 23
Ⅰ. 인적자원관리의 학문적 체계 23
Ⅱ. 인적자원관리의 역사 26
Ⅲ. 인적자원관리의 변화 31
제2절 인적자원관리의 환경 34
Ⅰ. 외부환경 34
Ⅱ. 내부환경 37
Chapter 02 직무관리
제1절 직무분석 (Job Analysis) 42
Ⅰ. 직무분석의 의의 42
Ⅱ. 직무분석의 절차 43
Ⅲ. 직무정보 수집방법과 분석기법 44
Ⅴ. 기존 문제점과 개선방안 48
제2절 직무평가 (Job Evaluation) 49
Ⅰ. 직무평가의 의의 49
Ⅱ. 직무평가의 요소 및 절차 50
Ⅲ. 직무평가의 방법 50
Ⅳ. 기존 문제점과 개선방안 53
제3절 직무설계 (Job Design) 54
Ⅰ. 직무설계의 의의와 변천 54
Ⅱ. 전통적 직무설계 : 직무전문화(Job Specialization) 56
Ⅲ. 현대적 직무설계 : 개인수준의 직무설계 57
Ⅳ. 현대적 직무설계 : 집단수준의 직무설계 61
Ⅴ. 직무과정설계(BPR)와 근무시간 설계 63
Ⅵ. 직무설계의 전개방향 65
Chapter 03 확보관리
제1절 인력계획 70
Ⅰ. 인력계획의 의의 70
Ⅱ. 인력수요의 예측 72
Ⅲ. 인력공급의 예측 74
Ⅳ. 인력수급 조정 76
Ⅴ. 인력계획시 유의사항 77
제2절 모집관리 77
Ⅰ. 모집의 의의 77
Ⅱ. 모집의 원천 79
Ⅲ. 모집의 방법 80
Ⅳ. 모집의 평가 84
Ⅴ. 모집활동의 운영방안 86
제3절 선발관리 87
Ⅰ. 선발의 의의 87
Ⅱ. 선발 도구의 유형 89
Ⅲ. 선발도구에 대한 평가 92
Ⅳ. 기존 채용관리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95
Chapter 04 개발관리
제1절 경력개발 100
Ⅰ. 경력개발의 의의 100
Ⅱ. 경력개발 시스템 101
Ⅲ. 경력개발 관련 이슈 108
Ⅳ. 기존 경력개발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113
제2절 교육훈련 114
Ⅰ. 교육훈련의 의의 114
Ⅱ. 교육훈련의 필요성 분석 116
Ⅲ. 교육훈련 프로그램 117
Ⅳ. 교육훈련의 평가 127
Ⅴ. 기존 교육훈련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131
제3절 전환배치 133
Ⅰ. 전환배치의 의의 133
Ⅱ. 전환배치의 원칙 134
Ⅲ. 전환배치의 유형 134
Ⅳ. 효율적 전환배치 방안 135
제4절 승진관리 136
Ⅰ. 승진의 의의 136
Ⅱ. 승진원칙 및 승진정책 137
Ⅲ. 승진 유형 138
Ⅳ. 능력중심의 승진관리 140
Ⅴ. 기존 승진관리의 문제점과 전개방향 141
Chapter 05 인사고과
제1절 인사고과의 기초 146
Ⅰ. 인사고과의 의의 146
Ⅱ. 인사고과의 관리기준(구성요건) 148
Ⅲ. 인사고과의 설계 152
Ⅳ. 현대적 인사평가 방법의 구체적 검토 160
Ⅴ. 인사고과의 문제점과 전개방향 180
제2절 인사감사 181
Ⅰ. 인사감사의 의의 181
Ⅱ. 인사감사의 종류 181
Ⅲ. 감사의 방식 183
Ⅳ. 시행순서 184
Ⅴ. 기존 문제점과 개선방향 184
제3절 인적자원회계(Human Resource
Accounting System) 185
Ⅰ. 인적자원가치측정의 필요성 185
Ⅱ. 인적자원회계제도의 측정방법 186
Ⅲ. 인적자원회계제도의 도입현황과 효과 187
Ⅳ. 인적자원회계제도의 한계 188
Ⅴ. 성공적인 인적자원회계를 위한 방안 189
Chapter 06 임금관리
제1절 임금관리 193
Ⅰ. 임금관리의 의의 193
Ⅱ. 임금의 공정성 194
제2절 임금수준 관리 201
Ⅰ. 임금수준 관리의 의의 201
Ⅱ. 임금수준의 결정요인 201
Ⅲ. 임금수준의 조정 203
Ⅳ. 임금수준 결정의 전략적 대안 204
제3절 임금체계 관리 206
Ⅰ. 임금체계 관리의 의의 206
Ⅱ. 연공급 207
Ⅲ. 직능급 208
Ⅳ. 직무급 210
제4절 임금형태 관리 214
Ⅰ. 임금형태관리의 의의 214
Ⅱ. 임금형태의 유형 215
Ⅲ. 시간급제 215
Ⅲ. 성과급제 216
제5절 새로운 임금제도 및 관련 이슈 222
Ⅰ. 역량급(competency-based pay) 222
Ⅱ. 연봉제 225
Ⅲ. 스톡옵션(주식매입선택권) 227
Ⅳ. 임금피크제 228
Ⅴ. 퇴직연금제 233
제6절 우리나라의 임금관리 개선방향 237
Ⅰ. 기존 임금관리의 문제점 237
Ⅱ. 임금관리의 전개방향 238
Chapter 07 복리후생제도
Ⅰ. 복리후생의 의의 242
Ⅱ. 복리후생 프로그램의 유형 244
Ⅲ. 복리후생의 설계 244
Ⅳ. 복리후생의 신경향 245
Ⅴ. 복리후생 프로그램의 평가 253
Ⅵ. 기존 복리후생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254
Chapter 08 유지관리
제1절 유지관리 258
Ⅰ. 유지관리의 의의 258
Ⅱ. 유지관리의 환경과 방침 258
Ⅲ. 동기부여와 리더십 259
Ⅳ. 동기유발 활동 262
제2절 근로조건 관리 264
Ⅰ. 근로조건관리의 의의 264
Ⅱ. 안전보건관리 264
Ⅲ. 근로시간관리 268
Ⅳ. 스트레스 관리 272
제3절 인간관계 관리 274
Ⅰ. 인간관계관리의 의의 274
Ⅱ. 인간관계관리의 여러 기법 275
Ⅲ. 나가며 277
제4절 노사관계 277
Chapter 09 노사관계관리
제1절 노사관계 281
Ⅰ. 노사관계관리의 의의 281
Ⅱ. 노동조합 281
Ⅲ. 단체교섭 284
Ⅳ. 노동쟁의 285
제2절 노사관계 개선과 경영참가 285
Ⅰ. 노사관계 개선전략 285
Ⅱ. 경영참가제도의 의의 286
Ⅲ. 경영참가의 유형 287
Ⅳ. 경영참가제도의 순기능과 역기능 294
Ⅴ. 노사관계 개선방향 295
Chapter 10 이직관리
Ⅰ. 이직관리의 의의 299
Ⅱ. 이직의 기능 299
Ⅲ. 자발적 이직관리 300
Ⅳ. 비자발적 이직관리 304
Ⅴ. 전직지원제도(outplacement) 308
Ⅵ. 정년퇴직 311
Chapter 11 Trend & Issue
T&I ① 성과주의 인적자원관리
Ⅰ. 성과주의 인사관리의 확산 315
Ⅱ. 우리나라 성과주의 인사의 특징 316
Ⅲ. 성과주의 인사관리의 장·단점 316
Ⅳ. 성과주의 인적자원관리 방안 317
Ⅴ. 성과주의 인사관리의 기반조성과 정착활동 319
Ⅵ. 성과주의 인사관리의 발전방향 320
Ⅶ. 결 론 320
T&I ② 전략적 인적자원관리
Ⅰ.들어가며 - 21세기 경영환경, 무한경쟁과
국경을 초월한 경쟁 322
Ⅱ. 전략경영의 개념과 기능 322
Ⅲ. 전략적 인적자원관리의 개념 323
Ⅳ. 전략적 인적자원관리 절차 324
Ⅴ. 전략적 인적자원관리의 실천 325
Ⅵ. 전략유형과 인적자원관리 326
Ⅶ. 전략적 인적자원관리의 유의점 327
T&I ③ 인적자원정보시스템과 E-HRM
Ⅰ. 디지털시대의 새로운 인적자원관리(e-HRM) 328
Ⅱ. e-HRM의 개념 329
Ⅲ. e-HRM의 도입 필요성과 효과 330
Ⅳ. e-HRM의 내용 330
Ⅴ. e-HRM의 성공적 도입전략 331
T&I ④ 글로벌 인적자원관리
Ⅰ. 서 론 333
Ⅱ. 글로벌 인적자원관리의 의의와 특성 333
Ⅲ. 글로벌 인적자원관리의 접근방법 334
Ⅳ. 글로벌 인적자원관리의 전략 335
Ⅴ. 글로벌 인적자원의 구체적 관리방안 337
Ⅵ. 글로벌 인적자원관리의 문제점과 과제 338
Ⅶ. 결 론 339
T&I ⑤ 거래비용분석의 핵심 구성요소 및 거래
비용을 구성하는 네 가지 비용과 거래비용
이론 도입이 국제 인적자원관리에 주는
기여에 대하여 설명하라
Ⅰ. 들어가며 - 국제인적자원관리의 의의와 중요성 340
Ⅱ. 거래비용관점에서 본 국제인적자원관리 340
Ⅲ. 국제인적자원관리 341
Ⅳ. 거래비용이론 도입이 국제인적자원관리에
주는 기여 342
T&I ⑥ 지식중심의 인적자원관리
Ⅰ. 지식경영의 등장 343
Ⅱ. 지식의 의의와 유형 344
Ⅲ. 지식경영의 개념과 접근법 345
Ⅳ. 지식경영의 기대효과 347
Ⅴ. 지식중심의 인적자원관리방안 348
Ⅵ. 효과적으로 실행하기 위한 방안 349
Ⅶ. 결 론 349
T&I ⑦ 고성과 작업장
Ⅰ. 국내의 고성과 작업장 혁신현황 351
Ⅱ. 고성과 작업시스템의 의의 및 조건 352
Ⅲ. 고성과 작업시스템의 기대효과 353
Ⅳ. 고성과 작업장 혁신방향 353
Ⅴ. 고성과 조직을 위한 인사노무관리방안 354
Ⅵ. 고성과 작업장 이행방안 355
Ⅶ. 결 론 356
T&I ⑧ 역량중심의 인적자원관리 (Competency
based HRM)
Ⅰ. 역량중심의 인적자원관리의 대두 357
Ⅱ. 역량중심의 인적자원관리의 의의 357
Ⅲ. 선진기업의 역량중심 인적자원관리 359
Ⅳ. 역량중심 인적자원관리의 실제 360
Ⅴ. 역량중심 인사시스템 구축절차 361
Ⅵ. 역량중심의 인적자원관리 실현방안 362
Ⅶ. 결 론 363
T&I ⑨ 윤리적 인적자원관리
Ⅰ. 윤리경영의 대두배경 364
Ⅱ. 윤리경영의 실천시스템 365
Ⅲ. 윤리적 인적자원관리의 의의와 실천기준 366
Ⅳ. 기업내부의 윤리적 인적자원관리 366
Ⅴ. 기업외부의 윤리적 인적자원관리 367
Ⅵ. 윤리적 인적자원관리의 효과 368
Ⅶ. 윤리적 인적자원관리의 최근 이슈 368
Ⅷ. 윤리경영의 실천과제 369
Ⅸ. 결 론 370
T & I ⑩ 21세기와 근로생활의 질
Ⅰ. 서 론 371
Ⅱ. 구성요인 372
Ⅲ. QWL향상 프로그램 373
Ⅳ. QWL향상의 효과 375
T & I ⑪ 스마트워크 성공방안
Ⅰ. 스마트워크 시대의 도래 376
Ⅱ. 스마트워크 성공사례 377
Ⅲ. 스마트워크의 추진방안 377
Ⅳ. 스마트워크의 성공방안 378
T & I ⑫ 인력 다양성과 인적자원관리
Ⅰ. 인력의 다양성이 글로벌경쟁력 379
Ⅱ. 기업인력 다양화의 배경 380
Ⅲ. 인력다양화가 기업에 미치는 영향 381
Ⅳ. 국내기업의 다양성 관련 이슈 382
Ⅴ. 다양성관리를 위한 인적자원관리방안 383
Ⅵ. 효과적으로 실행하기 위한 방안 384
Ⅶ. 결 론 385
T & I ⑬ 고령자 인적자원관리
Ⅰ. 고령화 사회의 진입 386
Ⅱ. 고령화가 종업원과 기업에 미치는 영향 387
Ⅲ. 조직역량 공백을 방지하기 위한 방안 388
Ⅳ. 고령인력의 인적자원관리방안 388
Ⅴ. 결 론 390
T & I ⑭ 여성인력 활용방안
Ⅰ. 여성인력의 활용 필요성과 활용실태 391
Ⅱ. 선진기업들의 접근방식과 여성인력
활용의 장점 392
Ⅲ. 여성인력 활용을 위한 인적자원관리방안 393
Ⅳ. 가족친화적 관리제도 395
Ⅴ. 결 론 396
T & I ⑮ 비정규직 인적자원관리방안
Ⅰ. 들어가며 397
Ⅱ. 비정규직의 개념과 확산배경 397
Ⅲ. 비정규직 인력활용의 순기능과 역기능 399
Ⅳ. 비정규직 관련법의 문제점 400
Ⅴ. 비정규직관련법 인력의 인적자원관리 방안 400
Ⅵ. 비정규직 문제의 해결방안 401
Ⅶ. 결 론 403
T & I ⑯ 핵심인재 관리 방안
Ⅰ. 기업의 성쇠를 좌우하는 핵심인력 404
Ⅱ. 핵심인재의 특성 405
Ⅲ. EVP(종업원 가치 제안)의 제시 406
Ⅳ. 핵심인재 인적자원관리방안 407
Ⅴ. 핵심인재관리의 부작용별 해소방안 410
T & I ⑰ 신입사원의 조직사회화 방안
Ⅰ. 인재전쟁(Talent War)과 인재유출 411
Ⅱ. 신입사원 조기이직의 원인 412
Ⅲ. 조직사회화 개념과 조직사회화 과정 413
Ⅳ. 조직사회화 실시방안 414
Ⅴ. 인재유지를 위한 관리방향 415
Ⅵ. 나가며 415
T & I ⑱ 감정노동자 관리방안
Ⅰ. 서비스산업 증가에 따른 감정노동자 대두 416
Ⅱ. 감정노동자의 취약원인 417
Ⅲ. 감정노동자 활용의 문제점 418
Ⅳ. 감정노동의 폐해를 방지하기 위한 해결방안 419
Ⅴ. 결론-감정노동자에 대한 인권경영적 접근 4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