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만화 > 인터넷 연재 만화
· ISBN : 9788958627913
· 쪽수 : 276쪽
· 출판일 : 2015-03-23
책 소개
목차
커버스토리 - 그래픽노블을 말한다
나는 만화가다 권범철
그래픽노블은 어떻게 탄생했는가 김낙호
프랑스에서의 그래픽노블 개념 정착과 현황 김명열
그래픽노블의 의미 한상정
한국 출판시장에서의 그래픽노블 그 20년의 흐름 이주석
그래픽노블, 허명을 벗긴다 백정숙
만화 소금(5회), 서영호
사연 있는 이발사와 앞집 여자의 지난 인연이 밝혀지며, 악몽이 되살아난다. 생략된 대사와 ‘스걱스걱’ 면도 소리만으로도 왠지 섬뜩하다.
SF오딧세이 우주생물학 교과서 《사가판 어류도감》, 이정모
서대문자연사박물관 이정모 관장이 모로호시 다이지로의 《사가판 어류도감》을 들고 찾아왔다. 만화책 속에서 찾아내는 지구 생명체 기원에 대한 수다가 펼쳐진다.
단신 만화계 이모저모 편집부
1) SNS에 만화 올린 MBC PD 해고
2) 레진코믹스 만화 공모전 1억 당선작은?
3) 《킬미 힐미》 표절 논란, 이충호 작가의 대응
4) 북미권 웹툰 플랫폼 타파스틱, 유료 결제 서비스 개시
만화 양치기 소년이 펜 잡았대 (7화), 홍승우
동화 속의 이야기를 삐딱하게 재구성하는 《양치기 소년이 펜 잡았대》, 이번 호에서는 《아기돼지 삼형제》를 새로운 이야기로 비틀어 들려준다. 늑대 가문과 돼지 가문의 대를 이은 혈투, 그러나 이 세상엔 영원한 적도 영원한 우방도 없는 법.
만화비평 권력에 대한 조롱 혹은 부정: 박순찬 《장도리》, 하종원
시사만화가 위기에 처한 지금, 시사만화의 최후 보루로 남아 촌철살인의 펜 끝을 휘두르는 박순찬 화백에 대한 하종원 교수의 비평, 대한민국 현재사(現在史)를 날카로운 풍자로 그려내는 《장도리》의 미학을 살펴본다.
만화 아무것도 변하지 않았다 (3회), 최경민
《보고》를 통해 단편만화 《어느 가십맨의 죽음》을 선보였던 신인 최경민 작가의 이 시대 청춘들에 관한 두 번째 이야기. 작가가 경험한 군대 내의 왕따 문제를 다루고 있다. 일상화된 폭력과 부조리에 자신도 모르게 젖어드는 군대문화를 날카로운 시각으로 보여주고 있다.
박스오피스 만화 베스트셀러 차트 서찬휘 (만화 칼럼니스트)
아직까지 믿을 만한 만화 베스트셀러 차트는 존재하지 않는다. 평론가이자 프로그래머인 서찬휘가 스스로 개발한 프로그램으로 차트를 선보인다. 아직은 미완, 그러나 그가 들려주는 차트 해설은 믿어도 좋다
카툰&포엠 하재욱의 하루: 순수퇴색, 하재욱
게임 콘셉트 디자이너이자 만화가인 하재욱이 작은 일상들 속에서 느끼는 소회를 짧은 글과 카툰으로 정리하며 우리의 하루를 위로하고 공감케 한다.
만화 광야(5회), 김혜린
장대한 서사와 독특한 문향으로 우리의 마음을 설레게 했던 김혜린 작가가 일제강점기에 사랑하고 꿈꾸고 고뇌했던 불꽃같은 삶을 살았던 청춘들의 이야기를 담아냈다.
만화 BEAT&FIRE (5회), 김형배
1960년대, 미군부대 기지촌에서 공연하며 한국의 롤링스톤즈를 꿈꾸는 록밴드 이야기를 극화한 작품이다. 60년대 기지촌의 풍경과 그 속에서도 꿈을 잃지 않는 젊은이들의 분투를 그려내고 있다. 그날의 젊은이들이 우리 시대 젊은이들에게 들려줄 이야기는 어떤 것일까?
핫이슈 키워드 MB 회고록/ 총리/ 일베 오뎅 편집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