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수험서/자격증 > 공무원 수험서 > 경찰공무원(승진) > 기타 과목
· ISBN : 9788959544363
· 쪽수 : 664쪽
· 출판일 : 2017-05-01
목차
제1편 행정학 총론
제1장 행정의 본질
제1절 행정의 의의 1 1
제2절 공행정과 사행정(행정과 경영) 18
제3절 행정의 변수 21
제2장 현대 행정의 의의
제1절 행정국가와 현대행정의 특징 23
제2절 시장과 정부실패 27
제3절 공공재 공급의 시각 36
제4절 행정의 경영화 39
제3장 행정의 기본가치론
제1절 공익의 본질 및 유용성 44
제2절 행정이념 47
제3절 행정문화 62
제4장 행정학의 발달
제1절 관방학과 슈타인 행정학 67
제2절 미국행정학의 발달 69
제3절 행정학의 성격과 한국행정학 73
제4절 과학적 관리론 77
제5절 인간관계론 80
제6절 행태론적 접근방법 84
제7절 생태론적 접근방법 87
제8절 체제론적 접근방법 91
제9절 비교행정론 94
제10절 발전행정론 97
제11절 신행정론 101
제12절 현상학, 비판과학과 포스트모더니즘 105
제13절 공공선택론적 접근방법 111
제14절 신제도론 115
제15절 신공공관리론 118
제16절 뉴거버넌스(New Governance) 125
제17절 신공공서비스론 131
제2편 정책론 및 기획론
제1장 정책론
제1절 정책의 본질과 유형 137
제2절 정책과학(Policy Science) = 정책학 141
제3절 정책의제형성 143
제4절 무의사결정론과 정책의제설정이론 148
제5절 정책분석 152
제6절 정책결정 163
제7절 정책결정의 이론모형 169
제8절 정책집행 182
제9절 정책집행의 유형과 순응 및 불응 187
제10절 정책평가와 정책변동 191
제11절 정책평가의 논리 194
제2장 기획론 202
제3편 조직론
제1장 조직과 조직이론
제1절 조직의 의의 및 조직이론의 변천 213
제2절 조직의 분류 219
제3절 관료제(Bureaucracy) 222
제4절 관료제의 병리와 쇄신 225
제5절 조직문화 231
제2장 조직구조론
제1절 조직의 원리 237
제2절 공식조직과 비공식조직 246
제3절 계선기관과 참모기관 248
제4절 위원회 252
제5절 한국의 정부조직 현황 257
제6절 공기업 261
제7절 지식정보사회와 조직모형 271
제3장 개인, 조직과 환경
제1절 조직과 개인 279
제2절 조직과 환경 284
제3절 조직과 환경에 관한 새로운 시각(거시조직론) 289
제4장 조직목표관리체계
제1절 조직목표 294
제2절 동기부여이론 300
제3절 행정관리계층과 갈등관리 307
제4절 권위와 리더십 313
제5절 현대적 리더십 319
제6절 의사소통과 행정 PR 322
제5장 조직발전론
제1절 조직의 동태화와 조직혁신(OI) 329
제2절 Adhocracy 333
제3절 조직발전(OD) 338
제4절 MBO 342
제5절 행정정보체계(PMIS) 345
제6절 기업형 정부 355
제4편 인사행정론
제1장 인사행정의 기초이론
제1절 인사행정의 본질 359
제2절 엽관제와 실적제 364
제3절 대표관료제 371
제4절 직업공무원제도 373
제5절 공직분류의 필요성과 유형 376
제6절 계급제와 직위분류제 378
제7절 개방형과 폐쇄형 384
제8절 고위공무원단제 388
제2장 공무원 채용과 임용
제1절 모집 391
제2절 시험 394
제3절 임용과 교육훈련 400
제4절 근무성적평정 408
제5절 승진과 인사교류 제도 415
제6절 인사청문회제도 419
제3장 공무원의 사기앙양
제1절 공무원의 사기 421
제2절 공무원의 보수 424
제3절 성과급제와 연금제도 427
제4장 공무원의 행동규범
제1절 정치적 중립과 행동규범 432
제2절 공무원의 신분보장 439
제3절 공무원단체 443
제4절 공직의 부패와 내부고발 447
제5편 재무행정론
제1장 재무행정의 기초이론
제1절 예산의 본질 457
제2절 예산의 원칙 459
제3절 예산의 종류 464
제4절 예산의 분류 470
제5절 예산과 기금, 공적자금의 비교 474
제6절 우리나라의 예산회계관계법 476
제7절 중앙예산기관 479
제8절 정부회계방식 481
제2장 예산과정론
제1절 예산과정의 본질 485
제2절 예산의 편성 486
제3절 예산의 심의 492
제4절 예산의 집행 497
제5절 예산집행의 신축성유지방안 502
제6절 결산 506
제7절 회계검사 509
제8절 구매행정 514
제3장 예산제도론
제1절 예산결정이론 518
제2절 계획과 예산 520
제3절 품목별예산(LIBS) 522
제4절 성과주의예산(PBS) 525
제5절 계획예산제도(PPBS) 528
제6절 영기준예산(ZBB) 532
제7절 자본예산(CB) 537
제6편 행정통제 및 개혁론
제1장 행정통제론
제1절 행정책임 543
제2절 행정의 외부통제 546
제3절 행정의 내부통제 551
제4절 옴부즈만제도에 의한 통제 553
제5절 비정부기구(NGO) 557
제6절 정보공개 560
제2장 행정개혁론
제1절 행정개혁의 본질 564
제2절 감축관리 573
제3절 책임운영기관제 575
제4절 작은 정부와 민자유치 580
제7편 지방행정론
제1장 지방행정의 기초이론
제1절 지방행정의 의의 587
제2절 중앙집권과 지방분권 588
제3절 지방행정의 현대적 조류 591
제2장 지방자치행정의 본질
제1절 지방자치에 대한 이론적 접근 594
제2절 자치권 598
제3절 기능배분 603
제3장 지방자치단체
제1절 지방자치단체와 계층제 606
제2절 지방정부형태 614
제3절 지방의회 620
제4절 집행기관 623
제5절 지방재정 626
제6절 지방정부의 행정사무 636
제7절 정부간 관계 639
제4장 지방자치단체에 대한 통제
제1절 중앙통제 642
제2절 주민통제 645
제3절 주민참여 650
제5장 지방자치단체의 구역과 광역행정
제1절 지방자치단체의 구역 653
제2절 광역행정 6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