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퇴계시와 미학

퇴계시와 미학

손오규 (지은이)
제주대학교출판부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퇴계시와 미학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퇴계시와 미학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어문학계열 > 국어국문학 > 고전문학론
· ISBN : 9788959710843
· 쪽수 : 441쪽
· 출판일 : 2012-12-20

책 소개

학문적 전제는 연구서설에 잘 나타나 있으며, 내용은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앞부분에서는 퇴계철학에서 미학에 관련된 논의를 찾아 학문적 체계화를 시도하였다. 두 번째 부분은 앞의 연구를 바탕으로, 퇴계시 100수를 선정하여 평설하였다.

목차

서문/ 3
Ⅰ. 연구서설······················· 13
Ⅱ. 산수시의 山水形象化·· 39
Ⅲ. 산수문학에서의 예술정신과 理念············· 72
Ⅳ. 「林居十五詠」의 詩世界와 意境··············· 101
Ⅴ. 「陶山雜詠」에 나타난 山水之樂··············· 130
Ⅵ. 退溪詩 이해와 감상·· 150
1. 가재(石蟹) ·············· 150
2. 봄놀이 하다 들판의 연못을 노래함(遊春詠野塘) ·················· 153
3. 마음속의 생각을 노래함(詠懷) ·············· 157
4. 소나무를 노래함(詠松) ··························· 160
5. 청평산을 지나면서(過淸平山有感) ········· 164
6. 농암 이선생 영지정사시를 받들어 보냄
(奉酬聾巖李先生靈芝精舍詩) ················· 166
7. 초은대(招隱臺) ······· 169
8. 고반대(考槃臺) ····· 175
9. 응사대(凝思臺) ····· 177
10. 천사곡(川沙曲) ····· 178
11. 청음석(淸吟石) ······ 180
12. 말을 타고 가며(馬上) ··························· 183
13. 백운동서원의 선비들에게 보이다(白雲洞書院示諸生) ·········· 186
(14-15) 도연명의 시집 음주 20수를 화답하다
(和陶集飮酒二十首) ······························· 192
(16-29) 한가할 제 조사경, 구경서, 김순거, 권경수
여러 사람의 창수한 시를 차운하니 14수이다.
(閒居次趙士敬 具景瑞 金舜擧 權景受 諸人唱酬韻十四首) ····· 199
30. 주경유의 「?유청량산록」뒤에 쓰다
(題周景遊遊淸凉山錄後) ························ 226
31. 영천자 묵죽 그림에 쓰다(題靈川子墨竹) ········· 230
(32-33) 황중거 시를 차운하다(次韻黃仲擧) ········· 235
(34-36) 서처사 화담집 뒤에 쓰다. 3수이다
(書徐處士花潭集後 三首) ······················· 246
(37-38) 기촌 송순의 면앙정 두 수(宋企村純?仰亭 二首) ······· 253
39. 남시보가 부친 시를 보고 화답하다(奉酬南時甫見寄) ········· 257
40. 권호문의 시를 차운하다(次韻權生好文) ············· 261
(41-50) 황중거가 열 폭 그림의 화제를 청함
(黃仲擧求題畵十幅) ··············· 266
41. 가난한 살림살이(陋巷簞瓢) ················ 267
42. 무우에서 봄바람 쐬며 시를 읊다(舞雩風詠) ·· 268
43. 동강에 낚시 드리우다(桐江垂釣) ······· 270
44. 율리에 돌아와 밭을 갈다(栗里歸耕) ·· 272
45. 염계의 연꽃사랑(濂溪愛蓮) ··············· 275
46. 고산에서 매화를 노래하다(孤山詠梅) · 279
47. 낙사 독락원에서의 즐거움(洛社獨樂) · 281
48. 무이구곡(武夷九曲) ·························· 284
49. 공명의 초려(孔明草廬) ······················ 289
50. 강절의 수레(康節兒車) ····················· 292
(51-59) 도산잡영(陶山雜詠) ······················· 297
51. 도산서당(陶山書堂) ··························· 297
52. 암서헌(巖栖軒) 299
53. 완락재(玩樂齋) 302
54. 유정문(幽貞門) 306
55. 정우당(淨友塘) 308
56. 절우사(節友社) 311
57. 농운정사(?雲精舍) ·························· 314
58. 천연대(天淵臺) 316
59. 천광운영대(天光雲影臺) ···················· 319
60. 글씨를 공부하다(習書) ························· 323
61. 시를 읊다(吟詩) ··· 328
62. 도산서당에서 밤중에 일어나(山堂夜起) ······ 333
63. 남새밭에 봄비가 내리다(菜圃春雨) ····· 336
64. 국화 핀 길에 가을 서리 내리다(菊逕秋霜) ·· 340
(65-68) 사계절 궁벽한 삶이 좋아, 시 네 수를 읊다
(四時幽居好吟 四首) ······························ 342
(69-70) 이강이가 새로 서악정사를 짓고 시를 보냈기로
두 수를 차운함(李剛而 新置西岳精舍 有詩見寄 次韻二首) ··· 350
(71-80) 서원 열 곳을 노래하다(書院十詠) 355
71. 죽계서원(竹溪書院 豊基) ··················· 355
72. 임고서원(臨皐書院 永川) ·················· 358
73. 문헌서원(文憲書院 海州) ·················· 360
74. 영봉서원(迎鳳書院 星州) ·················· 363
75. 구산서원(丘山書院 江陵) ·················· 366
76. 남계서원(?溪書院 咸陽) ·················· 369
77. 이산서원(伊山書院 榮川) ·················· 371
78. 서악정사(西岳精舍 慶州) ·················· 373
79. 화암서원(畵巖書院 大丘) ·················· 377
80. 여러 서원을 논하다(總論諸院) ·········· 380
81. 명옥대(鳴玉臺) ····· 382
82. 우연히 읊다(偶吟) ············· 383
83. 비가 내리니 객사에서 빗소리 듣는 시를 차운하다
(對雨次客舍聽雨韻) ······························· 387
84. 돌아가는 길, 말 위에서(歸途馬上) ····· 390
85. 도산 매화를 찾다(陶山訪梅) ················ 391
86. 새벽 온계에서 성현을 넘어 도산에 이르다
(晨自溫溪踰聲峴至陶山) ························ 393
(87-96) 집승정을 차운하니 열 수이다(次韻集勝亭十節) ··········· 396
87. 군성의 새벽 호각(郡城曉角) ·············· 396
88. 산사의 저녁 종소리(山寺暮鐘) ·········· 400
89. 먼 숲의 흰 연기(遠林白烟) ··············· 403
90. 긴 다리의 저녁놀(長橋落照) ············· 404
91. 당동의 봄꽃(堂洞春花) ······················ 406
92. 학가봉의 가을 달(鶴峯秋月) ·············· 408
93. 갈대 나루 목동의 피리소리(蘆浦牧笛) ········· 410
94. 전탄의 고이잡이 불(箭灘漁火) ·········· 412
95. 북산에 내리는 비(北山行雨) ·············· 413
96. 남쪽 교외에 날리는 눈(南郊飛雪) ······ 415
97. 정일재에서 밤에 일어나 달을 바라보다
(齋中夜起看月) ····· 417
(98-100) 역동서원에서 제군에게 보이니, 세 수이다
(易東書院示諸君 三首) ·············· 421
찾아보기/ 430

저자소개

손오규 (지은이)    정보 더보기
· 문학박사 · 제주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교수 · 한국서가협회 초대작가 · 세계 3대 인명사전 모두 등재 · 퇴계학술노문상수상(1991.퇴계학부산연구원) · 퇴계학술상수상(2011.퇴계학부산연구원) · 제 28회 도남국문학상 수상(2019) · 제 9회 세계서예 전북비엔날레 현대서예 우수상(2017) · 제 24회 대한민국 현대서예 전람회 우수상(2016) 저서 <산수문학연구>, <산수미학탐구>,<퇴계시가예술연구>,<중국의山山水水>, <퇴계시와 미학>, <성헌현가(한시집)>,<명심보감(역주)>외 공저 다수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