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경상계열 > 경영학
· ISBN : 9788959728749
· 쪽수 : 322쪽
· 출판일 : 2022-03-30
책 소개
목차
PART 01_ 조달전략
Chapter 01 서론: 조달의 전략적 역할
조달과 수익
조달과 지속가능한 경쟁우위
조달의 역할 변화
전략적 조달의 흐름
책의 구성
요약 및 결론
Chapter 02 조달과 조직: 미래를 위한 조직설계
조달의 조직 적합성
세 가지 유형의 조달 팀과 성숙도
효과적인 공급시장 형성의 전제, 연결성
외부와의 연결 활용
조달의 미래를 위한 인재
요약 및 결론
Chapter 03 전략적 조달주기
조달의 비전, 미션, 목표를 명확히 하라
상황 분석
조달전략 개발
조달전략 구현
학습 및 개선
요약 및 결론
PART 02_ 조달과 공급망
Chapter 04 공급자 관계관리
왜 공급자 관계에 초점을 맞추는가?
SRM 구축 방법: SAME 페이지 프레임워크
SRM 구축의 도전 과제
변화관리
SRM 구축의 장벽들: 우리는 지금 어디에 있는가?
요약 및 결론
Chapter 05 글로벌 소싱
반세계화운동
글로벌 소싱의 실제 비용
이동하는 무게중심
글로벌 소싱이 민첩성에 미치는 영향
글로벌 소싱 여부 결정하기
글로벌 소싱 네트워크 관리
요약 및 결론
PART 03_ 조달 성과 제공
Chapter 06 조달의 재무적 효과
조달과 가치 창출
조달 결정 및 지출 유형
조달 결정과 재무제표
기업 성과 측정
데이터 분석을 통한 조달가치 향상
요약 및 결론
Chapter 07 전략적 비용관리
전략적 비용관리 방법
총소유비용
비용 분석
카이젠 원가계산
요약 및 결론
Chapter 08 조달의 가치
성공의 정의 변경
유리천장 돌파
가장 큰 격차: 조직을 넘어 고객가치 이해하기
요약 및 결론
Chapter 09 공급망 위험관리
공급망 위험 프로파일의 이해
공급업체 위험 프로파일 생성
공급업체 위험 감사
사이버 보안에 대한 우려 증가
보다 탄력적인 공급망 구축
요약 및 결론
Chapter 10 조달관리를 위한 정보기술
조달관리에서의 정보기술 발전
조달관리에서 정보의 필요성
조달 업무 영역에서의 IT의 역할
조달 업무에 있어 IT 애플리케이션
IT 조달 솔루션의 기술 발전
요약 및 결론
PART 04_ 지속가능한 조달 성과
Chapter 11 지속가능한 조달
조달주기와 지속가능성
지속가능한 조달을 위한 촉발요인과 억제요인
지속가능한 조달을 위한 접근방식
요약 및 결론
Chapter 12 조달의 미래: 조달 부분의 발전을 위한 어려움과 나아갈 길
조달 성장 사다리
새로운 주제: 신기술
떠오르는 주제: 글로벌 비즈니스를 추구하고, 지역에서 사업 성과를 높인다
새로운 주제: 평판 리스크와 이해관계자 가치
미래 필요한 기능: 조달의 중요성 증대
요약 및 결론
에필로그: ‘Shoot Like a Girl’로부터 얻은 조달을 위한 교훈
저자소개
책속에서
서 문
나는 35년 전 처음으로 회사에서 전략적 가치와 관련성의 원천으로 조달 (procurement)을 접했다. 1983년 ‘하버드 비즈니스 리뷰(Harvard Business Review)’에 조달에 관한 글을 기고하였는데, 공급자 세분화 방안에 대한 것으로 실무에서 보편적으로 받아들이던 내용이다. 그 후로 많은 경험을 쌓으면서 나는 한 가지 확신을 갖게 되었다. 바로 조달이 기업의 성과 향상에 있어서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조달은 본질적으로 영리적인 성격을 띠며, 조달활동에 따른 경제적인 성과에 의해 그 위상이 결정된다. 조달 실무자에게 최고의 재무적 역량이 요구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하지만 이러한 내용을 담아내기에 ‘조달 (procurement)’이라는 단어는 의미가 너무나 지엽적인 면이 있다. ‘공급망(supply chain)’이 더 적합한 용어라는 것이 나의 생각이다.
조달의 위상은 경제적 성과에 따라 달라진다. 대부분 기업에서 ‘최고조달책임자(CPO: Chief Procurement Officer)’가 경영진에게 직접 보고를 하고 있으며, 조달 팀은 비즈니스 전반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영향력의 범위는 가격 경쟁력을 비롯해 지속 가능성, 혁신, 위기관리 그리고 현금관리에 이르기까지 매우 넓다. 따라서 현재뿐만 아니라 향후 조달 전공자들에게 많은 기회가 주어질 것이다. 현대의 기업은 실적이나 ROI뿐만 아니라 여러 비즈니스 프로세스에서 동시에 성과를 내야 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조달 부문은 매우 중요한 영역으로 성장하고 있다. 이 책을 알게 되어 기쁘다. 특히 미래의 리더를 키우고 리더십 이론을 실무에 적용하는 데 중점을 두는 것이 인상적이다. 향후 35년간 우리에게 필요한 바로 그것 말이다!
역자 서문
이 책을 접하면서 느꼈던 점은 조달(procurement)에 대한 의미를 다시 생각해 보게 되었다는 것이다. 기업 경영의 하위 프로세스 역할 이상의 의미에 대해서 고려하지 못하였던 역자에게 조달이 기업의 성과 향상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는 저자의 의견은 의아함을 제기하였다. 그러나 책의 내용을 살펴보면서 조달의 영리적인 성격, 조달활동에 따른 경영 성과 향상 등의 내용을 통해 그 중요성을 이해할 수 있었다. 저자는 조달의 본질을 잘 파악하려면 실무자의 재무적 역량을 강조하면서 사례를 기반으로 다양한 재무적 성과와 조달과의 관계를 설명하고 있다. 또한 조달에 대한 전략적 접근 및 지속가능성 등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현재 국내에는 물류, 유통, 공급망 관리 등과 관련된 다양한 서적이 출판되고 있다. 그러나 조달을 중심으로 다양한 관점을 담은 서적은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조달 전략, 공급망과의 관계, 조달 성과 및 위험관리, 지속가능성 등을 다룬 이 책이 조달에 관심을 갖는 다양한 독자들에게 유용한 내용을 전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