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수험서/자격증 > 국가전문자격 > 치과위생/기공사
· ISBN : 9788961307574
· 쪽수 : 600쪽
· 출판일 : 2014-06-05
목차
제1부 구강해부학
Chapter 1. 서 론 13
1.1 해부학용어 / 15
Chapter 2. 두개골 19
2.1 뼈(bone) / 21
2.2 두개골(머리뼈, Skull) / 24
2.3 두개골을 이루는 뼈 / 32
Chapter 3. 머리 및 목의 근육 53
3.1 개요 / 55
3.2 머리의 근육 / 56
3.3 목의 근육 / 60
Chapter 4. 머리 및 목의 혈관과 림프 67
4.1 개요 / 69
4.2 동맥 / 70
4.3 정맥(Vein) / 73
4.4 머리?목의 림프계통 / 76
Chapter 5. 머리 및 목의 신경 81
5.1 뇌신경(cranial nerves) / 83
5.2 뇌신경의 종류 / 85
Chapter 6. 악관절 97
6.1 악관절 / 99
Chapter 7. 구 강 105
7.1 구강(입안, oral cavity) / 107
7.2 구순(입술, lips) / 108
7.3 협부(볼, 뺨, cheek) / 108
7.4 구개(입천장, plate) / 109
7.5 설(혀, tongue) / 110
7.6 구협(목구멍, fauces) / 113
7.7 타액선(침샘, salivary glands) / 114
7.8 구강소대(입안주름띠, frenulum of mouth) / 115
Chapter 8. 얼굴 및 구강의 감각 119
8.1 얼굴 및 구강의 감각전도로 / 121
8.2 얼굴 및 구강의 감각 수용기 / 121
8.3 삼차신경 뇌핵의 종류 / 121
제2부 치아형태학
Chapter 1. 서 론 125
1.1 치아란? / 127
1.2 치아의 기능 / 127
1.3 치아의 교환 / 127
1.4 치아의 역할 / 127
1.5 치아의 기호와 표시 / 128
1.6 치아의 방향을 나타내는 용어 / 132
1.7 치아형태의 용어정리 / 133
1.8 치아의 상징 / 139
1.9 치아의 맹출 / 141
1.10 치아의 발육단계 / 142
Chapter 2. 영구치 153
2.1 영구 절치 / 155
2.2 견치 / 160
2.3 소구치(전구치) / 164
2.4 대구치 / 170
Chapter 3. 유 치 197
3.1 유치의 중요성 / 199
3.2 유치와 영구치의 차이점 / 199
3.3 유치의 맹출시기 / 199
3.4 치아별 특징 / 200
제3부 구강생리학
Chapter 1. 일반 생리학 211
1.1 세포와 세포막 / 213
1.2 신경계 / 215
1.3 감각 / 223
1.4 혈액 / 224
1.5 순환 / 229
1.6 호흡 / 230
1.7 근육 / 232
1.8 에너지대사와 체온 / 236
1.9 소화와 흡수 / 239
1.10 배설 / 242
1.11 내분비 / 243
Chapter 2. 구강 생리학 265
2.1 치아와 치주조직의 생리 / 267
2.2 구강영역의 감각 / 268
2.3 치주조직의 생리 / 271
2.4 교합 / 272
2.5 타액 / 278
2.6 미각 / 282
2.7 흡인?연하?구토?구호흡?구취 / 284
2.8 발성 / 287
제4부 구강조직발생학
Chapter 1. 서 론 305
1.1 조직학이란? / 307
1.2 현미경의 이해 / 307
Chapter 2. 일반 조직학 311
2.1 세포의 개요 / 313
2.2 기본조직 / 316
Chapter 3. 구강 발생학 337
2.1 분만전 발육 개요 / 339
2.2 구강구조의 발생 / 341
2.3 치아의 발생과 분출 / 342
Chapter 4. 구강 조직학 361
4.1 구강점막 / 363
4.2 타액선, 갑상선, 림프 및 기타 구강조직 / 367
4.3 법랑질 / 369
4.4 상아질과 치수 / 372
4.5 치주조직 : 치은, 백악질, 치조골, 치주인대 / 376
제5부 구강병리학
Chapter 1. 일반 병리학 397
1.1 병리학이란? / 399
1.2 병인론 / 400
1.3 염증 / 401
1.4 면역 / 406
1.5 유전성 질환 및 기형 / 407
1.6 세포손상 / 409
1.7 순환장애 / 411
1.8 대사장애(퇴행성변병) / 412
1.9 종양 / 414
Chapter 2. 구강 병리학 425
2.1 치아의 발육이상 / 427
2.2 치아의 기계적 및 화학적 손상 / 432
2.3 치아의 파절 / 432
2.4 치수의 병변 / 433
2.5 상아질과 백악질의 증식 및 치수와 치주인대의 석회화 / 436
2.6 치주조직의 병변 / 437
2.7 발치창의 치유 / 442
2.8 구강점막 질환 / 443
2.9 치은종 / 448
2.10 구강영역의 기형 / 449
2.11 악골의 병변 / 450
2.12 구강영역의 낭종 / 451
2.13 구강영역의 종양 / 455
2.14 연령증가와 관련된 변화 / 459
제6부 구강미생물학
Chapter 1. 생물학의 기초 487
1.1 미생물의 개념 / 489
Chapter 2. 미생물의 일반적 형태 493
2.1 세균(bacteria) / 495
2.2 바이러스 / 500
2.3 진균 / 501
Chapter 3. 감 염 505
3.1 감염의 과정 / 507
3.2 숙주와 기생체의 상호작용 / 509
3.3 감염의 예방과 관리 / 512
Chapter 4. 면 역 515
4.1 면역현상의 특징 / 517
4.2 면역계와 면역응답 / 521
Chapter 5. 항미생물 화학요법 527
5.1 항미생물제(antimicrobic agents) / 529
Chapter 6. 병원성 세균 533
6.1 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 535
6.2 연쇄상구균(Streptococcus) / 536
Chapter 7. 병원성 바이러스, 진균 및 원충 541
7.1 콕사키바이러스(Coxsackie virus) / 543
7.2 간염 바이러스 / 543
7.3 트리코모나스(Trichomonas) / 545
Chapter 8. 구강환경과 미생물 549
8.1 구강환경의 특징 / 551
8.2 구강미생물의 생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551
8.3 타액의 항균인자 / 552
8.4 구강미생물총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 552
8.5 치면세균막 형성과 성숙과정 / 553
Chapter 9. 치아우식, 치주질환과 미생물 557
9.1 치아우식과 미생물 / 559
9.2 치주질환과 미생물 / 559
Chapter 10. 기타 구강감염과 미생물 563
10.1 기타 구강감염과 미생물 / 565
찾아보기 5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