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의약학간호계열 > 임상의학 > 재활의학
· ISBN : 9788961308397
· 쪽수 : 164쪽
· 출판일 : 2015-09-02
목차
제1부 개 요
Chapter 1. 운전재활의 개요 13
1. 운전재활의 범위 16
1) 임상적 판별 / 16
2) 임상평가 / 16
3) 주행평가 / 17
4) 비주행평가 / 17
5) 주행훈련 / 17
6) 차량 개조를 위한 제안 / 18
7) 운전중단 계획하기 / 18
2. 미래 운전재활의 방향 18
Chapter 2. 운전재활에서 작업치료의 역할 21
1. 운전과 관련된 작업 수행 21
1) 역할의 충족 / 21
2) 이동성 확보 / 21
3) 사회적 기회 제공 / 22
4) 여가의 기회 제공 / 23
5) 구매 활동 / 23
2. 작업치료사의 역할과 이론적 기초 23
Chapter 3. 운전재활 팀 27
1. 운전자재활전문가 28
1) 자격 요건 / 29
2) 시험내용 / 29
3) 세부적 업무 / 30
2. 운전재활 팀 구성원 및 역할 31
1) 클라이언트와 보호자 / 31
2) 자동차 개조가 / 31
3) 사례관리자 / 32
4) 의학전문가 : 시력 전문가, 안과의사, 신경학자 등 / 32
Chapter 4. 운전평가와 중재 과정 35
1. 운전재활에 의뢰하기 35
2. 병력과 초기면담 목록작성 37
3. 운전의 필요성 평가 38
4. 운전 중단하기 38
1) 운전평가 및 평가결과에 따른 운전 중단의 중재방향 / 39
2) 운전중단 결정 / 40
3) 운전중단에 따른 지역사회 대체이동수단 / 41
4) 치매와 운전중단 / 43
5. 자가보고식 안전운전 평가 43
제2부 평 가
Chapter 5. 임상평가 49
1. 운전재활을 위한 임상평가의 개요 49
2. 운전자 평가 50
1) 신체기능 / 50
2) 감각기능 / 51
3) 정신기능 / 55
4) 컴퓨터를 이용한 인지?지각 능력 검사도구 / 61
3. 주요 평가 양식 64
1) Manual test of range of motion / 65
2) Manual test of motor strength / 65
3) 반응시간 평가 / 66
4) Rapid pace walk / 67
5) Trail-Making Test, Part B / 68
6) Clock drawing test / 68
Chapter 6. 시각과 운전 71
1. 운전에 영향을 주는 시각적 요인 71
2. 시각 평가 72
1) 동안 조절 / 72
2) 시 야 / 75
3) 시 력 / 76
4) 깊이 지각 / 79
5) 입체 지각 / 79
6) 색깔 지각과 구분 / 80
7) 대비 민감도 / 80
8) 시지각 / 81
9) 시-운동 협응 / 81
제3부 중 재
Chapter 7. 중 재 85
1. 회복적 전략 85
1) 시 력 / 86
2) 신체적 기술 / 86
3) 인 지 / 87
4) 컴퓨터게임 / 87
5) 자동차 시뮬레이터 / 88
2. 적응 전략 88
3. 대체적 전략 89
4. 예방 전략 90
5. 금기증 91
Chapter 8. 환경 및 자동차 평가와 보조공학기기 93
1. 환경과 자동차에 대한 평가 93
1) 환 경 / 93
2) 자동차에 대한 평가 / 95
2. 보조공학기기 97
1) 조향 장치 / 97
2) 가속장치와 제동장치 / 98
3) 차량 내 외부 이동을 위한 보조공학기기 / 100
4) 거 울 / 101
5) 기타 액세서리 / 101
Chapter 9. 여가와 레저를 위한 운전 103
1. 여가와 운전 103
2. 여가생활에 대한 장애인의 권리 105
3. 여가활동을 위해 활용할 수 있는 차량 및 장비 107
1) 이동 및 드라이브를 위해 활용할 수 있는 차량 / 107
2) 여행 등 기타 여가활동을 위한 차량 / 115
제4부 운전재활의 현황 및 제도
Chapter 10. 운전재활 프로그램 121
1. 운전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121
2. 운전프로그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22
1) 연 령 / 122
2) 진 단 / 122
3) 운전프로그램 서비스 범위 / 123
3. 국내 운전재활 서비스 125
1) 국립재활원의 운전능력 평가클리닉 / 125
2) 국립재활원의 운전교육 프로그램 / 127
3) 운전면허시험장의 운전교육 프로그램 / 128
4. 국외 운전재활 서비스 130
1) 미 국 / 130
2) 캐나다 SkillBuilders 운전재활 프로그램 / 132
3) 호 주 / 136
부 록
장애인 운전관련 법규 / 141
자동차 운전전문학원 강사 및 기능검정원 자격시험 / 145
참고문헌 / 154
색인 / 1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