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미생물학

미생물학

(제9판)

Joanne M. Willey (지은이), 김경민, 김영민 (옮긴이)
라이프사이언스
5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미생물학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미생물학 (제9판)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자연과학계열 > 생물학
· ISBN : 9788961542210
· 쪽수 : 1108쪽
· 출판일 : 2016-03-10

목차

01 미생물의 진화와 미생물학 1
1.1 미생물 세계의 구성원들 2
1.2 미생물의 진화 5
1.3 미생물학과 그 기원 12
1.4 오늘날의 미생물학 19
02 현미경학 24
2.1 렌즈와 빛의 굴절 24
2.2 광학현미경 25
2.3 시료의 준비와 염색 33
2.4 전자현미경 36
2.5 주사탐침현미경법 41
03 세균의 세포 구조 44
3.1 원핵생물에 대한 논란 44
3.2 전형적인 세균 45
3.3 세균의 원형질막 49
3.4 세균의 세포벽 55
3.5 세포벽 바깥쪽의 세포외피 63
3.6 세균의 세포질 64
3.7 외부 구조 71
3.8 세균의 운동성과 주화성 74
3.9 세균의 내생포자 78
04 고세균의 세포 구조 84
4.1 고세균 세포의 구조 84
4.2 고세균의 세포외피 86
4.3 고세균의 세포질 89
4.4 외부 구조 90
4.5 세균과 고세균의 비교 92
05 진핵세포의 구조 94
5.1 진핵세포의 일반적인 구조 95
5.2 진핵세포의 막 97
5.3 진핵세포의 세포질 98
5.4 생합성 분비와 세포내흡입에 관여하는 세포소기관 99
5.5 세포의 유전적 조절에 관여하는 세포소기관 103
5.6 에너지 보존에 관여하는 세포소기관 105
5.7 세포막의 외부 구조 108
5.8 세균, 고세균 및 진핵세포의 비교 110
06 바이러스와 비세포성 감염인자 114
6.1 바이러스 114
6.2 바이러스 입자 구조 116
6.3 바이러스 증식 121
6.4 바이러스 감염의 형태 126
6.5 바이러스 배양과 정량법 130
6.6 바이로이드와 위성체 132
6.7 프리온 133
07 미생물의 생장 137
7.1 미생물 증식법 137
7.2 세균의 세포주기 138
7.3 미생물 생장에 영향을 주는 환경요인 145
7.4 자연환경에서의 미생물 생장 153
7.5 실험실에서 미생물의 배양 158
7.6 생장곡선 164
7.7 미생물 군집 크기의 측정 168
7.8 미생물의 연속배양 172
08 환경에서 미생물의 제어 176
8.1 미생물 제어의 원리 176
8.2 미생물의 사멸양상 178
8.3 기계적 제거 방법 179
8.4 물리적 제어 방법 181
8.5 화학 제어 물질 184
8.6 항미생물제의 효능 평가 188
8.7 미생물의 생물학적 제어 190
09 항미생물 화학치료 193
9.1 화학치료의 발달 193
9.2 항생물질의 일반 특성 194
9.3 항미생물제의 효능 분석 196
9.4 항세균제 199
9.5 항진균제 205
9.6 항바이러스제 207
9.7 항원충제 210
9.8 항생물질효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211
10 물질대사: 들어가기 214
10.1 물질대사: 주요 원리와 개념 215
10.2 ATP: 세포의 주요 에너지 화폐 217
10.3 산화환원 반응: 물질대사에서 핵심 반응 219
10.4 전자전달사슬: 연속 산화환원 반응 세트 220
10.5 생화학 경로 223
10.6 효소와 리보자임 224
10.7 물질대사의 조절 228
11 이화작용: 에너지 방출과 보존 234
11.1 대사 다양성과 영양형태 235
11.2 화학유기영양에서의 연료공급과정 237
11.3 산소호흡 239
11.4 포도당으로부터 피루브산까지 239
11.5 TCA 회로 243
11.6 전자전달과 산화적 인산화 245
11.7 무산소호흡 251
11.8 발 효 253
11.9 포도당이 아닌 다른 유기분자의 이화작용 255
11.10 화학무기영양 257
11.11 광영양 261
12 동화작용: 생합성 과정에서 에너지의 이용 270
12.1 생합성의 원리 271
12.2 전구대사물질 272
12.3 CO2 고정 273
12.4 탄수화물의 합성 276
12.5 아미노산의 합성 279
12.6 퓨린, 피리미딘과 뉴클레오티드의 합성 285
12.7 지질 합성 287
13 세균 유전체의 복제와 발현 291
13.1 유전물질로서의 DNA 292
13.2 핵산과 단백질의 구조 293
13.3 세균의 DNA 복제 297
13.4 세균 유전자 구조 305
13.5 세균의 전사 308
13.6 유전암호 313
13.7 세균의 번역 315
13.8 단백질 성숙과 분비 323
14 세균의 세포과정 조절 329
14.1 조절 단계 330
14.2 전사개시의 조절 330
14.3 전사신장의 조절 337
14.4 번역단계의 조절 340
14.5 복잡한 세포과정의 조절 342
15 진핵생물과 고세균의 유전체 복제와 발현 357
15.1 왜 진핵생물과 고세균의 유전학을 함께 다루는가? 358
15.2 DNA 복제 358
15.3 전 사 362
15.4 번역, 단백질 성숙, 위치 지정 367
15.5 세포과정의 조절 371
16 유전자 변이 기전 376
16.1 돌연변이 376
16.2 돌연변이체의 검출과 분리 382
16.3 DNA 수선 384
16.4 부가적 유전적 변이성의 생성 388
16.5 전이인자 390
16.6 세균의 접합 392
16.7 세균의 형질전환 398
16.8 형질도입 400
16.9 끊임없이 진화하는 생명체: 세균의 항생제 내성 생성 403
17 재조합 DNA 기술 408
17.1 재조합 DNA 기술의 주요 성장 409
17.2 중합효소연쇄반응 415
17.3 클로닝 벡터와 재조합 DNA 417
17.4 유전체 도서관의 제조 421
17.5 숙주세포로의 재조합 DNA 도입 423
17.6 숙주세포에서 외부 유전자의 발현 423
18 미생물 유전체학 428
18.1 DNA 서열 결정 428
18.2 유전체 염기서열분석법 433
18.3 생물정보학 435
18.4 기능유전체학 437
18.5 단백질체학 441
18.6 시스템생물학 444
18.7 비교유전체학 444
18.8 메타유전체학 447
19 미생물의 분류와 진화의 다양성 451
19.1 미생물 분류 서론 452
19.2 분류학적 단계 453
19.3 미생물 분류와 계통발생학의 방법 454
19.4 계통발생수 460
19.5 미생물종의 개념과 진화과정 463
19.6 버지의 세균분류학 편람 468
20 고세균 473
20.1 고세균의 일반적인 특징 474
20.2 크렌고세균문 480
20.3 유리고세균문 484
21 데이노코쿠스, 몰리쿠테스와 프로테오박테리아 외 그람음성 세균 493
21.1 Aquificae 문과 Thermotogae 문 494
21.2 Deinococcus-Thermus 문 494
21.4 광합성 세균 498
21.5 Planctomycetes 문 505
21.6 Chlamydiae 문 506
21.7 Spirochaetes 문 508
21.8 Bacteroidetes 문 510
21.9 Verrucomicrobia 문 511
22 세균: 프로테오박테리아 513
22.1 a-프로테오박테리아강 514
22.2 b-프로테오박테리아강 522
22.3 g-프로테오박테리아강 526
22.4 d-프로테오박테리아강 537
22.5 e-프로테오박테리아강 542
23 퍼미큐테스: G + C 함량이 낮은 그람양성 세균 546
23.1 Clostridia 강 547
23.2 Bacilli 강 551
24 방선균: G + C 함량이 높은 그람양성 세균 559
24.1 Actinomycetales 목 561
24.2 Bifidobacteriales 목 570
25 원생생물 572
25.1 원생생물의 개요 573
25.2 Excavata 상군 575
25.3 Amoebozoa 상군 577
25.4 Rhizaria 상군 580
25.5 Chromalveolata 상군 582
25.6 Archaeplastida 상군 590
26 진균(진균문) 594
26.1 진균생물학의 개요 596
26.2 병꼴균문(Chytridiomycota) 599
26.3 접합균문(Zygomycota) 600
26.4 수지상 내생균근균문(Glomeromycota) 601
26.5 자낭균문(Ascomycota) 602
26.6 담자균문(Basidiomycota) 605
26.7 소포자충문(Microsporidia) 608
27 바이러스 610
27.1 바이러스 분류학과 계통학 610
27.2 이중가닥 DNA 바이러스 612
27.3 단일가닥 DNA 바이러스 623
27.4 RNA 바이러스: 다양성 가운데 공통성 626
27.5 이중가닥 RNA 바이러스 627
27.6 양성가닥 RNA 바이러스 628
27.7 음성가닥 RNA 바이러스 631
27.8 레트로바이러스 633
27.9 역전사 DNA 바이러스 634
28 생물지구화학적 순환과 지구기후변화 638
28.1 생물지구화학적 순환 639
28.2 지구 기후변화 648
29 미생물생태학의 연구방법 652
29.1 배양법 653
29.2 미생물 다양성 측정 657
29.3 미생물 군집 활성의 측정 661
30 해양 및 담수 생태계의 미생물 666
30.1 미생물 서식처로서의 물 667
30.2 해양생태계의 미생물 668
30.3 담수생태계의 미생물 679
31 토양생태계의 미생물 685
31.1 미생물 서식처로서의 토양 686
31.2 토양 환경의 미생물 689
31.3 미생물-식물 상호작용 691
31.4 지하 생물권 702
32 미생물의 상호작용 705
32.1 미생물의 상호작용 706
32.2 인간과 미생물의 상호작용 719
32.3 사람의 고유미생물상 722
33 숙주의 내재저항 729
33.1 내재저항의 개요 730
33.2 내재저항에서의 물리적 및 기계적 장벽에 의한 방어 731
33.3 내재저항에서의 화학적 매개체 734
33.4 면역계의 세포, 조직 및 기관 741
33.5 식세포작용 749
33.6 염 증 754
34 적응면역 759
34.1 적응면역의 개요 759
34.2 항 원 761
34.3 적응면역의 종류 762
34.4 외래물질의 인식 763
34.5 T 세포 생물학 766
34.6 B 세포 생물학 771
34.7 항 체 773
34.8 항체의 작용 783
34.9 획득면역관용 784
34.10 면역질환 785
35 병원성과 감염 795
35.1 병원성과 감염성 질병 796
35.2 독 성 799
35.3 노출과 전파 808
36 임상미생물학과 임상면역학 814
36.1 임상미생물 실험실의 개요 814
36.2 생물안전 815
36.3 검체로부터 미생물의 확인 818
36.4 임상면역학 826
37 감염질병의 역학과 공중보건미생물학 836
37.1 역 학 836
37.2 역학적 방법 838
37.3 감염질병 빈도 측정 841
37.4 인구집단 내 감염병의 양상 842
37.5 새롭게 출현하거나 재출현한 감염병과 병원체 845
37.6 의료관련감염 847
37.7 유행병의 예방 및 제어 849
37.8 생물테러에 대한 대비 853
38 바이러스와 프리온에 의한 질병 858
38.1 공기매개 질병 859
38.2 절지동물매개 질병 869
38.3 직접 접촉 질병 870
38.4 식품매개 및 수인성 질병 884
38.5 인수공통감염병 887
38.6 프리온 질병 891
39 세균에 의한 질병 894
39.1 공기매개 질병 894
39.2 절지동물매개 질병 904
39.3 직접 접촉 질병 908
39.4 식품매개 및 수인성 질병 922
39.5 인수공통감염병 930
39.6 기회감염 933
40 진균과 원생생물에 의한 질병 938
40.1 병원성 진균과 원생생물 938
40.2 공기매개 질병 940
40.3 절지동물매개 질병 943
40.4 직접 접촉 질병 950
40.5 식품매개 및 수인성 질병 954
40.6 기회감염 질병 958
41 식품미생물학 964
41.1 미생물 증식과 식품의 부패 965
41.2 식품부패의 관리 967
41.3 식품매개 질병의 출현 970
41.4 식품매개 병원체의 검출 973
41.5 발효식품의 미생물학 975
41.6 프로바이오틱스 982
42 생물공학과 산업미생물학 985
42.1 산업미생물학의 주요 생산품 986
42.2 생물연료 생산 988
42.3 산업 현장에서 미생물 배양 990
42.4 산업미생물학에 이용되는 미생물 991
42.5 농업생명공학 996
42.6 제품으로서의 미생물 999
43 응용환경 미생물학 1002
43.1 수질정화와 위생분석 1002
43.2 폐수처리 1007
43.3 미생물 연료전지 1014
43.4 생분해와 생물복원 1015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