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수험서/자격증 > 공무원 수험서 > 교원임용시험 > 유아교육과정
· ISBN : 9788962513325
· 쪽수 : 318쪽
· 출판일 : 2017-01-09
목차
제1장 2013학년도 기출이론 총정리 11
I. 교육 철학 및 사상사 12
1. 프뢰벨(Frobel, 독일, 1782~1852) 12
2. 방정환(한국, 1899~1931) 16
II. 심리 및 발달 이론 17
1. 게젤(Gesell, 미국, 1880~1961) 17
2. 브론펜브레너(Bronfenbrenner, 미국, 1917~2005) 19
3. 피아제(Piaget, 스위스, 1896~1980) 20
III. 교육과정 및 유아교육과정 27
1. 타일러(Tyler, 미국, 1902~1994)의 교육과정과 수업의 기본 원리 27
2. 브레드캠프와 로즈그란트(Bredekamp &Rosegrant, 1992)의 교사의 교수 유형 29
IV. 유아교육 프로그램 31
1. 까미 & 드브리스 프로그램(Kamii & DeVries Program, 1960년 대) 31
V. 교사론 33
1. 캐츠(Katz, 미국)의 교사발달단계 33
2. 동료장학 34
VI. 부모론 35
1. 드라이커스(Dreikurs, 오스트리아, 1897~1972) 의 민주적 부모교육이론 35
VII. 아동복지 38
1. 정부지원의 아동복지서비스 38
2. 민간지원의 아동복지서비스 41
3. 아동의 권리 43
VIII.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해설서 49
1.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해설서 차례 49
2. 누리과정의 도입 배경 50
3. 누리과정의 구성 방향 52
4. 편성과 운영: 편성 54
5. 편성과 운영: 운영 56
6. 신체운동?건강 58
7. 의사소통 62
8. 사회관계 65
9. 예술경험 66
10. 자연탐구 70
IX.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75
1. 일일 교육계획안의 예시 75
X.‘신체운동?건강’ 배경 이론 76
1. 동작교육의 접근 방법 76
2. 유아 안전교육 방법 81
3. 유치원 교사를 위한 응급처치의 실제: 물리거나 곤충에 쏘였을 때 81
XI.‘의사소통’ 배경 이론 82
1. 언어교육 접근법 82
XII.‘사회관계’ 배경 이론 88
1. 공감과 배려 88
2. 셀만(Selman, 미국, 1942~) 89
3. 유아를 위한 양성평등 교육활동 지도자료 91
XIII‘예술경험’ 배경 이론 104
1. 유아 미술을 보는 다양한 관점 104
2. 펠드만(Feldman)의 미술 감상 지도 106
3. 명화감상 활동의 진행 과정 107
4. 스밀란스키(Smilansky, 1968)의 인지적 놀이 유형 109
XIV.‘자연탐구’ 배경 이론 110
1. 탐구 과정 및 기술 110
2. 과학적 탐구 기능 111
3. 사전적 정의 112
제2장 2013학년도 추가시험 기출이론 총정리 113
I. 교육 철학 및 사상사 114
1. 루소(Rousseau, 스위스 → 프랑스, 1712~1778) 114
2. 몬테소리(Montessori, 이탈리아, 1870~1952) 116
3. 니일(Neil, 영국, 1883~1973) 121
II. 심리 및 발달 이론 123
1. 게젤(Gesell, 미국, 1880~1961) 123
2. 반두라(Bandura, 캐나다→미국, 1925~현재) 124
3. 가드너(Gardner, 미국, 1943~현재) 126
III. 놀이 이론 128
1. 파튼(Parten, 1932)의 사회적 놀이 유형 128
2. 볼프강과 맥컨더, 볼프강(Wolfgang, Mackender, & Wolfgang, 1981)의교사지원연속모형(Teacher Behavior Continuum, TBC) 129
IV. 교육과정 및 유아교육과정 130
1. 브루너(Bruner, 미국, 1915~2016)의 학문구조 이론과 나선형 교육과정 130
2. 데일(Dale)의 경험의 원추 131
3. 관찰법의 종류 131
V. 부모론 137
1. 우리나라 부모교육의 역사: 현대 137
2. 번(Berne, 캐나다 → 미국, 1910~1970)의 교류분석이론 138
3. 행동수정이론 141
VI. 유아교육 관련법 143
1. 유아교육법 143
2. 아동복지법 143
3. 아동복지법 시행령 143
4.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143
VI.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해설서 144
1.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해설서 차례 144
2. 편성과 운영: 편성 145
3. 편성과 운영: 운영 146
4. 편성과 운영: 교수?학습 방법 148
5. 신체운동?건강 151
6. 의사소통 159
7. 사회관계 162
8. 예술경험 164
9. 자연탐구 170
VII.‘신체운동?건강’ 배경 이론 176
1. 체력의 요소 및 체력의 측정 176
2. 비이동 동작 177
3. 기본적 동작의 유형(Fundamental movement) 177
4. 동작교육의 지도 방법 179
IX.‘의사소통’ 배경 이론 181
1. 언어의 구조 181
2. 생득주의에 근거한 언어발달론 182
3. 클레이(Clay, 뉴질랜드, 1926~2007) 184
4. 부호 중심 접근법 185
5. 그림책의 종류 186
X.‘사회관계’ 배경 이론 187
1. 피아제의 도덕성 발달 단계 187
2. 친사회성 188
XI.‘예술 경험’ 배경 이론 188
1. 달크로즈(Dalcroze, 스위스, 1865-1950) 188
2. 아동화에 나타나는 표현의 특징 192
3. 로웬펠드(Lowenfeld, 호주 → 미국, 1903~1960) 195
XII.‘자연 탐구’ 배경 이론 203
1. 피아제(Piaget, 스위스, 1896~1980) 203
2. 탐구 과정 및 기술 204
3. 과학적 탐구 기능 205
4. 사전적 정의 206
5. 길이의 측정 개념에 대한 발달단계: 피아제와 인헬더 207
제3장 2014학년도 기출이론 총정리 209
I. 교육 철학 및 사상사 210
1. 페스탈로치(Pestalozzi, 스위스, 1747~1827) 210
2. 프뢰벨(Frobel, 독일, 1782~1852) 212
3. 듀이(Dewey, 미국, 1859~1952) 216
II. 심리 및 발달 이론 218
1. 비고스키(Vygotsky, 러시아, 1896~1934) 218
III. 놀이 이론 221
1. 비고스키(Vygotsky) 221
2. 프로이드(Freud) 221
3. 월더(Walder) 222
4. 피아제(Piaget, 1962)의 인지적 놀이 유형 222
5. 스밀란스키(Smilansky, 1968)의 인지적 놀이 유형 223
6. 브레더튼(Bretherton, 1984)과 휴스(Hughes, 1999)의 상징놀이의 주요 요소/특징 224
IV.교육과정 및 유아교육과정 225
1. 브루너(Bruner, 미국, 1915~2016)와 데일(Dale)의 표상 양식 225
2. 유아 평가: 평정척도법(Rating scale) 225
3. 유아 평가: 사건표집법 227
4. 유아 평가: 검사법 228
5. 유아교육기관 평가: 제3주기 유치원 평가(2014~2016) 229
V. 교사론 236
1. 풀러와 보운(Fuller, 미국, 1918~1975 & Bown, 미국, 1921~1995)의 교사 관심사 이론 236
2. 장학 237
3. 자기장학 238
4. 동료장학 238
5. 약식장학 239
6. 수업장학 239
7. 임상장학 240
8. 멘터링 장학 240
9. 컨설팅 장학 241
VI. 부모론 242
1. 로저스 (Rogers, 미국, 1902~1987)의 자아중심적 이론과 내담자중심 상담이론 242
2. T. 고든(T. Gordon, 미국, 1918~2002)의 부모 효율성 훈련이론 243
3. 바람직한 행동을 형성하거나 증가시키기 위한 행동수정기법 246
VII. 유아교육 관련법 248
1. 유아교육법 248
VIII.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해설서 249
1.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해설서 차례 249
2. 편성과 운영: 편성 249
3. 편성과 운영: 운영 251
4. 편성과 운영: 교수?학습 방법 253
5. 신체운동?건강 256
6. 의사소통 258
7. 사회관계 259
8. 예술경험 262
9. 자연탐구 268
IX.‘신체운동?건강’배경 이론 272
1. 체력의 요소 및 체력의 측정 272
2. 기본적 동작의 유형(Fundamental movement) 273
3. 동작의 기본 요소 275
4. 7대 안전교육 표준안(교통안전) 278
5. 7대 안전교육 표준안(응급처치) 282
6. 유치원 교사를 위한 응급처치의 실제 283
7. 비상연락망 및 응급처치 동의서 284
X.‘의사소통’배경 이론 284
1. 언어의 구조 284
2. 유아기 언어 발달의 특징 284
3. 비고스키(Vygotsky, 러시아, 1896~1934) 285
4. 할리데이(Halliday, 영국 → 호주, 1925~현재) 287
5. 촘스키(Chomsky, 미국, 1928~현재) 288
6. 총체적 언어 접근법 289
7. 동화의 구성요소 291
8. 전래동화와 환상동화의 차이점 294
XI.‘사회관계‘ 배경 이론 295
1. 셀만(Selman)의 사회적 역할수용/조망수용 발달단계 295
2. 유아사회교육의 접근방식: 씨펠트(Seefeldt)와 뱅크스(Banks)의 분류 296
3. 유아사회교육의 교수-학습 모형 298
XII.‘예술 경험‘ 배경 이론 299
1. E. 고든(E. Gordon, 미국, 1927~2015) 299
2. 장단의 종류 306
3. 유아음악교육 활동의 종류 306
XIII.‘자연 탐구’배경 이론 307
1. 유아의 수학적 사고와 지식: 피아제(Piaget) 이론 307
2. 까미와 드브리스 프로그램(Kamii & DeVries Program): 지식의 유형 308
3. 수세기의 원리: 겔만과 갈리스텔(Gelman & Gallistel, 미국) 308
4. 과학적 탐구 기능 3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