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생활환경계열 > 가정학
· ISBN : 9788963304076
· 쪽수 : 413쪽
· 출판일 : 2012-08-30
목차
제1부 건강가정에 대한 이론적 이해
제1장 현대사회와 가족의 변화
1. 현대사회와 가족의 변화
2. 한국 가족의 변화
제2장 건강가정의 개념과 필요성
1. 건강, 가정, 가족 및 가구의 개념
2. 건강가정의 개념
3. 가족학 연구에서 나타난 건강가정의 요소
4. 건강가정에 대한 국내 연구
5. 건강가족적 관점에서의 명제
6. 건강가정의 필요성
제3장 건강가정의 이론적 접근
1. 가족발달론
2. 가족체계이론
3. 가족역동성 모델
4. 가정생산이론
5. 성별 노동분담론
제2부 건강가정 관련 정책과 법
제4장 건강가정정책
1. 건강가정정책의 개념
2. 건강가정정책의 범주, 분류 및 한계
3. 건강가정정책 영역과 관련 법
제5장 건강가정기본법
1. 제정 배경
2. 건강가정기본법의 특수성
3. 건강가정기본법의 조문별 내용
4. 건강가정사업
5. 건강가정사의 자격과 역할
6. 건강가정기본법의 문제점
제6장 다문화가족지원법
1. 제정 배경
2. 다문화가족지원법의 조문별 내용
3. 다문화가족지원법 시행상의 문제점
4. 다문화가족 지원정책의 문제와 방향
제3부 건강가정사업의 전달체계
제7장 건강가정지원센터
1. 건강가정지원센터의 현황
2. 사업 주체별 기능과 역할
3. 건강가정지원센터의 설치 및 운영
4. 건강가정지원센터의 사업
5. 건강가정지원센터의 성과
제8장 다문화가족지원센터
1.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현황
2. 사업 주체별 기능과 역할
3.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운영
4.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사업
5. 다문화가족 방문교육 사업
6. 다문화가족 특성화 사업
7.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사업성과
제9장 건강가정을 위한 기타 복지기관
1. 가족을 위한 기타 서비스 기관
2. 영국의 가족을 위한 서비스 기관의 사례
제4부 건강가정사업의 실제
제10장 건강가정사업의 실무
1. 지역사회 분석
2. 건강가정 요구도 조사
3. 건강가정 프로그램 기획
4. 건강가정사업의 업무처리 및 평가
제11장 건강가정사업에서의 실천기술 및 사례관리
1. 건강가정사업을 위한 기본 실천기술
2. 건강가정사업에서의 사례관리
3. 건강가정사업에서의 사례관리 예
제12장 건강가정사업의 실제
1. 건강가정지원센터의 교육사업
2. 건강가정지원센터의 상담사업
3. 건강가정지원센터의 문화사업
4. 건강가정지원센터의 우수 프로그램 사례
제13장 건강가정 현장실습
1. 건강가정 현장실습
2. 건강가정 현장실습의 운영
3. 현장실습 지도 및 감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