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2024 명교육학 상

2024 명교육학 상

명중호 (지은이)
법률저널
23,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3,000원 -0% 0원
1,150원
21,8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2개 20,45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2024 명교육학 상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2024 명교육학 상 
· 분류 : 국내도서 > 수험서/자격증 > 공무원 수험서 > 교원임용시험 > 교육학
· ISBN : 9788963367484
· 쪽수 : 416쪽
· 출판일 : 2022-12-05

책 소개

무엇보다 한자와 외국어를 병기하여 개념, 정의가 명확히 드러나게 하는데 애를 썼다. 학자들의 이름은 여러 교과서들에서 공통적으로 채택하고 있는 것을 중심으로 원래 발음에 충실할 수 있도록 하면서 반드시 외국어를 병기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였다.

목차

PART 01교육과 교육학
chapter 01. 교육의 이해 2
제1절 교육의 어원 2
1. 동양의 어원 2
2. 서양의 어원 2
제2절 교육의 비유 3
1. 객관주의 교육의 전통 3
2. 구성주의 교육의 전통 4

chapter 02. 교육의 개념과 목적 6
제1절 교육의 개념 6
1. 정범모의 교육 개념 6
2. 피터스(R. Peters)의 교육 개념 7
3. 오크쇼트(M. Oakeshott)의 교육 개념 9
제2절 교육의 목적 10
1. 내재적 목적 10
2. 외재적 목적 10

chapter 03. 교육의 형태 11
제1절 가정교육, 학교교육, 사회교육 11
1. 가정교육 11
2. 학교교육 11
3. 사회교육 11
제2절 평생교육(平生敎育, Life-long Education) 12
1. 평생교육의 개념 12
2. 평생교육의 특징 12
3. 평생교육의 유형 12
4. 평생교육의 유사 개념 13
5. 평생교육의 필요성 15
6. 이론적 접근 15
제3절 영재교육 18
1. 영재교육의 필요성 18
2. 영재교육의 방법 18
제4절 다문화교육(Multi-Cultural Education) 19
1. 개념 19
2. 다문화정책 19
3. 다문화교육의 목표 20
4. 다문화교육의 내용 20

chapter 04. 학교와 교사 21
제1절 학교제도 21
1. 구분 기준 21
2. 학제(學制)의 구분 21
제2절 교사론 21
1. 교직관(敎職觀)의 유형 21
2. 교직의 전문성 22


PART 02교육사
chapter 01. 한국 교육사 26
제1절 삼국시대의 교육 26
1. 삼국시대 교육의 특징 26
2. 고구려의 교육 26
3. 백제의 교육 26
4. 신라의 교육 27
5. 통일신라와 발해의 교육 27
제2절 고려시대의 교육 28
1. 교육의 특징 28
2. 고려의 관학(官學) 29
3. 고려의 사학(私學) 29
4. 고려의 과거제도 30
제3절 조선의 교육 31
1. 조선의 관학(官學) 31
2. 조선의 사학(私學) 31
3. 조선시대의 교육 법규(法規) 및 교육 규범(規範) 32
4. 조선의 과거제도 32
5. 조선의 교육사상 33
제4절 근대의 교육 39
1. 근대의 교육의 시작 39
2. 근대학교의 특징 39
3. 근대학교의 전신 39
4. 갑오개혁(甲午改革)기의 학교제도 39
5. 선교사에 의한 기독교계의 근대학교 40
6. 민간의 근대 학교 40
7. 갑오개혁(1894) 40
8. 교육입국조서(敎育立國詔書, 1895) 41
제5절 일제 식민지 교육 41
1. 특징 41
2. 시기별 특징 42

chapter 02. 서양 교육사 44
제1절 고대의 교육 44
1. 소피스트(Sophist) 44
2. 소크라테스(Socrates, B.C. 479~399) 45
3. 플라톤(Platon, B.C. 427~347) 46
4. 아리스토텔레스(Aristoteles, B.C. 384-322) 47
제2절 제정(帝政) 로마의 교육 49
1. 교육의 특징 49
2. 교육의 내용 49
3. 키케로(Cicero, B.C. 106-43) 50
제3절 중세의 교육 50
1. 기독교 중심의 교육 50
2. 세속 교육 51
제4절 문예부흥기의 인문주의 교육 52
1. 특징 52
2. 인문주의 교육의 유형 53
제5절 근대의 교육 53
1. 실학주의(Realism) 교육 53
2. 계몽주의(啓蒙主義) 교육 55
3. 신인문주의 교육 60


PART 03교육철학
chapter 01. 교육철학의 기초 72
제1절 교육철학의 개념 72
1. 개념 72
2. 분류 72
제2절 전통철학과 교육관 73
1. 이상주의 교육관(Idealism) 73
2. 실재주의 교육관(Realism) 73
3. 자연주의 교육관(Naturalism) 73
4. 실용주의 교육관(Pragmatism) 74

chapter 02. 현대교육철학 75
제1절 진보주의 교육(Progressivism) 75
1. 교육의 특징 75
2. 경험을 통한 교육 75
3. 민주주의 교육 75
4. 교육 방법 76
5. 비판점 76
6. 듀이(J. Dewey, 1859-1952) 76
제2절 본질주의 교육(Essentialism) 80
1. 배경 80
2. 본질주의의 특징 80
3. 본질주의 교육관의 변천 81
4. 비판점 81
제3절 항존주의 교육(Perennialism) 82
1. 배경 82
2. 교육의 원리 82
3. 비판점 82
제4절 재건주의 교육(Reconstructionism) 83
1. 배경 83
2. 교육 이론 83
3. 비판점 83

chapter 03. 20세기 후반의 교육철학 84
제1절 실존주의(Existentialism) 교육철학 84
1. 실존주의의 등장 84
2. 실존주의의 특징 84
3. 실존주의 교육의 특징 85
4. 실존주의 교육의 목적 85
5. 비판점 86
제2절 분석적 교육철학 86
1. 분석철학 86
2. 분석철학의 교육 이론 86
3. 교사의 역할 86
4. 비판점 86
제3절 현상학(Phenomenology) 87
1. 특징 87
2. 메를로-퐁티(Merleau-Ponty) 87
3. 평가 88
제4절 해석학(Hermeneutics) 88
제5절 비판이론(Critical Theory) 88
1. 배경 88
2. 교육이론 89
3. 비판점 89
제6절 포스트모더니즘(Post-Modernism) 89
1. 모더니즘의 특징 89
2. 포스트모더니즘의 등장 89
3. 교육원리 90
4. 비판점 90
제7절 신자유주의 교육 90
1. 개요 90
2. 특징 91
3. 장점 91
4. 단점 91


PART 04교육사회학
chapter 01. 교육사회학의 기초 94
1. 사회학(Sociology)의 성립 94
2. 교육사회학의 성립 94
3. 교육사회학의 개념 94
4. 교육사회학의 연구 영역 95
5. 교육사회학의 연구 방법 95

chapter 02. 교육사회학의 고전 이론 97
제1절 기능이론(Functionalism) 97
1. 기능이론의 개요 97
2. 기능이론의 전개 98
3. 기능이론의 주요 이론 100
제2절 갈등이론 105
1. 갈등이론의 전개 과정 105
2. 갈등론적 교육관 109
3. 주요이론 110
4. 갈등이론에 대한 평가 116
5. 기능이론과 갈등이론의 비교 116
제3절 상징적 상호작용이론(Symbolic Interaction) 117
1. 개요 117
2. 미드(G. H. Mead)의 일반화된 타자(Generalized Other) 117
3. 쿨리(G. Cooley)의 거울 자아(Looking Glass Self) 118
4. 블루머(Herbert Blumer) 119

chapter 03.신교육사회학(New Sociology of Education) 120
제1절 신교육사회학의 전개 과정 120
1. 특징 120
2. 영국의 해석학적 접근 120
3. 미국의 교육과정 사회학(Sociology of Curriculum [School Knowledge]) 124
제2절 신교육사회학의 이론들 125
1. 부르디외(Bourdieu)의 문화적 재생산론(Cultural Reproduction) 125
2. 윌리스(Willis)의 저항이론(Resistance Theory) 126
3. 하그리브스(Hargreaves)의 상호작용론(Interaction Theory) 128
4. 맥닐(L. McNeil)의 방어적 수업(Defensive Teaching) 128
5. 왈라스(A. Wallace)의 교육과정 우선순위의 변화 과정 129

chapter 04. 사회이동과 교육 131
제1절 사회이동의 기초 131
제2절 사회이동과 교육체제 131
1. 터너(Turner)의 교육체제 연구 131
2. 호퍼(Hopper)의 유형론 132
제3절 사회이동에 관한 관점 132
1. 기능 이론적 관점 132
2. 갈등 이론적 관점 133
3. 무효과론 134

chapter 05. 교육과 사회평등 136
제1절 교육평등의 관점 136
1. 일반적인 평등 개념의 분류 136
2. 교육평등관의 변천과 구분 136
3. 교육평등의 원리 137
4. 교육평등관의 분류 138
제2절 교육격차 140
1. 교육격차를 보는 관점 140
2. 교육격차의 설명 모형 140
3. 주요 이론 140

chapter 06. 청소년 비행문화론(非行文化論, Delinquent Culture) 144
제1절 비행문화론의 개요 144
1. 개념 144
2. 유형의 분류 144
3. 비행 행동의 예방과 지도 145
제2절 비행에 관한 사회학적 이론 145
1. 아노미 이론(Anomie Theory) 145
2. 사회통제 이론(社會統制理論, Social Control Theory) 145
3. 차별 접촉(연합) 이론(差別接觸理論, Differential Association Theory) 146
4. 낙인이론(烙印理論, Labeling Theory) 146
5. 비행하위문화이론(非行下位文化理論, Delinquent Sub- culture Theory) 147
6. 중화이론(中和理論, 편류(偏流)이론, Techniques of Neutralization Theory) 147


PART 05교육심리학
chapter 01. 교육심리학 개요 150
제1절 교육심리학의 특징 150
1. 개념 150
2. 일반 심리학과의 비교 150
제2절 교육심리학의 주요 이론 151
1. 정신분석학 151
2. 행동주의 심리학 151
3. 사회학습이론 151
4. 인지심리학 151
5. 인본주의 심리학 152

chapter 02. 개인의 지적 특성 153
제1절 지능(Intelligence) 153
1. 개념 153
2. 지능검사(Intelligence Test) 153
3. 고전적 지능 이론 : 지능의 구성 요인 155
4. 대안적 지능이론 158
5. 정서지수(감성지수, Emotion Quotient) 165
6. 지능 개념의 변화와 교육적 의미 167
제2절 창의성(Creativity) 168
1. 개요 168
2. 창의성 계발 기법 171
제3절 인지 양식(Cognitive Style) 178
1. 개념 178
2. 인지 양식의 유형 178
제4절 초인지(상위인지, Meta-Cognition) 183
1. 개념 183
2. 초인지 학습자의 특징 183
3. 구성 요소 183
4. 초인지의 기술 183
5. 초인지 수업의 전략 184
6. 초인지 수업의 구체적 전략 184
제5절 사고(事故, Thinking)와 문제해결전략 185
1. 사고(思考)의 개념 185
2. 문제의 유형 185
3. 사고의 과정 : 문제 해결 과정 185
4. 문제해결전략 185

chapter 03. 개인의 정서적(정의적) 특징 187
제1절 동기(Motivation) 187
1. 개념 187
2. 동기의 특징 187
3. 동기에 대한 이론적 접근 188
제2절 학습동기(Motivation to Learn) 189
1. 개요 189
2. 고전적 학습동기 이론 190
3. 인본주의 학습동기 이론 191
4. 인지주의 학습동기 이론 192
5. 기대×가치 이론(Expectancy×Value Theory) 200
6. 자기 개념과 학습동기 203
7. 성취동기 이론(Achievement Motivation) 206
8. 학습동기의 유발 요소 208
9. 동기 설계 이론 : 켈러(Keller)의 동기유발전략(ARCS 모형) 209

chapter 04. 개인의 발달(Development) 212
제1절 발달의 개념과 원리 212
1. 발달의 개념 212
2. 발달의 요소 212
3. 발달의 기본 성격 212
4. 발달의 원리 213
5. 발달의 영역 213
6. 발달의 쟁점 214
제2절 인지발달이론(Cognitive Development Theory) 214
1. 인지발달이론의 특징 214
2. 피아제(Piaget)의 인지발달이론 215
3. 비고츠키(Vygotsky) 인지발달이론 217
4. 케이즈(Case)의 실행 제어 구조 이론(Executive Control Structure) 222
5. 파스쿠알-레오네(J. Pascual-Leone)의 구성적 조작 이론(TOC, Theory of Constructive Operators) 224
제3절 성격 발달 이론 224
1. 프로이트(Freud)의 성격 발달 이론 224
2. 에릭슨(Erikson)의 심리사회적 성격발달이론 228
3. 마르시아(J. Marcia)의 정체성 지위 이론(正體性 地位 理論, Identity Statuses Theory) 231
4. 브론펜브레너(Bronfenbrenner)의 생물생태학적 발달 이론(Bioecological Development) 233
5. 셀만(Selman)의 사회적 조망 수용 이론(Social Perspective Taking, 사회인지 발달 이론) 236
제4절 도덕성 발달 이론 238
1. 피아제(Piaget)의 도덕성 발달 이론 238
2. 콜버그(Kohlberg)의 도덕성 발달 이론 243
3. 길리건(Carol Gilligan) 248
4. 나딩스(Noddings) 251
5. 튜리엘(Turiel)의 사회영역이론(Social Cognitive Domain Theory) 255
6. 가치명료화 접근(Values Clarification Approach) 258

chapter 05. 학습이론(Learning Theory) 261
제1절 학습의 정의 261
제2절 행동주의 261
1. 학습의 원리 261
2. 고전적 조건화 이론(Classical Conditioning) 262
3. 스키너(Skinner)의 조작적 조건화(Operant Conditioning, 작동 조건 형성) 264
제3절 반두라(Bandura)의 사회인지 학습이론(Social Cognitive Learning Theory) 270
1. 상호결정론 270
2. 주요 개념 271
3. 관찰학습의 과정 271
4. 관찰학습의 유형 272
5. 자기효능감 272
6. 자기조절(Self-Regulation, 자기규제) 273
7. 교육적 적용 273
제4절 인지주의 학습이론(Cognitive Learning) 274
1. 개요 274
2. 형태주의 이론(Gestalt Theory) 274
3. 정보처리이론(Information Processing Theory) 278
4. 스키마(도식, Schema, Scheme, Schemata) 이론 285
5. 인지부하이론(Cognitive Load Theory) 286
제5절 학습의 전이(轉移, Transfer) 288
1. 개념 288
2. 전이의 유형 289
3. 학습의 전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289
4. 전이이론 290
5. 전이를 촉진하는 수업 291
제6절 학습과 불안 291
1. 불안의 성격 291
2. 불안과 학습의 관계 292


PART 06생활지도와 상담
chapter 01. 생활지도(Guidance) 296
1. 생활지도의 개념 296
2. 생활지도의 목표 296
3. 생활지도의 성격 296
4. 생활지도의 원리 297
5. 생활지도의 주요영역 298

chapter 02. 상담(Counseling) 300
제1절 상담의 기초 300
1. 상담의 목표 300
2. 상담과 생활지도 300
3. 상담의 구분 300
4. 상담의 기본원리 301
5. 상담의 조건 301
6. 래포(Rapport) 302
제2절 상담의 활동 303
1. 상담 활동의 목적 303
2. 상담의 기법 304

chapter 03. 상담이론 306
제1절 상담이론의 분류 306
1. 상담기법에 따른 분류 306
2. 상담영역에 따른 분류 306
제2절 정신분석학적 상담이론 307
1.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이론 307
2. 아들러(Adler)의 개인심리 상담이론 309
제3절 행동주의 심리학 314
1. 개념 314
2. 고전적 조건 형성에 기초한 상담기법 314
3. 조작적 조건 형성에 기초한 상담 기법 315
4. 행동수정의 단계 315
5. 행동주의 심리학(행동치료)의 공헌과 비판 315
제4절 인본주의 관점 316
1. 실존주의 상담이론 316
2. 로저스(Rogers)의 인간중심 상담이론 317
3. 게슈탈트(Gestalt, 형태주의) 상담이론 319
4. 번(E. Berne)의 상호교류 분석이론(TA, Transaction Analysis) 323
제5절 인지행동치료(Cognitive Behavior Therapy) 329
1. 인지행동치료의 특징 329
2. 인지행동치료 기법 329
3. 주요 이론들 330
제6절 기타 이론 336
1. 해결 중심 단기상담(SFBC, Solution Focused Brief Counseling) 336
2. 글래서(Glasser)의 현실치료 상담이론(Reality Therapy) 338
제7절 진로교육 및 진로상담 339
1. 진로상담의 특징 339
2. 진로교육의 목적 339
3. 진로상담 이론 340
제8절 집단상담 346
1. 개념 346
2. 목적 346
3. 장점 및 단점 346
제9절 학교상담 347
1. 개요 347
2. 종합적 학교상담 모형 347
3. 학교상담의 영역과 목적 347


PART 07교육연구 및 교육통계
chapter 01. 교육연구의 과학적 접근 352
제1절 교육연구의 개요 352
1. 교육연구의 의미 352
2. 교육연구의 역할 352
제2절 교육연구의 종류 352
1. 연구 목적에 따른 분류 352
2. 연구 내용에 따른 분류 353
제3절 질적(質的) 연구의 특징과 유형 353
1. 질적 연구의 특징 353
2. 질적 연구의 필요성 354
3. 질적 연구의 유형 354
제4절 교육연구의 절차 355
1. 연구 문제의 설정(문제의 제기) 356
2. 연구 문제의 분석 356
3. 연구 설계(연구 계획 수립) 356
4. 자료의 수집 356
5. 자료의 분석 357
6. 해석 및 평가 357
7. 결과 보고 357
제5절 교육연구의 주요 개념 357
1. 변수(變數, 변인(變因), Variable) 357
2. 가설(Hypothesis) 358
3. 표본조사(Sample Survey)와 표본추출(Sampling) 359
4. 표본추출(표집)의 방법 359
제6절 실험연구(Experimental Research) 362
1. 특징 362
2. 연구의 유형(실험연구와의 비교) 362
3. 주요 개념 362
4. 실험연구의 타당도(Validity) 363
5. 실험설계(Experimental Design) 367
6. 가설의 검증(Hypothesis Testing) 369
chapter 02. 교육통계 372
제1절 교육통계의 개념 372
제2절 교육통계의 내용 372
1. 척도(尺度, Scale) 372
2. 집중경향치(集中傾向値, Central Tendency) 374
3. 변산도(變散度, 산포도[散布度], Variability) 375
4. 정규분포곡선(정상분포곡선, Normal Distribution Curve) 376
5. 원점수와 규준점수 377
제3절 통계분석(가설검증의 방법) 380
1. 상관관계(Correlation) 380
2. 상관관계분석(Correlation Analysis) 380
3. Z검증(Z Test)과 t검증(t Test) 381
4. 변량분석(變量分析, 분산분석, ANOVA, Analysis of Variance) 382
5. 회귀분석(回歸分析, Regression Analysis) 383
6. 요인분석(要因分析, Factor Analysis) 384
7. X²검증(카이자승법, Chi-Square Test) 384

저자소개

명중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에서 정치철학, 정치사회학, 행정학을, 추계예술대학교에서 예술교육과 예술이론을 전공하였다. 월간 <서울사랑>의 편집장을 역임하였고, 서울시교육청 교과서 발간 전문위원으로 활동하였다. 아리스토텔레스와 피터스의 교육철학을 반영한 1권의 책, 교육사회학, 발달심리학, 인지심리학적 관점에서 쓴 또 1권의 책을 출간하였다. 현재 <지식회사 바다와섬> 대표로 인문학 및 교육 관련 활동을 펼치고 있다. _ 연세대학교 학부, 석사 졸업 / 박사과정 수료 _ 추계예술대학교 박사과정 수료 _ 연세대학교 석사학위 최우수논문상 수상 (현) 지식회사 바다와섬 대표 (현) 플라마 플라멩코 무용단 부단장 (전) 서울시교육청 교과서 발간 전문위원 (전) 도덕윤리 교과 전임교수 저 서 <예술가처럼 키워라>(2015) <나는 아이에게 미안해하지 않기로 했다>(2017) <명중 전공도덕윤리 기본서>(2018) <전공도덕윤리 기출문제집>(2019) <2021학년도 교원임용 시험대비 명교육학>(2020) <2022학년도 교육학 기본서 명교육학>(2021) youtube : 명교육학TV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