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고고학/인류학
· ISBN : 9788963471976
· 쪽수 : 368쪽
· 출판일 : 2014-10-31
책 소개
목차
한국어판을 내면서 _ 3
글을 옮기면서 _ 5
제1부 서설
제1장 선진 성시 연구사 15
1 제1기(1928~1943): 현지 조사 자료의 기초적인 축적 단계 16
2 제2기(1950~1976): 대규모의 야외 조사와 기초적인 연구 단계 18
3 제3기(1977년 이후): 야외 조사의 진전과 전면적.계통적 연구 단계로의 진입 20
제2장 연구 방법 및 개념 27
1 연구 방법 27
2 성시의 개념 28
제3장 선진 성시의 발달 단계 32
1 개시기: 앙소 후기에서 용산시대까지(5,500~4,000년 전의 동석병용시대)33
2 확립기: 하.상.서주시기(기원전 21세기~771년) 34
3 전형기: 춘추.전국시대(기원전 770~221)35
제2부 중국 성시의 기원 및 초기 형태 ―성지가 중심인 용산시대 취락형태의 고찰
제1장 초기 성지의 고고학적 발견 41
1 황하 중.하류지구 41
2 내몽고 중.남부지구 51
3 장강 중류지구 58
4 장강 상류지구 63
5 장강 하류지구 66
제2장 분구별 성지 중심의 취락 형태 고찰 70
1 황하 중류지구 71
2 황하 하류지구 80
3 내몽고 중남부지구 87
4 내몽고 동부지구와 요서지구 88
5 장강 중류지구 89
6 장강 상류지구 93
7 장강 하류지구 95
제3장 성시의 초기 형태와 문명의 형성 99
1 성시 발생 및 초기 발전 궤적의 분석 99
2 초기 성시의 발생 과정과 그 성격 102
3 초기 성시와 문명의 형성 105
제3부 하.상.서주시기 성시의 특징
제1장 성시의 고고학 분석 111
1 왕조 도성지 111
2 방국 성지 136
3 주변 방국 부족 성지 145
4 각종 성지 형태의 종합 분석154
제2장 삼대 성시의 특징 및 관련 문제의 해석 157
1 성시의 표지 158
2 성시의 배치 162
3 성벽의 유무와 기능 164
제4부 춘추.전국시대 성시의 변형과 발전
제1장 성시의 고고학 분석 171
1 주요 열국 도성지 171
2 일반 성시와 군사성보 209
3 성지 형태에 관한 종합 분석 226
4 춘추시대에서 전국시대까지 도성 배치의 변화 228
제2장 성시의 변형과 발전 및 그 사회적 의의231
1 대규모 축성 사업의 전개 231
2 성곽 배치의 형성237
제5부 선진 성시에서 진.한시대 성시로 계승과 발전
제1장 도성 건조 제도의 특징 245
제2장 전국적 성시 체계의 형성256
부록 259
〈별표 1〉 앙소 ― 용산시대 성지 일람 261
〈별표 2〉 하상서주 도성 및 기타 성지 일람 264
〈별표 3〉 춘추 전국 성지 일람266
〈별표 4〉 문헌에 보이는 춘추시대 여러 나라의 축성 일람 289
〈별표 5〉 문헌에 보이는 전국시대 여러 나라의 축성 일람 292
보론: 대도무성(大都無城) ― 중국 고대 도성의 초기 형태에 대하여 294
선진 성시 고고 주요 논저 목록(1998-2013) 323
참고문헌 341
찾아보기 36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