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수험서/자격증 > 산업인력관리공단 > 공인노무사 > 2차 과목
· ISBN : 9788964241219
· 쪽수 : 542쪽
· 출판일 : 2013-11-15
목차
제1장 노사관계론의 기초개념 … 11
제1절 노사관계론의 의의 … 13
제2절 노사관계의 기본구조 … 16
제3절 노사관계관리의 목적 … 19
제4절 노사관계의 원리 … 21
제5절 노사관계의 발전형태 … 22
제6절 민주적 노사관계의 제 형태 … 24
제7절 노사관계시스템 … 26
제2장 노사관계론의 접근방법 … 31
제1절 노사관계의 이론적 접근방법 … 33
제2절 노사관계의 학제적 접근방법 … 34
제3절 노사관계론의 연구방법 … 35
제3장 노동시장론 … 37
제1절 노동시장의 본질 … 39
제2절 노동시장의 형태 … 42
제3절 노동시장의 수요와 공급 … 44
제4절 노동시장 정책 … 49
제4장 노동조합 이론 … 57
제1절 노동조합의 의의 … 59
제2절 노동조합의 기능 … 60
제3절 노동조합의 역할 … 63
제4절 노동조합의 가입방법과 조합비 징수 … 63
제5절 노동조합의 유형 … 65
제6절 노동조합의 설립과 운영 … 69
제5장 단체교섭이론 … 81
제1절 단체교섭의 개념 … 83
제2절 단체교섭의 과정과 절차 … 88
제6장 단체협약이론 … 91
제1절 단체협약의 의의 … 93
제2절 단체협약의 특성 … 93
제3절 단체협약의 당사자 … 95
제4절 단체협약의 내용과 효력 … 96
제5절 단체협약의 관리 … 100
제7장 부당노동행위 … 107
제1절 부당노동행위의 개념 … 109
제2절 부당노동행위의 유형 … 110
제3절 부당노동행의 구제제도의 특성 … 113
제4절 부당노동행위의 성립 … 115
제5절 부당노동행위 구제제도 … 118
제6절 부당노동행위의 구제방법 … 118
제7절 경영상 이유에 의한 해고의 제한 … 120
제8장 노동쟁의이론 … 123
제1절 노동쟁의의 의의 … 125
제2절 쟁의행위의 요건 … 125
제3절 쟁의권보장과 근거 … 127
제4절 쟁의행위의 제한과 금지 … 128
제5절 쟁의행위의 유형 … 128
제6절 노동쟁의조정제도 … 142
제9장 노사협의제도 … 149
제1절 노사협의제도의 의의 및 필요성, 성격 … 151
제2절 노사협의제의 효과 … 153
제3절 우리나라 노사협의회의 특징 … 153
제4절 근로자참여 및 협력증진에 관한 법률의 주요 내용 … 153
제5절 우리나라 현행 노사협의제도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 157
제10장 경영참가이론 … 161
제1절 기본 개념 … 163
제2절 경영참가제도의 등장과 유형 … 165
제3절 경영참가제도의 유형 … 166
제4절 경영참가의 이슈 … 167
제5절 경영참가제도의 관리관행 … 168
제11장 근로생활의 질(QWL) … 187
제1절 의의 … 189
제2절 QWL과 노사관계와 노사의 태도 … 190
제3절 QWL에 대한 노사 당자사의 태도 … 191
제4절 QWL의 도입과 실용화 방안 … 192
제5절 QWL프로그램의 유형 … 193
제6절 QWL 수준의 측정항목 … 196
제12장 임금관계 쟁점 … 199
제1절 총액임금제 … 201
제2절 노사공동체 형성을 위한 임금의 결정 … 202
제3절 생산성 임금제도 … 206
제4절 우리나라 임금제도의 개선방향 및 최근 이슈 … 209
제13장 복지후생의 쟁점 … 219
제1절 개념 … 221
제2절 지식정보화시대의 기업복지 … 221
제3절 새롭게 등장하는 기업복지의 이슈 … 223
제4절 복지후생관리의 바람직한 방향 … 225
제14장 노사분규의 원인과 해결 … 227
제1절 노사분규의 기본개념 … 229
제2절 노사갈등의 원인 … 229
제3절 노사분규의 의의와 발생원인 … 230
제4절 파업결정이론 … 231
제5절 노사분규의 해결과 예방 … 233
제15장 노사관계의 과제 … 237
제1절 비노조기업의 노사관계 … 239
제2절 공무원의 단결활동 … 243
제3절 교원의 노사관계 … 246
제4절 한국기업의 해외진출국 노사관계 … 250
제16장 21세기 새로운 노사관계 정립 방향 … 263
제1절 상생의 산업평화적 노사관계의 정립 … 265
제2절 새로운 노사관계 발전좌표 … 265
제3절 새로운 노사관계 정립을 위한 노사 정의 역할 … 266
제4절 새롭고 바람직한 노사관계 구성 … 267
제5절 한국노사관계의 전망과 발전방향 … 268
제17장 근로기준법 개관 … 275
제1절 노동법의 개념 … 277
제2절 노동법의 기본이념 … 278
제3절 노동기본권 … 285
제18장 근로기준법 … 293
제1절 총설 … 295
제2절 근로계약 … 306
제3절 임금 … 334
제4절 근로시간과 휴식 … 347
제5절 여성 소년의 보호와 기능습득 … 360
제6절 재해보상 … 368
제7절 취업규칙과 기숙사 제도 … 378
제8절 근로기준법의 실효성 확보 … 384
부록
집단적노사관계법/개별적근로관계법 분야 토픽별 정리 … 391
취업규칙 … 415
노동관계법령 … 440
경영지도사 노사관계론 기출문제 모음 … 537
실전 모의고사 문제 … 540
경영지도사 시험제도 안내 … 5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