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수험서/자격증 > PSAT (행정고시) > 상황판단
· ISBN : 9788964791875
· 쪽수 : 660쪽
· 출판일 : 2014-07-25
목차
PART 01 학습방법론
PSAT 상황판단 학습방법론 3
PART 02 언어제시형
제1장 언어영역 11
1. 인지활동별 연습 11
(1) 일치/부합형 13
(2) 추론/유추형 24
(3) 판단형 40
(4) 논증 분석형-논지와 논거 57
(5) 반박과 비판 74
2. 소재별 연습 89
(1) 인문영역 90
(2) 사회영역 96
(3) 과학기술영역 106
(4) 법/정책/제도영역 124
(5) 고전영역 140
PART 03 법률형
제1장 법률영역 173
1. 논리구조별 연습 179
(1) 법조문 제시형 180
(2) 법조문 설명형 200
(3) 사실관계 제시형 208
(4) 종합적 판단형 218
(5) 수리계산형 232
(6) 논리퀴즈형 260
2. 소재별 연습 268
(1) 헌 법 268
(2) 행정법 278
(3) 민 법 288
(4) 상 법 298
(5) 국제관계 306
PART 04 수리형
제1장 수리영역 317
1. 상황 분석 317
(1) 단순 연산 320
(2) 대수 연산 353
(3) 이산수학 366
(4) 확률 연산 370
(5) 투 표 378
(6) 경 로 392
(7) 그래프 400
제2장 의사결정 415
(1) 확실성 하에서의 의사결정 416
(2) 불확실성 하에서의 의사결정 440
(3) 이해관계가 상충하는 상황 하에서의 의사결정 453
PART 05 논리퀴즈형
제1장 퀴즈영역 467
1. 배열하기/순서 정하기 467
2. 배치하기/배정하기 496
3. 연결하기(일대일 대응) 532
4. 참/거짓 557
5. 경기결과/규칙 572
6. 조건 부합 592
7. 수학적 퍼즐 634
저자소개
책속에서
[머리말]
수험생 여러분, 안녕하세요? 상황판단 강태길 강사입니다.
이 글을 읽으시는 많은 수험생들은 아마 걱정 반, 기대 반의 심정이시겠죠? 한편으로는 수험생활에 대한 걱정도 있을 것이고, 한편으로는 이 책을 통해 어떤 공부를 하고 어떻게 실력을 향상시켜갈지에 대한 기대도 있을 것입니다. 저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이 책을 통해서, 그리고 학원 실강을 통해서 여러분들을 만난다는 사실에 대한 기대감도 있지만, 상황판단이라는 어려운 과목을 여러분들에게 어떻게 소개하고 도움을 드려야 할지에 대한 걱정이 먼저 앞서는 것이 사실이군요. 이 책은 그러한 여러분과 저의 걱정에 대한, 저 나름대로의 최선의 해답을 제시하기 위해 만들어졌습니다.
이 책은 상황판단 과목이 지식 평가 시험이 아니라 적성 평가 시험이라는 전제 하에, 제가 수년간 성인들을 대상으로 한 적성시험에 대해 고민하고 연구하고 강의하면서 쌓아온 노하우들을 집약해 놓은 책입니다. 따라서 이 책을 통해서 저의 강의철학을 공유하고, 저의 학습방법론을 체화해 나가신다면, 반드시 자신이 원하는 목표를 달성하실 수 있으리라 확신합니다.
구체적으로, 본 교재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구성되었습니다.
첫째, 수록된 모든 문제는 100% 핵심 기출문제들로 구성되었습니다.
수험생들에게 기출문제보다 더 좋은 연습상대는 없다는 것이 저의 신념입니다. 물론 이 기출문제들의 스펙트럼은 비교적 넓어서, 행·외시 상황판단 문제뿐만 아니라 입법고시, 견습직원선발 상황판단 문제들도 포함하고 있으며, LEET(Legal Education Eligibility Test, 법학적성시험) 추리논증 과목 문제들도 다수 포함하고 있습니다. 그 이유는 원래 LEET 시험 자체가 PSAT 시험을 본 따서 만들어진 것이기 때문에, 소재와 문제 구성이 매우 유사하기 때문이다.
둘째, 학습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독창적인 문항분류 방식을 채택하였습니다.
사실 상황판단이 상황의 이해, 추론 및 분석, 문제해결, 판단과 의사결정 등의 능력을 검정한다고 해서 문제를 상황의 이해 문제, 상황의 분석 문제, 문제해결 문제 등등으로 분류하는 것은 별 의미가 없습니다. 왜냐하면 위의 평가 항목들은 확연하게 구분되는 것이 아닐 뿐더러 한 문제 안에 융합되어 있는 경우들이 많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상황의 이해 문제를 집중적으로 푼다고 해서 상황에 대한 이해력이 향상되는 것도 아닙니다. 오히려 수험생들 입장에서는 문제가 가지고 있는 논리적 구조가 무엇인가, 그리고 문제의 소재가 무엇인가 하는 점이 문제의 체감난이도를 다르게 만들고, 그것이 다시 문제풀이를 위한 인지활동이 적절히 일어나는지 여부를 결정합니다. 따라서 본 교재에서는 각 문항들을 네 개의 큰 범주(언어, 법률, 수리, 퀴즈)로 나누고, 그 안에서 각 기출문제들을 논리적 구조와 소재, 그리고 요구되는 인지활동의 종류에 따라 다시 세분화하였습니다. 따라서 수험생들은 본 교재로 공부하면서 자신이 어떤 부분에 강점과 약점을 가지고 있는지 쉽게 파악하고 대책을 세울 수 있을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수험생 여러분들께 다음 사자성어를 소개해 드리고 싶습니다.
호시우보(虎視牛步)!
이는 호랑이처럼 보고 소처럼 걷는다는 뜻인데, 수험생에게 매우 의미 있는 말이라고 생각합니다. 성공적인 수험생활을 위해서는, 호랑이가 사냥감을 응시하듯이 목표를 냉철하고 집중력 있게 바라보아야 하며, 소가 목표를 향해 걸어가듯이 멈추지 않고 꾸준한 걸음을 내디뎌야 할 것입니다.
모쪼록 이 책으로 공부하시는 모든 수험생들이 호시우보의 자세를 견지하고, 최종적으로 자신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기를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
2014년 7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