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수험서/자격증 > 공무원 수험서 > 교원임용시험 > 중등 전공
· ISBN : 9788964794739
· 쪽수 : 416쪽
· 출판일 : 2020-01-08
책 소개
목차
Chapter 01 언어습득과 학습에 대한 세 가지 접근법
1. 행동주의/구조주의 접근법 (Behavioral Approach) 16
2. 인지주의/생득주의 접근 (The Nativist Approach) 20
3. 기능주의적 접근법 (Functional Approaches) 25
Chapter 02 제2언어 습득 모형
Ⅰ. 생득주의 모델 (An Innatist Model: Krashen’s Input Hypothesis; the Monitor Model) 43
1. 핵심 개념 43
2. 모니터 모델의 5가지 가설 44
3. Krashen’s Input Hypothesis의 한계 및 비난 47
Ⅱ. 인지주의 모델 (Cognitive Models: Attention-Processing Model; Information processing) 50
1. 핵심 개념 50
2. 정보처리 방법과 주의집중에 따른 외국어 학습의 4개 범주 분류 51
3. 인지주의 모델 (Bialystok’s Implicit and Explicit Models) 52
4. 출력 가설 (Swain and Lapkin’s Output Hypothesis) 55
5. Schmidt’s Noticing Hypothesis 56
Ⅲ. 사회 구성주의적 모델 (A Social Constructivist Model: Long’s Interaction Hypothesis) 59
1. 언어 학습에 대한 의식의 변화 59
2. 상호작용 가설 (Long’s Interaction Hypothesis) 60
Chapter 03 언어 분석
1. 대조분석 가설 (Contrastive Analysis) 69
2. 오류분석 및 학습자 언어 (Error Analysis and Interlanguage) 70
3. 학습자 언어 73
4. 담화 분석 (Discourse Analysis) 77
5. 대화 분석 (Conversation Analysis) 83
Chapter 04 교수법
Ⅰ. 전통적 교수법 (Traditional Approaches) 88
1. 문법번역식 교수법 (The Grammar-Translation Method) 88
2. Gouin and the Series Method 89
3. 직접 교수법 (The Direct Method) 90
4. 청화식 교수법 (The Audiolingual Method) 92
5. Types of Drills 95
6. Situational Language Teaching 98
7. The Cognitive Approach 98
Ⅱ. 혁신적인 접근법 (Innovative Approaches) 99
1. Humanistic Approach 99
2. 암시 교수법 (Suggestopedia) 101
3. 침묵 교수법 (The Silent Way) 104
4. Comprehension-based Approaches (Modern Adaptation of the Direct Method) 106
5. The Natural Approach 111
Ⅲ. 의사소통 접근법 (Communicative Approach) 114
1. 의사소통 언어교수법 (Communicative Language Teaching) 114
2. Learner-centered instruction 121
3. PPP Approach 122
4. Task-Based Language Teaching 128
5. Content-Based Instruction 133
6. Lexical Approach 136
7. Multiple Intelligence Language Learning 144
8. Experiential Learning 148
9. The Episode Hypothesis 150
10. Whole Language Learning 151
11. 원리에 의한 교수 (Twelve Principles-Teaching by Principles) 152
Chapter 05 교수과정 설계 및 교수 요목
1. 교육과정 설계 과정 (Curriculum development) 158
2. The Product- vs. Process-oriented Syllabus 160
3. Product-oriented syllabuses 161
4. Process-oriented syllabuses 164
5. The Synthetic Syllabus vs. The Analytic Syllabus 165
Chapter 06 교재 개발과 평가
1. Good Materials의 특징 (Nunan, 1988) 168
2. Good Material Development의 네 가지 고려 사항 168
3. Material Evaluations 170
4. Principles Motivating Change 174
5. Material Adaptation Techniques 174
Chapter 07 학습자 변인
Ⅰ. 결정적 시기 (The Critical Period) 179
Ⅱ. 학습 스타일 (Learning style) 180
Ⅲ. 전략 (Strategies) 185
1. 학습 전략 (Learning Strategies-O’Malley) 185
2. 의사소통 전략 (Communication Strategies) 187
3. 직접ㆍ간접전략 (Direct/Indirect Strategies-Rebecca L. Oxford) 190
Ⅳ. 정의적인 영역 (Affective domain) 198
1. 자아존중 (Self-Esteem) 198
2. 자기 효능 이론 (Attribution Theory and Self-efficacy) 199
3. 의사소통 의지 (Willingness to Communicate) 199
4. 자아 방어기제 (Inhibition) 200
5. 모험시도 (Risk-taking) 201
6. 불안감 (Anxiety) 201
7. 감정이입 (Empathy) 203
8. 외향성과 내향성 (Extroversion & Introversion) 203
Ⅴ. 동기 (Motivation) 204
Ⅵ. 사회ㆍ문화적 요인 (Sociocultural Factor) 207
1. 문화변용 (Second Culture Acquisition ? Acculturation) 207
2. 사회적 거리 (Social Distance) 208
3. Sapir-Whorf Hypothesis 209
Chapter 08 듣기 지도
1. Listening Comprehension in Pedagogical Research 214
2. Types of Spoken Language 214
3. Bottom-up Processing vs. Top-down Processing 215
4. Schema Theory 218
5. 듣기를 어렵게 만드는 이유 (What Makes Listening Difficult?) 219
6. 진정성 있는 듣기 자료의 특징 (Features of Real World Listening Input) 222
7. Authentic Materials 사용의 장단점 223
8. Types of Classroom Listening Performance 224
9. 듣기 지도의 원칙 (Principles in Teaching Listening) 228
10. 빈출 듣기 활동 정리 234
Chapter 09 읽기 지도
1. Comprehension Processing의 두 가지 방식 240
2. 읽기 지도 Principles 243
3. 읽기 교재의 선택 기준 249
4. 읽기 전략 (Reading Strategies) 250
5. 목적에 따른 읽기 활동 분류 (Type of Classroom Reading Performance) 254
6. 3단계 읽기 학습 절차 256
7. 이해도 단계 (Types of Question) 257
Chapter 10 말하기 지도
1. Oral Communication Skills in Pedagogical Research 264
2. 말하기 지도 원리 266
3. 목적에 따른 말하기 활동의 분류 (Types of Classroom Speaking Performance) 267
4. 효과적인 말하기 활동의 조건 (Creating Optimal Conditions in the Classroom) 268
5. 말하기 활동의 상호작용 패턴 및 고려사항 269
6. A Form-focused vs. Meaning-focused Approach 272
7. 유창성 배양의 조건 (The Criteria Necessary for Achieving Fluency) 274
8. 유창성 기반 (Message-oriented) 활동 275
9. 유창성 배양을 위한 과업의 종류 (The Types of Gap Tasks) 277
10. 과업 중심의 활동의 단점 (Weaknesses of Gap Tasks) 280
11. 과업의 활동별 분석 (A Typology of Tasks) 280
12. 교실 담화 패턴 (Teacher-student Interaction Patterns) 281
Chapter 11 발음 지도
1. 발음 지도법의 변화 284
2. 발음 지도 원리 287
3. The Debate about Intelligibility 288
4. 발음 수업의 5단계 (The Pronunciation Instruction in Five Stages) 289
Chapter 12 쓰기 지도
1. Product vs. Process Oriented Approach to Teaching Writing 293
2. 과정 중심의 글쓰기 접근법의 지도 절차 296
3. 과정 중심의 접근법에서 사용하는 활동 297
4. 목적에 따른 글쓰기의 종류 (Type of Classroom Writing Performance) 299
5. 글쓰기 지도의 원칙 303
6. 글쓰기 피드백 제공 (Correction Procedures) 306
Chapter 13 문법 지도
1. 문법 지도에 대한 시대적 접근법 (Approaches to form) 309
2. Grammatical consciousness-raising 310
3. Deductive vs. Inductive approaches 311
4. The Role of Explicit Knowledge 313
5. Consciousness-raising tasks 314
6. Form에 대한 학습자 의식을 불러일으키는 Tasks 316
7. The Garden Path strategy 322
8. 오류 수정 (Negative Feedback) 323
Chapter 14 어휘 지도
1. 단어 학습의 두 형태 328
2. 단어 지도 Techniques and Tasks 328
3. Corpus, Collocation & Concordance 332
4. Keyword Method 333
5. 단어의 종류 334
6. Syntagmatic vs. Paradigmatic Relations의 비교 335
Chapter 15 멀티미디어 언어 학습
1. Computer-assisted Language Learning (CALL) 336
2. CALL 교실 활동 Techniques and Tasks 337
3. CALL이 제공하는 언어 학습의 혜택 338
4. 컴퓨터 언어 교육의 유형 338
5. 인터넷을 이용한 언어 학습 342
Chapter 16 언어 평가
1. 평가의 구비 요건 346
2. 평가 목적별 평가 354
3. 평가 유형 356
4. 통합 평가 문항의 종류 357
5. 대체 평가 (Alternative Assessments) 367
6. 채점 방식 (Scoring Scales) 370
7. General Guidelines for Most Item Formats 374
8. Designing Multiple-Choice Test Items (선다형 문항 제작) 377
* 부 록 (Glossary) 3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