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한국철학 > 한국철학 일반
· ISBN : 9788965251262
· 쪽수 : 368쪽
· 출판일 : 2019-12-31
책 소개
목차
서론: 문화권적 사유문법의 충돌과 접변 / 이봉규 17
정약용의 철학에 나타난 유학과 서학의 지평 융합 / 한정길 27
1. 동양과 서양의 두 사유체계 29
2. 다산의 현실인식과 학문적 지향점 30
3. 다산과 서학의 만남 33
4. 다산의 ‘상제’ 관념과 세계관의 변화 37
5. 다산의 ‘심’ 관념과 인간관의 변혁 46
6. 다산철학의 지향: 인륜 63
연행사의 천주교관에 나타난 도교적 이해 양상 / 이원석 69
1. 동서접변과 연행사 71
2. 연행사의 천주당 기록에 나타난 도교적 이해 양상 73
3. 백경현의 사례에 대한 분석 80
4. 가설의 검토 85
5. 선입견과 동서접변 100
토미즘과 리학(理學)의 지평 접변 -영언여작과 그에 대한 보수적 반응을 중심으로- / 이봉규 105
1. 초기 접변의 환경 107
2. 정신활동에 대한 실체적 이해와 양태적 이해 109
3. 정신활동에 대한 기능분리적 이해와 기능통합적 이해 118
4. 성(性) 개념의 두 지평: 원리[理]와 욕구[欲] 122
5. 인식의 두 지평: 형상[像]과 상징[象] 126
6. 자연(自然) 개념의 두 지평: 세속과 비작위 131
7. 문화권적 사유 초기 접변의 성격 136
홍대용의 경학사상과 자연과학의 만남 -접변을 통한 지평확대를 중심으로- / 엄연석 141
1. 도덕과 과학의 병행과 지평확대 143
2. 기존의 연구성과 및 문제설정 147
3. 리기 개념의 가치중립적 계기와 도덕적 계기 150
4. 경학적 사유의 도덕적 지향과 실천적 목표 157
5. 기철학의 자연과학과의 만남과 그 영향 166
6. 기 개념의 중층적 지평확대 171
만물진원(萬物眞源)과 벽사록변(闢邪錄辨) -성리학-서학의 갈등과 ‘도(道)-기(器)’ 구도의 출현- / 이원석 175
1. 서교의 중심지 양근과 이항로의 주변 177
2. 이항로의 논양교지화와 ‘도덕(道德)-공장(工匠)’ 구도 183
3. 벽사록변에 나타난 서학과의 접변 양상 197
4. 화서학파 도(道)-기(器) 구도의 동서접변적 의의 206
【부록 1】 만물진원 요약 209
【부록 2】 벽사록변(闢邪錄辨) 220
동학과 서학, 리기와 천주의 접변과 지평교착 / 엄연석 257
1. 개념의 종교적 해석과 지평교착 259
2. 동학과 서학의 만남과 그 시대적 배경 264
3. 천주실의에서 천주와 리기의 상호 연관 271
4. 동학에서 천주와 리기의 상호연관 278
5. 동학과 서학의 천주와 리기의 지평교착과 그 상관적 특성 285
6. 동학과 서학의 배분적 지평교착 289
[부록] 「만물진원의 의문점에 대한 논증」 역주 / 이봉규, 양일모, 엄연석, 이원석 29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