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예체능계열 > 미술/디자인/사진
· ISBN : 9788968173837
· 쪽수 : 176쪽
· 출판일 : 2016-08-10
책 소개
목차
제1장 도예 활동이 현대인에게 미치는 영향
1. 도예 활동이 유아기 및 청소년기 창의력 발달에 미치는 영향
2. 성인들에게 도움을 주는 도예 활동
3. 도예 활동이 노인들에게 미치는 영향
4. 3D프린터가 도예가에게 미치는 영향
제2장 도예 활동 첫발 디디기
1. 도예의 개념 이해하기
2. 도자기 만드는 절차 알아보기
(1) 옛날 도자기 만드는 절차
(2) 현대 도자기 만드는 절차
제3장 도자기 무조건 만들어 보기
1. 도예 활동 준비하기
(1) 도예점토 준비하기
(2) 기본활동을 위한 준비물 갖추기
2. 도예점토 관리하기
(1) 도예점토 풀기(꼬막밀기)
(2) 남은 점토 보관하기
(3) 굳은 점토 재활용하기
3. 나만의 도자기 만들기
(1) 핀칭 성형법
(2) 코일링 성형법
(3) 판 성형법
제4장 도예 활동 업그레이드 하기
1. 물레와 기본 도구 갖추기
(1) 물레준비하기
(2) 물레 성형에 필요한 기본 도구 갖추기
2. 물레성형하기
(1) 점토 중심잡기
(2) 일자 머그컵 만들기
(3) 접시 만들기
(4) 주병 만들기
(5) 항아리 만들기
(6) 다기(찻 주전자) 만들기
3. 물레 성형 후 건조 관리하기
(1) 건조관리 잘하기
(2) 건조 지연하기
(3) 빨리 건조시키기
4. 굽 깎고 모양내기
(1) 굽통 만들기
(2) 굽칼 준비하기
(3) 굽칼로 굽깎기
5. 도자기 장식하기
(1) 그림그리기
(2) 음각 및 양각하기
(3) 압인하기
(4) 상감 하기
제5장 도예 전문가 되기
1. 전문가가 되기 위한 도구 업그레이드 하기
(1) 토련기 준비하기
(2) 가마준비하기
2. 초벌하기
(1) 가마재일 때 유의점
(2) 초벌구이 절차 및 유의점
3. 유약 입히기
(1) 유약 만들기
(2) 유약 혼합하기
(3) 시유하기
4. 재벌하기(산화 소성)
(1) 가마재일 때 유의점
(2) 가마관리와 온도 올리는 방법(3) 산화 소성으로 얻을 수 있는 색
5. 환원 소성하기
(1) 환원 소성 원리
(2) 환원 소성시 가마 실행 방법
(3) 환원 소성으로 얻을 수 있는 색
제6장 3D 프린터를 활용한 도예 활동하기
1. 3D프린터 이해하기
(1) 3D프린터 개념
(2) 3D프린터가 제조업의 이슈가 된 이유
(3) 도예가들이 3D프린터에 관심을 가져야하는 이유
(4) 3D프린팅 절차
(5) 3D프린터 적층방식, 기술 및 재료
2. 3D 모델링 개념 및 방법 알아보기
(1) 3D 모델링 개념
(2) 3D프로그램을 활용한 모델링 방법
(3) 3D 스캐너를 활용한 모델링 방법
(4) 인터넷으로 모델링된 3D 데이터 확보방법
3. 3D프린터 기술의 도예분야 활용 방법 이해하기
(1) FDM(Fused Deposition Modeling)방식의 도예 분야 활용
(2) SLS(Selective Laser Sintering)방식의 도예 분야 활용
(3) DLP(Digital Light Processing)방식의 도예 분야 활용
(4) 도예 재료 산업분야 활용
4. 3D프린터로 출력한 다양한 도예 작품 보기
제7장 맺은말
부록
1. 도예 활동이 유아기 및 청소년기의 창의력 발달에 미치는 영향
2. 협동작업을 통한 도자기 만들기
(1) 준비물
(2) 도예 활동 팀 편성하기
(3) 도예 활동 소재 제시하기
(4) 소재 구성품 선정하기
(5) 도예 활동 소재 스케치하기
(6) 구성품을 만들 담당자 정하기
(7) 구성품 만들기
(8) 구성품을 합쳐서 주어진 소재 완성하기
(9) 성찰일지 쓰기
(10) 마무리
(11) 협동 작업으로 도자기를 만들 수 있는 소재들
참고문헌
책속에서
전미 고용법 프로젝트(NELP : National Employment Law Project)에 따르면 향후 20년 이내 현재의 직업 50%가 없어지고, 토마스 프레이(구글이 선정한 최고 미래학자)는 2030년까지 20억개의 일자리가 사라진다고 하였다.
많은 직업, 일자리가 대부분 컴퓨터나 기계(로봇)로 대체되어 실업률은 더욱 높아질 수밖에 없고 사람은 기계와 일자리 다툼을 해야 한다.
그래서 사람은 컴퓨터나 기계가 흉내내기 어려운 창의력을 높여야 경쟁력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유아기 아동 및 청소년들에게 창의력을 키울 수 있도록 좌뇌와 우뇌를 균형적으로 발달시킬 수 있는 교육과 환경을 제공하여 미래 사회에서 경쟁력 있는 인재로 육성할 필요가 있다. 좌뇌의 논리적, 비판적 사고능력에 우뇌의 창의적 발상과 융통적인 문제해결력을 연결한다면 독창적인 산출물이 나올 수 있다.
그러나 우리가 지금까지 접해온 교육은 주로 암기 위주의 좌뇌 기능 발달과 관련되어 있다. 다시 말해 우리나라는 반뇌 교육만 하고 있는 셈이다. 따라서 그동안 소홀했던 우뇌를 적극적으로 개발할 필요가 있다(서유헌, 2014; 홍양표,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