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외국어 >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 한국어 일반
· ISBN : 9788968176968
· 쪽수 : 216쪽
· 출판일 : 2018-11-30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제1장 언어, 한국어 그리고 문법
1. 언어
2. 언어, 국어, 한국어
3. 언어와 문자
4. 문자와 한글
5. 언어의 연구
제2장 한국어 문법
1. 음운
2. 단어
3. 문장
4. 어휘
5. 규범
제3장 한국어 교육과 문법
1. 한국어 교육의 목적과 목표
2. 하국어 교육과 문법 교육
3. 한국어 교사와 문법
부록 한글 맞춤법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언어란 무엇일까?’ 이것은 언어에 대하여 공부를 하거나 언어와 관련된 일을 하는 사람들이 가장 먼저 가지게 되는 질문일 것이다. 그런데 언어에 대하여 오랫동안 연구한 사람이라고 해도 언어가 무엇인지에 대하여 간단하게 답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이것은 ‘행복이란 무엇일까?’, ‘삶이란 무엇일까?’, ‘사랑이란 무엇일까?’ 등의 질문과 같이 대답하는 사람의 관점에 따라 혹은 질문 상황에 따라 그 내용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언어’의 의미를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 있다.
언어(言語) ?명사?
생각, 느낌 따위를 나타내거나 전달하는 데에 쓰는 음성, 문자 따위의 수단. 또는 그 음성이나 문자 따위의 사회 관습적인 체계.
이와 같은 사전적 의미에서 몇 가지 사항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먼저, ‘생각, 느낌 따위를 나타내거나 전달’이라는 말에는 우리가 말을 하거나 글을 쓸 때에 어떤 의도를 담아 전달할 수 있다는 것을 뜻하며 이것은 의사소통을 위한 수단으로서의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음성이나 문자 따위의 수단’이라는 말에서 우리는 언어를 ‘음성언어’와 ‘문자언어’로 나눌 수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사회 관습적인 체계’라는 말에서 언어라는 것이 한순간에 만들어진 것이 아니라 오랫동안 사회적으로 공유되어 왔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그것이 자연 그대로 무질서하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어떤 기준이나 원리에 따라 정리할 수 있다는 것도 짐작할 수 있다.
전 세계에는 여러 종류의 언어가 존재하고 있다. 언어를 분류하는 기준에 따라 그 수를 다르게 볼 수는 있으나 대략 3,000~7,000종 정도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전 세계에 존재하는 수많은 종류의 언어는 자음과 모음으로 나눌 수 있으며, 명사, 동사와 같은 품사가 존재하는 등의 공통점을 가지고 있는데 우리는 이것을 언어적 보편성(普遍性)이라고 한다. 언어는 개별성을 가지며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지만 보편성을 동시에 가지고 있어, 어느 정도 분석하는 틀로 정리할 수도 있다. 역사적으로 많은 학자들이 언어와 관련된 현상에 관심을 가지고 언어에 대해 연구를 하면서 다양한 관점을 드러내기도 했지만, 언어라는 것이 인류의 역사와 흐름을 같이하고 있으며, 인간의 사고와도 관련이 있다는 점에는 이견이 없다.
언어는 몇 가지 관점에 따라 특성을 살펴볼 수 있다. 먼저, 언어는 내용과 형식으로 분류할 수 있는 이원성(二元性)을 지니고 있다. 이것을 의사소통의 관점에서 정리를 하면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