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고등학교참고서 > 수능대비 > 국어영역
· ISBN : 9788968191015
· 쪽수 : 346쪽
· 출판일 : 2014-04-15
책 소개
목차
《문법1》
[1] 국어와 앎
1. 언어의 본질
1-1. 언어와 인간
1-2. 언어의 특성
(1) 언어의 기호성 (2) 언어의 자의성 (3) 언어의 규칙성 (4) 언어의 체계성
⑤ 언어의 창조성 ⑥ 언어의 사회성 ⑦ 언어의 역사성
2. 국어의 구조
2-1. 음운 (음운론)
2-1-1. 음소
(1) 자음
㉠ 성대의 울림 여부 ㉡ 조음 방법 ㉢ 조음 위치
(2) 모음
㉠ 단모음 ㉡ 이중모음
2-1-2. 운소 : 장단, 연접, 억양
2-1-3. 음운의 변동
(1) 음운의 교체
㉠ 음절의 끝소리 규칙
㉡ 음운의 동화
(1) 자음 동화
㉮ 비음화 ㉯ 유음화 ㉰ 경음화 ㉱ 구개음화
(2) 모음 동화
㉮ 전설 모음화
㉢ 두음 법칙
(2) 음운의 축약
㉠ 자음 축약(거센소리되기)
㉡ 모음 축약
(3) 음운의 탈락
㉠ 자음 탈락
(1) 자음군 단순화 (2) ‘ㄹ’ 탈락 (3) ‘ㅎ’ 탈락 (4) 두음법칙
㉡ 모음 탈락 ‘으’탈락
(4) 음운의 첨가
㉠ 사잇소리 현상
(1) 사잇소리현상 (사이시옷현상 포함) (2) ‘ㄴ’ 첨가 (3) ‘반모음’ 첨가
2-1-4. 기타
(1) 모음조화 (2) 이화
2-2. 단어 (형태론)
2-2-1. 형태소
(1) 형태소의 종류
㉠ 실질 형태소 ㉡ 형식 형태소 ㉢ 자립 형태소 ㉣ 의존 형태소
(2) 이형태의 종류
㉠ 음운론적 이형태 ㉡ 형태론적 이형태
2-2-2. 단어
(1) 단어의 형성
㉠ 어간
㉡ 어미
㉢ 어근
㉣ 접사
(1) 접두사
㉮ 파생 접두사
(2) 접미사
㉮ 파생 접미사 ㉯ 굴절 접미사
(2) 단어 형성 방식
㉠ 단일어
㉡ 복합어
(1) 합성어
㉮ 통사적 합성어 ㉯ 비통사적 합성어
(2) 파생어
㉮ 접두사에 의한 파생어 ㉯ 접미사에 의한 파생어
2-2-3. 품사
(1) 불변어
㉠ 체언
(1) 명사 (2) 대명사 (3) 수사
㉡ 수식언
(1) 관형사
㉮ 성상 관형사 ㉯ 지시 관형사 ㉰ 수 관형사
(2) 부사
㉮ 성분 부사 ㉯ 문장 부사
㉢ 관계언
(1) 조사
㉮ 격조사 ㉯ 접속 조사 ㉰ 보조사
㉣ 독립언
(1) 감탄사
(2) 가변어
㉤ 용언
(1) 동사 (2) 형용사
㉤-1. 용언의 활용
(1) 선어말 어미
(2) 어말 어미
㉮ 종결 어미
㉯ 비종결 어미
㉯-1. 연결어미
ⓐ 대등적 연결 어미 ⓑ 종속적 연결 어미 ⓒ 보조적 연결 어미
㉯-2. 전성어미
ⓐ 명사형 전성 어미 ⓑ 관형사형 전성 어미 ⓒ 부사형 전성 어미
2-3. 문장 (통사론)
2-3-1. 문장의 성분
(1) 주성분
㉠ 주어 ㉡ 목적어 ㉢ 보어 ㉣ 서술어
(2) 부속성분
㉠ 관형어 ㉡ 부사어
(3) 독립성분
㉠ 독립어
2-3-2. 문장의 구조
(1) 홑문장
(2) 겹문장
㉠ 안은 문장
(1) 명사절을 안은 문장 (2) 서술절을 안은 문장 (3) 관형절을 가진 안은 문장
(4) 부사절을 가진 안은 문장 ? 인용절을 가진 안은
㉡ 이어진 문장
(1) 대등적으로 이어진 문장 (2) 종속적으로 이어진 문장
2-3-3. 국어 문법 범주
(1) 종결 표현
㉠ 평서문
㉡ 명령문
(1) 직접 명령문 (2) 간접 명령문
㉢ 청유문
㉣ 의문문
(1) 판정 의문문 (2) 설명 의문문 (3) 수사 의문문
㉤ 감탄문
(2) 높임 표현
㉠ 주체 높임법
(1) 직접 높임 (2) 간접 높임
㉡ 객체 높임법
㉢ 상대 높임법
(1) 격식체
㉮ (아주높임) 하십시오체 ㉯ (예사높임) 하오체
㉰ (예사낮춤) 하게체 ㉱ (아주낮춤) 해라체
(2) 비격식체
㉮ (높임) 해요체 ㉯ (낮춤) 해체
(3) 시간 표현
㉠ 시제
(1) 과거 시제 (2) 현재 시제 (3) 미래 시제
㉡ 상
(1) 진행상 (2) 완료상
(4) 피동 표현과 사동 표현
㉠ 피동 표현
(1) 파생적 피동문 (2) 통사적 피동문
㉡ 사동 표현
(1) 파생적 사동문 (2) 통사적 사동문
⑤ 부정 표현
㉠ ‘안’ 부정문
(1) 긴 부정문 (2) 짧은 부정문
㉡ ‘못’ 부정문
(1) 긴 부정문 (2) 짧은 부정문
2-4. 담화 (화용론)
2-4-1. 담화의 개념
(1) 발화
㉠ 직접 발화 ㉡ 간접 발화
(2) 담화의 구성요소
㉠ 화자 / 청자 ㉡ 발화(내용) ㉢ 장면(맥락)
2-4-2. 담화의 종류 및 기능
(1) 정보 제공 담화 (2) 호소 담화 (3) 약속 담화 (4) 사교 담화 ⑤ 선언 담화
2-4-3. 매체 담화
(1) 신문 매체 (2) 방송 매체 (3) 인터넷 매체
2-5. 의미 (의미론)
2-5-1. 의미의 종류
(1) 개념적 의미
㉠ 다의어 ㉡ 동음이의어
(2) 내포적 의미
(3) 사회적 의미
(4) 정서적 의미
⑤ 반사적 의미
⑥ 연어적 의미
⑦ 주제적 의미
2-5-2. 의미의 성분 분석
2-5-3. 단어의 관계
(1) 유의 관계 (2) 반의 관계 (3) 상하 관계 (4) 부분-전체 관계
2-5-4. 문장의 관계
(1) 유의 관계 (2) 반의 관계 (3) 중의적 문장과 모호한 문장 (4) 통일성과 응집성
[2] 국어와 삶
1. 일상 언어 / 2. 매체 언어 / 3. 사회 언어 / 4. 학술 언어
《문법2》
[1] 국어와 규범
1. 정확한 발음
1-1. 표준 발음과 표준어
(1) 표준 발음법 (2) 표준어
2. 올바른 단어 사용
2-1. 한글 맞춤법
2-2. 외래어 표기법과 로마자 표기법
(1) 외래어 표기법 (2) 로마자 표기법
3. 정확한 문장 표현
3-1. 정확하지 않은 문장의 구분
3-2. 자연스러운 문장의 요건
(1) 문법성 (2) 적절성
4. 효과적인 담화 구성
4-1. 표준 화법과 언어 예절
[2] 국어와 얼
1. 국어의 변천
1-1. 국어가 걸어온 길
(1) 국어의 계통
㉠ 국어의 형성 ㉡ 국어사의 시대구분
1-2. 국어의 변천
(1) 음운의 변천
㉠ 자음의 변천 ㉡ 모음의 변천 ㉢ 성조
(2) 표기?문법의 변천
㉠ 고대 국어 ㉡ 중세 국어 ㉢ 근대 국어
(3) 어휘의 변천
1-3. 한글의 창제와 문자 생활
(1) 한글의 창제
㉠ 훈민정음 제자원리
(1) 초성 제자원리 (2) 중성 제자원리 (3) 종성 제자원리
1-4. 선인들의 국어 생활
2. 국어의 미래
2-1. 통일 시대의 국어 / 2-2. 세계 속의 국어 / 2-3. 국어와 인접 분야